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류
구별
분할
분리
부분
갈라내기
선별
뉴스
"
구분
"(으)로 총 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정은경 "거리두기 '짧고 굵게' 잘 준수해야 피해 최소화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08.31
판단하겠다"고 말했다. 최근 2주간인 18일 0시~31일 0시까지 신고 된 4432명의 감염경로를
구분
한 중앙방역대책본부의 자료다. 감염 경로를 조사중인 비율이 22.7%로 높게 나타났다. 중앙방역대책본부 제공 정 본부장은 환자의 연령이 증가한 부분도 조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연령별 환자 비율에서 20 ... ...
[과학용어는 먼나라 말](3)쏟아지는 국적불명 용어에 밀려나는 우리말
2020.08.30
생각하면 보이는 침방울로는 공기전파의 가능성을 설명할 수 없어 비말과 에어로졸로
구분
하다 보니 오히려 우리말이 오염이 된 것"이라고 말했다. 국적불명의 용어도 난무하고 있다. 최 교수는 이번 코로나19 사태 때 많이 사용되는 용어인 '언택트'를 대표적 사례로 꼽았다. 언택트는 ... ...
꿈의 양자컴퓨터, 우주방사선 때문에 지하골방 신세 전락 운명
동아사이언스
l
2020.08.28
정보의 기본 단위로 ‘양자비트(큐비트)’를 쓴다. 디지털 컴퓨터는 0과 1을
구분
한 값을 정보 기본 단위인 비트로 활용한다. 큐비트는 양자역학의 ‘중첩’ 현상을 활용해 0과 1 두 정보를 가진 채 정보를 처리한다. 동시에 수많은 정보를 처리하는 병렬연산이 가능하다. 양자컴퓨터가 상용화되면 ... ...
왼손잡이, 손가락 촉각으로 구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26
오른손에 주는 자극에 따라 뇌에서 활성화되는 영역을
구분
하고 그 정도를 객관적으로
구분
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향후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인지능력 증강 치료가 필요한 질환 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안진웅 책임연구원은 “이번 연구결과를 ... ...
실외 마스크 의무화 "어리석은 일"이라고 했다는데…
동아사이언스
l
2020.08.25
가지 식사 때 음식이 공유되는 특성이라든지, 또 조리과정에서 한 식탁에서 개개인을
구분
하기가 힘든 상황”이라며 “결국은 현재로서는 음료나 음식을 섭취할 때 이외에는 계속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어찌 보면 가장 유일한 강력한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말했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와인 나라의 와인 과학자(19세기 생물학1)
2020.08.20
회전 스펙트럼을 결합해 이황화탄소와 동위원소가 포함된 분자들을 한 번의 측정으로
구분
할 수 있다. 이 점을 응용해 분자의 토토머(이성질체)나 동위원소 효과 등을 분석할 것이다. UNIST 제공 그러니까 자연에는 화학식은 같지만 입체적인 분자구조가 거울대칭인 그런 물질들이 있어서 광학적인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바이러스기초연구소, 전면 재검토해야
2020.08.19
복지부의 잔칫상에 숟가락을 들고 나서는 모습도 볼썽사납다. 기초·원천과 응용의
구분
은 과기부를 해체해버렸던 2008년 인수위가 내놓았던 어쭙잖은 아이디어였다. 대덕에 출연연을 하나 더 만들겠다는 여당 중진의원의 지역이기주의도 관료들의 부처이기주의와 조금도 다르지 않은 것이다. ... ...
[프리미엄 리포트]돌멩이 하나에 30억 원? 운석 재테크 해볼까
과학동아
l
2020.08.15
“겉모습의 특징을 보고 운석인지 아닌지 쉽게
구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운석을
구분
하는 가장 큰 특징은 표면에 있는 용융각(Fusion Crust·마찰시 발생하는 열로 운석이 녹았다가 식으며 운석 겉표면에 생기는 층)이다. 박 선임연구원은 “지구 밖 에서 온 운석이라면 반드시 용융각 흔적이 ... ...
발열-기침-근육통-메스꺼움-구토-설사...코로나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증상 순서 첫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8.14
9 환자의 증상 발현 순서를 알면 유사한 증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는 계절성 독감과의
구분
이 가능해져 코로나19 환자들의 신속한 격리 및 치료 조치에 도움을 준다. 피터 커 서던캘리포니아대 미켈슨융합바이오사이언스센터 교수와 제임스 힉스 교수는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지원을 받은 ... ...
손 대신 지느러미 택했지만...자연은 손가락뼈 유지한 수중동물 택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9
우선 육상에서 바다로 돌아간 수생 동물은 대부분 지느러미 속에 손가락들이 서로
구분
되는 형태의 뼈 모양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손가락이 따로 보이지 않는 지느러미에서 볼 수 있듯 손가락이 주변 피부와 조직으로 연결돼 개별 손가락을 하나하나를 까딱거리는 것은 불가능했다. ... ...
이전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