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academe
학구생활
d라이브러리
"
학계
"(으)로 총 1,500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명의 비밀 밝힌 로제타 스톤, DNA 이중나선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설명할 도리밖에 없게 됐다.1백년만에 풀린 생명복제의 신비2차대전 이후 미국 생물
학계
에서는 유럽에서 건너온 과학자들이 크게 활약하고 있었다. 인디애나대학의 살바도르 루리아(1912-1991)와 캘리포니아공과대학의 막스 델브뤼크(1906-1981)도 그런 사람들이다. 루리아의 고향은 이탈리아 토리노. ... ...
동강의 땅 밑이 심상치 않다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3-4천만년 전까지 한국 남동부에 붙어 있다가 떨어져 나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지질
학계
의 한 이론(윌슨 주기)에 따르면 멀어진 대륙판들은 일정한 주기(약 2억년)를 따라 다시 모인다고 한다. 혹시 일본의 최근 움직임은 윌슨 주기에 맞춰 한반도로 다가오는 것이 아닐까. 또 한반도 역시 ... ...
④ 쥐 정소에서 사람 정자 성숙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안티노리 박사는 바로 이 생식세포에 자격을 부여하는 실험을 수행한 것이다(아직
학계
에 공식적으로 보고되지 않아 사용한 세포가 정원세포인지 제1정모세포인지 확실치 않다). 즉 쥐의 정소 세포를 시험관에서 배양하고, 여기에 미성숙한 생식세포를 넣고 키웠다. 이 가운데 성공적으로 성숙한 ... ...
진시황의 불로초는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텔로미어의 길이를 원상으로 회복시켜 세포가 분열을 계속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학계
는 이제 불로장생의 꿈이 실현될 날이 얼마 남지 않은 것이라며 흥분하고 있다. 텔로미어의 길이를 일정 정도 이상으로 유지시키거나 원상 회복시킬 수 있다면 노화를 막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 ...
우리나라 최초의 과학의 날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할 수 있다. 김용관은 과학조선에 게재한 ‘과학의 민중화’라는 글에서 “우리 조선과
학계
도 각 전문 대가가 통속(대중)저술에 힘쓰고 통속강연회를 개최하는 동시에 통속과학잡지가 있어야 그 전도가 점차 발전될 것”이라며 과학대중화의 중요성을 역설했다.1934년 2월 28일 발명학회 인사들을 ... ...
우주가 팽창한다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이것은 당시 우리 은하의 크기는 10만광년이며, 안드로메다 성운은 그 안에 있다는 천문
학계
의 통설을 뒤집었다. 또 우리 은하 밖에 또 다른 세계가 존재한다는 것을 처음으로 시사했던 것이다.외부은하를 처음으로 발견한 허블은 수십개의 은하에 대한 거리를 측정했다. 그런데 거리가 먼 것일수록 ... ...
천문학자 밴 앨런과의 대화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천문학자는 꿈도 꾸지 못한다. 한번도 노벨상 후보로 추천된 바는 없다. 그러나 천문
학계
의 노벨상이라고 할 수 있는 스웨덴 왕립과학학회에서 주는 크래포드(Crafoord)상을 1989년에 수상했다. 물론 이외에도 연구업적과 관련하여 수없이 많은 상을 받았다.마지막으로 과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이 ... ...
배타적인 것은 서로 보완적이다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1927년 10월 24일 벨기에의 수도 브뤼셀에서 제5회 솔베이회의가 개최됐다. 1911년부터 개최돼온 이 회의는 그동안 물리·화
학계
의 주요 쟁점들을 다뤄 ... 너머에 더 깊은 실재는 없다”고 주장한 코펜하겐 해석은 아인슈타인, 막스 플랑크 등 과
학계
의 원로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성장해나갔다 ... ...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기쁘게 했던 것은 그토록 바라던 대학에 자리가 생긴 것이다. 1908년 독일 물리
학계
의 거물이었던 막스 플랑크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아 베를린대학에서 강사생활을 했으며, 1909년에는 특허국 생활을 청산하고 취리히공과대학 교수가 됐다. 이후 세계적인 과학자의 자격으로 1911년에는 제1회 ... ...
① 테크노크라트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그런데 북한이 실제로 인공위성 발사에 성공했는지는 의문이다.서박사말고 물리
학계
를 주도하고 있는 과학자로는 김일성대 총장인 박관오박사를 빼놓을 수 없다. 그는 김일성대 원자력학부를 졸업한 후 모스크바 물리대학으로 유학을 떠났다. 졸업 후 옛소련의 유명한 핵물리학연구소인 ... ...
이전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