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문
천공
하늘
창공
태양
해
햇빛
d라이브러리
"
천체
"(으)로 총 2,081건 검색되었습니다.
연료전지 비행기 이륙 준비 완료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엄밀하게 말하면 사이코메트리는 어떤 물질적 대상을 매개로 삼는 투시능력의 일종이다
천체
를 관측해 해와 달의 운행과 절기 등을 적어 놓은 책 이순지와 김담이 중국 원나라의 수시력법과 명나라의 통궤력법을 참고해 세종 26년(1445년) 우리나라에 맞게 만든 것이다목성의 섭동으로 소행성대 내에 ... ...
하늘에 이름 새기려는 욕망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모습을 드러낸다. 이때 혜성의 밝기는 8등급 정도로 맨눈으로 볼 수는 없다. 그러나 소형
천체
망원경이나 쌍안경으로는 쉽게 관측할 수 있다.시간이 지날수록 혜성의 고도는 훨씬 높아진다. 비록 혜성의 밝기는 10등급으로 더 어두워지지만 해뜨기 전 어두운 하늘에서 더 오래 관측할 수 있다 ... ...
혈액형 바꾸는 효소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주위를 돌며 둥근
천체
로 영어명은 'dwarf planet'이다 태양 같은 별의 최후인 고밀도
천체
를 '백색왜성'(white dwarf)이라 부르는데서 착안한 명칭이다핵연료이자 핵무기에 쓰이는 방사성 원소 원자력발전소에서 사용한 폐핵연료봉을 잘라 질산에 녹인 다음, 플루토늄 흡착 기능을 가진 특수 유기용매인 ... ...
은하신령, 한국천문연구원을 방문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4호
대덕연구개발특구에 있는 한국천문연구원 본원 현관으로 들어가면 국보 제228호인 천상열차분야지도가 원형 그대로 흑요석에 복원돼 있 ... 석각 천문도이고 조선 태조 4년(1395)에 만들어졌습니다. 국보 제230호 혼천의, 보현산천문대 1.8m
천체
망원경과 함께 새 1만 원짜리 지폐에 등장합니다 ... ...
'미사일 킬러'에 떠는 러시아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중성자 감속재나 냉각재로 사용되고 있다고대 중국의 우주관이던 혼천설을 기초로 하여
천체
의 운행과 그 위치를 측정하기 위하여 만든 측각기의 일종 혼의기(渾儀器) 또는 선기옥형(璇璣玉衡)이라고도 하며, 고대와 중세에 동아시아의 기본적인 천문의기였다 중국에서는 기원전 2세기 경에 ... ...
PART2 한국의 '지구사냥꾼' 나선다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찾을 수 있다.또 별과 멀리 떨어져 있는 행성을 찾는데도 탁월하다. 시선속도 방법이나
천체
면 통과현상을 이용한 방법으로 얻은 관측자료를 외계행성의 증거로 인정하기 위해서는 같은 방법을 3번 이상 관측한 자료가 필요하다. 그러나 별과 행성사이의 거리가 멀면 공전주기가 길기 때문에 ... ...
PART2 세상을 디자인하는 논리의 힘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담을 쌓은 경우에 속한다. 과학실에서 현미경을 들여다보며 재미를 키운 생물이나
천체
사진을 보며 호기심을 품은 지구과학과 달리 수학과는 ‘통’(通)하지 못했다. 그는 대학에서 인문학을 공부하며 비로소 수학에서 ‘해방’될 수 있었다.그가 수학을 공부하며 가장 힘들었던 점은 바로 ... ...
지구 중심을 들여다보기 위한 항해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물론 마이크로컴퓨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종에 사용되고 있다춘분점을 하나의
천체
로 보았을 때의 시각(時角) 시각은 천구상의 한 점과 하늘의 극을 연결하는 원이 자오선과 이루는 각이다 항성시는 그 지점의 자오선에 의거하므로 정확히는 지방항성시인 셈이다 춘분점은 천구상에서 고정된 ... ...
제15회
천체
사진공모전 수상작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극적인 최후 포착한국천문연구원, 국립중앙과학관, 동아사이언스가 공동 주최한 제15회
천체
사진공모전에서 경기도 고양시 일산구의 고창균(40)씨가 영예의 대상을 거머쥐었다. 고씨는 강원도 철원군에서 황소자리 초신성 잔해 ‘SH2-240’을 찍은 사진을 출품했다. 초신성 잔해는 무거운 별이 최후에 ... ...
혼천시계, 지상에 구현한 하늘 모습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혼천시계는 1669년 이민철에 의해 더욱 발전됐다. 최유지의 혼천의가 톱니바퀴로
천체
운행 속도를 구현하는 원리를 갖추고 있었지만 대나무로 제작돼 많은 오차를냈다. 이민철은 세종 때의 자격루에서 사용된 적이 있는, 자동으로 시간을 알려주는 장치를덧붙였다.일정한 시간이 되면 쇠구슬이 ... ...
이전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