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목
선정
약속
지시
예정
예약
표시
d라이브러리
"
지정
"(으)로 총 1,305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워진 데이터' 되살리려면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E :
지정
된 시각 혹은 그 이전(Earlier)에 만들어 졌거나 수정된 파일만을 복구한다./L :
지정
된 시각 혹은 그 이후(Later)에 만들어졌거나 수정된 파일만을 복구한다./M 백업된 이후 수정되었거나 (Modified) 지워진 파일만을 복구 시킨다./N 목표 디스크에 없는 (no longer exist) 파일만을 복원시킨 ...
라플레시아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서남해안에 위치한 벵쿨루지방은 라플레시아의 보호지역으로
지정
된 곳이다. 1818년 영국의 라플레(Raffles) 부부와 조셉 아놀드 박사(Joseph Arnold)가 여기에서 이 꽃을 발견한 후 많은 식물학자들이 이곳을 찾았다.그러나 이 꽃에 관해 학술적으로 알려진 바는 많지 않다. 최근 ... ...
크낙새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제11호로
지정
되고 6년이 지난 68년 5월 종 자체가 천연기념물 제197호로 뒤늦게
지정
됐다.한반도 중부지역에 잔존하는 마지막 생존집단한국에서의 크낙새에 관한 기록은 1886년 폴란드인 칼리노브스키(Kalinowski)에 의해 광릉과 개성 등지에서 수개체가 채집돼 영국동물잡지에 'Thriponax Kalinowski Taczano ...
도스를 대신하는 유틸리티 피시셸(PC SHELL)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틀려도 실행이 안 되는 등 마음먹은 대로 잘 되지 않는다.파일 이름이나 디렉토리 이름을
지정
할 때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마치 관공서에 가서 서류 떼기가 무척 까다롭듯 도스는 아무래도 만만치 않은 상대다. 도스의 이런 까다롭고 고지식한 면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컴퓨터가 어렵다"고 생각한다. ... ...
발명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전국우수발명품전시회에 참가할 수 있다. 여기서 대통령상을 받거나 우수발명품으로
지정
된 것은 해외발명품전시회 출품자격을 얻는다. 현재 매년 스위스 제네바(4월경) 미국 피츠버그(5월경) 독일 뉘른베르그(11월경)전시회에 참가하고 있는데 금은동을 거의 휩쓰는 등 좋은 성적을 내고 있다 ... ...
태양사진 어떻게 찍나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경우)는 상황에 따라서 많이 다르지만 보통 태양의 지평고도가 5도 이하일 때는 카메라가
지정
하는 셔터스피드에 2를곱하고, 5도에서 10도 사이에 태양이 있을 때는 4를 곱하고, 10도에서 5도일 때는 8을 곱하면 어느정도 맞는다. 태양고도가 그 이상일 때는 태양을 시야에 넣고 찍는 것이 거의 ... ...
한글 워드프로세서 어떤 것이 좋을까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연계한 문단개념을 채택하고 있으며 한글 1.5판까지는 왼쪽끝에서 출발하여 오른쪽 끝을
지정
하는 방식이 사용되기도 했다.문단 단위의 워드프로세서는 일반적인 에디터와 워드프로세서와의 구분을 지어주는 점이라고 볼 수도 있지만 줄단위로 문서를 처리하는 워드프로세서도 많다.예를 들어 ... ...
박쥐, '해로운 동물' 오해로 멸종위기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박쥐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 하지만 미국의 많은 주가 이제는 박쥐를 보호대상으로
지정
해 살상행위를 법으로 금하고 있다.스코트와 윈터스는 병든 박쥐에 주사를 놓아 무기질과 비타민을 공급하기도 하고 몇몇 박쥐들을 집에 데리고 와서 기르기도 한다.전세계적으로 박쥐는 1천여종이나 있지만 ... ...
컴퓨터 명령을 간편하게 처리하려면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off 상태인지 화면에 출력 된다. 그리고 도스 프롬프트에서 break=on 또는 break=off라고
지정
할 수도 있다.여러개의 파일을 동시에 사용 - files프로그램을 사용하다 보면 여러개의 파일을 동시에 열어놓고 작업을 해야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파일을 연다는 것은 몇개의 파일이 동시에 메모리에 ... ...
우리 식물 5백가지를 바르게 안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제주도나 울릉도 그리고 남해안 등지에 분포하는 상록활엽수로 그 열매는 천연기념물로
지정
된 흑비둘기가 즐겨 먹습니다."한국식물연구회는 이처럼 우리 국민들이 우리의 식물이름을 잘못 알고 있거나 모르는 것에 대해 바르게 알도록 하는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는다. 그러기 위해서 회원들은 ... ...
이전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