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작"(으)로 총 3,811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에너지 없이 지붕 식히는 필름?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맞먹는다. 연구팀은 또한, 대량생산과 사용이 편리하도록 필름을 두루마리 형태로 제작했다.연구를 이끈 샤오보 인 교수는 “이 소재를 태양전지 패널에 적용하면, 패널을 식혀서 태양전지의 효율을 1~2%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전력산업, 항공우주기술, 농업기술 등 다양한 ... ...
- [Career] 한옥의 매력에 푹 빠진 건축학도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고작 60명 정도다. 대책이 필요하겠다고 생각한 전 교수는 한옥 자동화 설계 프로그램을 제작했다. 공간 정보만 설정하면 알아서 한옥을 설계하는 프로그램이다.“이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서 전국의 고급 한옥 160채를 다 조사했어요. 모든 부재들의 수치를 모두 잰 뒤, 부재들 간의 관계를 함수 ... ...
- [Career] 꿈의 연구실에서 만든 꿈의 다이오드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두 물질의 원자가 뒤섞여 전류 누설이 늘어나는 현상을 피할 수 없어 이상적인 다이오드 제작이 어려웠다. 교수팀은 금속과 반도체 접합면에 탄소 원자 한 층으로 이뤄진 그래핀을 끼워 넣어 이 문제를 해결했다.그래핀을 이루는 탄소 원자들의 사이 사이는 양자역학적 전자 밀도가 높아 어떤 원자도 ... ...
- [Career] 세상을 바꾸는 착한 상상력 기아 에코다이나믹스 원정대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온 나아프 압둘라지(18세)는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디자인을 제작하고, 시제품을 만들었다”면서 “다양한 나라의 친구들과 교류할 수 있어서 좋았다”고 말했다.UN에서 일하는 것이 꿈이라는 한국 참가자 김도현 양(14세)은 “현지 사람들과 직접 생활하면서 실질적인 ... ...
- [Future] 큰 녀석들의 전쟁, 거대 로봇 삼국지과학동아 l2017년 02호
- 2’를 2016년 말 공개했다. 격투기용으로 만든 것은 아니지만, 미국과 일본의 거대 로봇 제작사들은 바짝 긴장하고 있다. 메소드-2가 그들은 아직 실현하지 못한 단계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임현국 한국미래기술 대표는 “(메소드-2에 비하면 미국과 일본의 거대 로봇은) 장난감에 불과하다”며 강한 ... ...
- Part 3. 전염과 면역 사이 아슬아슬한 줄타기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일부 전문가들은 “국내에서 자체적으로 인플루엔자를 예측하는 툴을 만들어 백신을 제작하자”고 목소리를 높이기도 한다. 하지만 자체적으로 해결하기에는 인플루엔자 유형을 예측하는 기술이 부족하다. 게다가 경제성을 위해서는 북반구에서 유행하는 인플루엔자뿐만 아니라 수출용으로 ... ...
- [찰칵 퍼즐 여행] 흑두루미 놀다 가는 순천으로수학동아 l2017년 02호
- 두 번째 여행지는 순천이야. 대한민국 생태수도라 불릴 만큼 자연이 잘 보전된 곳이지. 특히 순천만은 자연생태계가 거의 그대로 보전돼 있어. 용산전망대에 올라 전경을 볼 수 있는 순천만의 S자형 수로는 일몰 때 퍼지는 빛이 가장 아름답기로 사진작가들이 선정한 장소 중 하나이기도 해! 이뿐만 ... ...
- [Future] 홀로그램으로 다시 만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2호
- 홀로그래피 기술로 렌즈를 일정한 간격으로 새긴 ‘씨스루(See-through) 스크린’을 제작해 지난해 8월 컴퓨터그래픽스 연례회의인 시그라프에서 발표했다. 물체의 상이 씨스루 스크린의 앞이나 뒤에 맺히게 해 입체감을 선사한다.연구팀은 씨스루 스크린에 들어가는 광학 소자로 광중합체를 준비했다 ... ...
- [게임카페] 피하고 맞히고 탑다운 슈터 下수학동아 l2017년 02호
- 블록을 마우스로 끌어다 조립하는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게임을 제작할 수 있어 제작 과정이 매우 단순하고 편리해요.2012년 전까지는 맥 운영체제 컴퓨터에서만 쓸 수 있어서 우리나라에는 많이 알려지지 않았지만, 전 세계적으로 70만 명의 개발자가 사용하고 있어요. 게임샐러드로 만든 80여 ... ...
- Part 2. 논란 없는 황금비 작품수학동아 l2017년 02호
- 건 세계에서 가장 귀한 바이올린으로 평가받는 이탈리아의 안토니오 스트라디바리가 제작한 바이올린에는 황금비가 있어요. 스트라디바리는 울림통 가운데 뚫린 f구멍의 위쪽 눈을 황금비를 따라 결정한 자리에 놓았어요. 그렇다고 스트라디바리의 바이올린이 우수한 게 황금비 때문은 아니에요. ... ...
이전991001011021031041051061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