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경관
예상
경치
미래상
희망
비전
관망
d라이브러리
"
전망
"(으)로 총 2,784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 신비에 다가가는 초대형망원경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암흑에너지를 규명하는 일, 우주탄생의 비밀을 밝히는 일 등이 초대형망원경으로 이뤄질
전망
이다.현재 보현산천문대의 구경 1.8m 망원경은 이미 세계 50등 밖으로 밀려났다. 우리나라, 일본, 중국 동부는 계절풍 지대로 천문학 입장에서는 최악의 기후지대에 속하기 때문에 더 이상 큰 망원경을 ... ...
캄캄한 '그곳'에서 '오래된 시간'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A. 측량도동굴 지형이 자세히 기록된 지도. 미개척 동굴을 탐험한 뒤에는 직접 그려 자료로 남긴다.B. 와이어 래더높이가 낮은 수직 동굴을 탐사할 때 사용하는 사다리.C. 동굴자일 ... 모른다. 하지만 작업이 끝나면 우리나라 동굴에 대한 가장 방대하고 정확한 자료가 탄생할
전망
이다 ... ...
밤하늘에 흐르는 '용이 노니는 냇물' 은하수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망원경이 있다면 이날 밤 달과 ‘숨바꼭질’하는 해왕성을 비교적 쉽게 찾을 수 있을
전망
이다.해왕성이 달 뒤로 들어가는 시각은 밤 8시 27분이지만, 이날 달이 밤 9시 2분에 뜨기 때문에 9시 30분 해왕성이 달 뒤에서 나오는 모습만 관측할 수 있다. 올 10월 또 한 번 해왕성의 엄폐현상이 일어난다 ... ...
여름방학과 여름휴가를 수학책과 함께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연구자이기도 한 저자는 이 책에서 인간의 사고를 모방하는 컴퓨터와 인공지능의 미래도
전망
하고 있다.★ 수학 걸유키 히로시 지음 | 김정환 옮김 | 동아일보사 | 1만 2000원“수학은 심장을 두근거리게 만드는 가슴 벅찬 게임”이라고 주장하는 저자는 컴퓨터 프로그래밍언어 교재와 수학책을 다수 ... ...
ISS에서 가져온 '과학선물 보따리'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교육실험 영상도 공개됐다. 이 영상은 7월 중 각급 학교에 배포돼 수업 자료로 활용될
전망
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슬리밍사이언스 1. 내 몸 지키는 식욕 호르몬 2. 식물에서 찾은 다이어트 묘약? ISS에서 가져온 '과학선물 보따리 ... ...
에너지 위기 해양조류로 해결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바이오연료 사용량이 지난 5년 동안 두 배 증가했고 앞으로 4년 동안 또다시 두 배 증가할
전망
이다. EU는 2020년까지 바이오연료 사용비율을 수송부문에서 최소 10%까지 확대할 방침이다. 강 선임연구원은 “바이오연료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며 “해양조류 바이오연료를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 ...
손대면 톡(talk) 터지는 휴대폰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개인비서휴대전화는 UI 진화에 힘입어 미래 유비쿼터스 시대의 핵심기기로 자리 잡을
전망
이다. 휴대전화업체 모토로라와 노키아는 컨셉폰(아직 개발되지 않은 가상의 제품)을 만들어 최근 홍보에 나섰다.모토로라가 구상한 미래의 휴대폰은 개인비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한다. 음성으로 길안내를 ... ...
우주에서 돌아온 뒤 그들은 무얼 할까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달탐사 전담팀을 꾸릴 예정이다. 이 박사와 고 씨는 이 팀에 투신해 연구 활동에 전념할
전망
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광우병의 진실 PART1 인간광우병 환자 프리온이 MM형인 이유 PART2 미지의 질병, 광우병 파헤치기 우주에서 돌아온 뒤 그들은 무얼 ... ...
PART2 미지의 질병, 광우병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사료를 금지하자 수년 만에 발병이 급격히 줄었다”며 “5년 뒤에는 사라질 것”이라고
전망
했다.하지만 광우병과 인간광우병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한 것은 2000년대 초라 이 질병의 윤곽을 잡으려면 시간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있다. 우희종 교수는 “인간광우병은 잠복기가 최소 5년, 최대 5 ... ...
한반도만 한 전파망원경 뜬다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구경 2000km의 거대 망원경처럼 작동하면 세계적 수준의 초정밀 관측도 가능해질
전망
이다. 지구보다 큰 망원경 건설?우리나라는 한일우주전파관측망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한일 공동 상관기’를 개발하는 일을 맡고 있다. 천문연 상관기그룹 노덕규 그룹장은 “한일 공동 상관기는 기존 ... ...
이전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