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공계잡터뷰] 과학의 즐거움을 전하는 크리에이터과학동아 l2021년 10호
- 크리에이터들과 대본을 두고 이야기하거나 필요하다면 전문가에게 검토를 요청한다. 이후에는 스튜디오에서 녹음하거나 연구현장에 방문해 촬영·편집하면 한 편의 과학 콘텐츠가 완성된다.과학 크리에이터로서 가장 큰 매력은 다른 이들이 하기 어려운 색다른 경험을 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PD는 ... ...
- [이달의 책] 한국형 천재의 시대는 끝났다 외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반영된 네 번의 역사적 사건이 있었다고 말한다. 1939년부터 시작된 ‘2차 세계대전’, 이후 우주 경쟁으로 대표되는 ‘냉전’, 1960년대 촉발된 ‘인권 운동’, 21세기 발생했던 ‘9·11 테러’ 등이다. 이 책은 SF라는 장르를 알고 싶은 독자들을 위한 미니맵이다. 각 시대별로 분류된 작품 속 나에게 꼭 ... ...
- [기획] 방사성 오염수 바다로 흘려보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해체가 끝나는 2051년까지 약 30년에 걸쳐 바다로 내보내기로 최종 결정했어요. 2022년 여름 이후로는 137만t(톤)의 탱크 용량이 꽉 차, 더는 보관할 장소가 없다는 이유였죠. 도쿄전력에 따르면 1000여 개의 탱크에 보관 중인 오염수는 약 125만t. 2011년 사고 후 원전은 핵발전을 멈췄지만, 빗물과 산에서 ... ...
- 나만의 트랙에서 쌩쌩! 그래비트랙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먼저 높은 곳으로 올라가요. 롤러코스터의 위치에너지를 증가시키기 위해서지요. 이후 정상에 다다른 롤러코스터는 위치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전환해 빠른 속도로 트랙을 달리며 짜릿함을 선사한답니다! 이벤트가정의 달 특집그래비트랙스 콘테스트 그래비트랙스를 갖고 노는 영상을 SNS에 ... ...
- [특집] 피타고라스 정리로 증명한 독도는 우리땅!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앞서 1454년 세종실록지리지에 울릉도에서 독도가 보인다는 기록을 반박하는 내용이었죠. 이후 이 주장은 오랫동안 한국보다 일본이 독도를 먼저 발견했다는 주장의 근거로 쓰였습니다. 그러던 2009년 당시 서울 용산세무서장이었던 정태만 인하대학교 고조선연구소 교수는 ‘독도 문제의 수학적 ... ...
- 슈퍼 컴퓨터 성능이 궁금해? 원주율 계산에 도전해 봐!수학동아 l2021년 10호
- 5초가 걸렸으며, 소수점 아래 1만 8177번째 자리까지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이후 1915년 인도의 천재 수학자 스리니바사 라마누잔이 무한급수인 초기하급수를 개발해 알고리듬 성능을 더 높였습니다. 현대적인 π값 연산 알고리듬 중에는 1987년 미국 수학자 데이비드 추보스키와 그레고리 ... ...
- [수학체험실] 전체 속의 부분,부분 속의 전체 시에르핀스키 피라미드수학동아 l2021년 10호
- 뜻을 가진 라틴어 ‘프랙투스(fractus)’에서 따와 이름 붙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후 많은 수학자를 거쳐 프랙털은 번개나 나뭇가지, 산이나 구름, 해안선의 모양 등 불규칙해 보이는 자연 현상을 프랙털로 표현해 연구하는 ‘프랙털 이론’과 ‘프랙털 기하학’ 등으로 발전합니다. 다양한 ... ...
- 미 국방부 보고서 행간 읽기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미국 국방부는 AATIP의 존재와 UFO 동영상들의 실체를 인정했다. 그리고 올해 6월에는 2004년 이후 미군 조종사들이 목격한 총 144건의 괴비행체 사례에 대한 중간보고서를 공개했다. 그런데 이 보고서의 어디에서도 미확인 비행물체, 즉 ‘UFO’라는 용어는 찾아볼 수 없다. 그 대신 미확인 공중 현상을 ... ...
- 제국의 무덤이 된 지질학 요새, 아프가니스탄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이슬람 율법에 따라 여성은 교육 기회와 경제활동을 박탈당하기까지 했다.그러나 2001년 이후 정권이 바뀌며 교육 기관이 점차 정비되기 시작했다. 이공계 출신 과학자들의 연구 기반도 다져 나갔다. 여성의 교육 기회도 생겼다. 2002년에는 카불대는 남녀 학생 모두에게 수업을 열었고, 2006년에는 ... ...
- 슈뢰딩거 고양이의 생과 사, 확률을 계산하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실험에서도 광자의 이동 경로를 알 수 없을 땐 파동성을, 광자의 이동 경로를 확인한 이후에는 입자성을 보였다. 전자의 이동 경로가 측정되는 확률을 계산해 신호 광자가 만든 회절 무늬와의 연관성을 찾는다면 최종적으로 양자가 가진 입자성과 파동성을 확률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상자를 열면 ... ...
이전991001011021031041051061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