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깥
외면
표면
겉
바깥면
밖
노천
d라이브러리
"
외부
"(으)로 총 3,180건 검색되었습니다.
'레버 휠체어' 어떤 지형에서도 달린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나라에서 부품을 손쉽게 구할 수도 없으니 단기적인 미봉책이 될 수밖에 없어요. 그들이
외부
의 도움 없이 지속가능한 방법으로 필요한 것을 얻을 수 있는 ‘적정기술’이 필요한 거죠. 마침, 이런 문제에 관심을 갖고 휠체어를 개발한 교수가 있어요. 바로 아모스 윈터 MIT 교수입니다.과동이> 네? 그 ... ...
그 많은 발열 의류는 얼마나 따뜻할까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800~1100nm 파장을 갖는 적외선을 주로 흡수해 열을 낸다. 몸에서 나오는 수증기가 아닌
외부
에서 에너지를 받아들이는 방식이기 때문에 바깥에 입는 재킷에 많이 사용한다.발열섬유, 얼마나 따뜻한가발열섬유가 실제로 열을 발생시킨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인 것은 맞다. 그러나 과연 얼마나 ... ...
수학클리닉의 영상은 우리가 책임진다!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학생들은 매주 월요일마다 방송하는 교내 뉴스를 제작하는 일 외에도 학교 축제, 입학식,
외부
초청 강연 등 교내에서 이뤄지는 모든 행사의 촬영을 담당하고 있다. 이 중에서 학생들이 정기적으로 제작하고 방송하는 아침 뉴스의 제작 과정을 살펴보자. 이렇게 하나의 방송을 완성하려면 팀원들과 ... ...
빙하가 녹으면 바이러스가 잠을 깬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유전자를 받아서 자신의 유전체에 붙여 하나로 만드는 작업이다. 생물체가 부모 대신
외부
개체로부터 유전자를 받아서 형질을 바꾸는 것이 수평적 유전자 전이다.수평적 유전자 전이는 바이러스 감염과 함께 부수적으로 일어날 수도 있지만, 바이러스 감염이 끝난 후에도 이뤄질 수 있다. 바로 ... ...
고독한 우주의 방랑자, 외톨이 행성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거리가 멀리 떨어진 쌍성계에 속한 행성은 매우 불안정해서 심한 타원 궤도를 돌다가
외부
로 튕겨 나갈 가능성이 크다. 행성계에서 일부 행성이 쫓겨나는 것은 상당히 흔한 사건일 수도 있다는 얘기다.그런데 무거운 행성은 가벼운 행성보다 쫓겨나기가 더 어렵다. 그리고 우리은하에는 가벼운 ... ...
달걀의 누명을 벗겨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병아리로 변하는 21일 동안 노른자의 크기가 점점 줄어가는 것을 볼 수 있어요. 흰자는
외부
의 충격으로 부터 배아를 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해요. 또 흰자 안에는 노른자와 달걀 껍데기를 연결하는 흰 ‘알끈’이 들어 있어서 배아를 제 위치에 고정하고 있지요. 껍데기에는 아주 작은 구멍이 여러 개 ... ...
[체험] 모자부터 물병까지 뫼비우스 띠의 화려한 변신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띠의 성질을 가지는 4차원의 도형을 3차원으로 표현한 것이다. 또 클라인병은 내부와
외부
의 구분이 없이 단 하나의 면으로만 이루어져 있다. 이 때문에 어느 지점에서 출발하더라도 곡면 전체를 따라가다 보면 끝없이 이어진다.아하! 실험 플러스 뫼비우스 띠로 이루어진 클라인병클라인병은 ... ...
PART 2. 새로운 시대가 열린다 - 네오 DNA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RNA를 변형시키는 진화적 메커니즘 때문일지도 모른다.하지만 역설적으로
외부
바이러스의 RNA뿐만 아니라 자체 RNA마저 편집하고 있다.이것은 인간만이 겪는 장수나 스트레스 등이 원인일 수 있다.RNA 자체 변이에 관한 논쟁은 아직도 진행 중이다.확실한 메커니즘이 발견되거나, 혹은 실험이나 분석이 ... ...
잠자리도 집중력 있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제외한 다른 정보를 차단하도록 뇌에서 명령을 내린다”며 “선택적 주의는 인간이
외부
에서 받은 정보에 반응하고 행동하는 데 중요한 능력이지만 어떤 과정을 통해 일어나는지는 알 수 없기 때문에 이번 연구는 뇌신경 분야에서 중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 ...
빙하 호수 탐사 최대의 적은 보일러 말썽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4시간이면 시추공이 다시 얼어붙기 때문에 빠르게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 수백만 년 동안
외부
환경과 단절돼 있던 엘즈워스 호수 아래에서 새로운 생물을 포착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
이전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