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비율"(으)로 총 2,72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촬영 현장의 두뇌 싸움과학동아 l2013년 05호
- 내장된 측광 센서에서 렌즈를 통해 비춰지는 흰색 물체를 기준으로 붉은색과 파란색 비율을 일정하게 맞춘다. 이 때문에 붉은색 빛을 더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사람 눈과 다른 영상이 찍힐 수밖에 없다. 이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색온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색온도는 영국의 물리학자 ... ...
- PART 2. 아기 우주는 7번 울었다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암흑물질의 비율이다. 기존 추정에 비해 물질(바리온) 비율은 비슷하지만(5%), 암흑물질의 비율이 약 3% 늘어났고(27%) 반대로 암흑에너지는 3% 줄어들었다(68%). ‘무게를 잡는’ 암흑물질은 중력을 일으켜 우주를 수축시키고, 우주를 팽창시키는 암흑에너지는 반대 역할을 한다.따라서 둘 사이의 차이가 ... ...
- 암흑물질 후보 정말 찾았나과학동아 l2013년 05호
- 다양한 에너지를 지니고 있었는데, 약 10GeV에서 250GeV까지는 에너지가 커질수록 양전자 비율도 함께 높아졌다.흥미로운 점은 이 에너지대가 ‘차가운 암흑물질’로 불리는 가상의 후보 물질인 윔프(WIMP)의 추정 질량대와 비슷하다는 점이다. 만약 양전자가 암흑물질에서 나온 게 사실이라면, 윔프가 ... ...
- 먼지는 작을수록 폐 속 깊숙이 침투한다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총먼지도 폐 속까지 들어올 수 있지만 확률은 낮다. 대체로 학계에서는 폐에 도달하는 비율이 통상 미세먼지는 10%인 데 반해, 초미세먼지는 50%나 된다고 본다. 임영욱 연세대 의대 교수는 “먼지 크기가 작을수록 신체 내부로 깊숙이 들어올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초미세먼지, 중금속 성분 ... ...
- 과학으로 본 성공방정식과학동아 l2013년 05호
- 늘었다!), 재밌는 생각을 하게 하자 12분으로 늘었다(무려 24배!). 15분을 견뎌낸 어린이의 비율도 각각 40%, 60%나 됐다. 아이를 만족지연으로 이끄는 것은 아이의 타고난 성향도 있지만, 어른이 이끌어 주는 행위 역시 무시 못하는 것이다.연구팀은 아이들을 만족지연으로 이끈 ‘생각’의 종류를 ... ...
- PART 1. 잘 때 입술이 마르는 이유과학동아 l2013년 04호
- 것처럼 보인다는 얘기다. 무슨 뜻일까.상대습도는 포화수증기량에 대한 현재 수증기량의 비율이다. 포화수증기량은 기온이 높을수록 늘어난다. 대기 중에 수증기량이 같더라도 기온이 오르면 상대습도는 낮아진다. 이것이 서울의 습도가 낮아진 원인이라는 것이다.그러나 포화수증기량과 ... ...
- PART 3. 진실 혹은 거짓, 진짜 연구를 찾아라과학동아 l2013년 04호
- 한번 살펴볼까?비늘은 물고기의 표피를 덮고 있는 얇고 단단한 작은 조각이야. 종마다 비율은 다르지만 인산석회가 가장 많고 콜라겐과 소량의 탄산칼슘, 인산마그네슘으로 이루어져있지. 외부 충격으로부터 동물을 보호하는 기능이 있는 만큼 단단하지만 조각이 너무 작아 다른 데 쓰려면 압축을 ... ...
- [화보] 종이로 만든 입체 예술 , 팝업아트수학동아 l2013년 04호
- 책을 펼치면 쑥~ 나무가 자라고, 활짝~ 꽃이 핀다. 평평한 종이로 이뤄진 책을 입체적으로 만드는 이것은 ‘팝업아트’다. 종이를 정교하게 자르 ... 계산해서 만들었다. 사각형, 삼각형, 구 등 간단한 기하학 요소를 활용했지만, 정확한 비율과 각도 등을 맞춰 완벽한 기하학적인 미를 살렸다 ... ...
- [체험] 피보나치 수를 품은 잎차례와 앵무조개 만들기수학동아 l2013년 04호
- 대나무는 1/2잎차례, 벚꽃은 2/5잎차례다.그런데 식물의 나선형 잎차례와 피보나치 수의 비율을 나란히 두고 살펴보면 거의 똑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선형 잎차례를 구성하고 있는 수는 모두 피보나치 수이기 때문이다. 잎이 나는 순서를 따져 보면 잎과 잎 사이의 각도를 계산할 수 있다. 나선형 ... ...
- PART 2. 도시 사막화는 죽음을 부른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흥미로운 점이 있다. 녹지 면적이 적고 상대적으로 콘크리트와 아스팔트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도심 내부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초과 사망자가 더 많았던 것이다. 성동구, 마포구, 용산구, 양천구, 동대문구 등이다.녹지 면적과 여름철 노인 초과 사망자수는 어떤 관계에 있을까. 지난 100년간 ... ...
이전991001011021031041051061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