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비율"(으)로 총 2,720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이에 따라 직업 바꾸는 개미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영역과 상호작용을 분석했다. 그 결과, 3가지 직업군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군의 비율은 양육 40%, 청소 30%, 먹이 수렵 30%였다. 직업마다 주로 활동하는 영역이 정해져 있었으며, 같은 직업끼리 상호작용이 많았다.특히 개미들은 나이에 따라 직업을 바꿨다. 어릴 때는 여왕개미와 알을 돌보고, ... ...
- PART 2. 아기 우주는 7번 울었다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암흑물질의 비율이다. 기존 추정에 비해 물질(바리온) 비율은 비슷하지만(5%), 암흑물질의 비율이 약 3% 늘어났고(27%) 반대로 암흑에너지는 3% 줄어들었다(68%). ‘무게를 잡는’ 암흑물질은 중력을 일으켜 우주를 수축시키고, 우주를 팽창시키는 암흑에너지는 반대 역할을 한다.따라서 둘 사이의 차이가 ... ...
- 정수리가 대머리라면, 심장병 조심하세요과학동아 l2013년 05호
- 3개의 연구는 11~14년 동안 추적 관찰한 것이다.분석 결과, 대머리인 남성이 심장병에 걸린 비율이 32% 높았다. 특히 정수리부터 이마까지 모두 빠진 대머리는 69%, 정수리만 심하게 벗어진 유형은 48%, 정수리가 약간 빠진 남성은 36% 높았다. 이에 비해 이마만 벗어진 대머리는 11%가 높아, 상대적으로 ... ...
- 키 크는 유전자는 없다! 해법은?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아동·청소년에게는 금물이다. 비록 수술이 성공적으로 잘 끝났더라도 성장 때문에 체형 비율이 망가지면 다른 수술이 불가피할 수도 있다. 수술로 늘린 종아리에 비해 허벅지가 지나치게 짧아져 허벅지도 연장수술을 해야 한다거나, 다리에 비해 팔이 짧아 팔도 함께 수술을 해야 하는 식이다.수술 ... ...
- 과학으로 본 성공방정식과학동아 l2013년 05호
- 늘었다!), 재밌는 생각을 하게 하자 12분으로 늘었다(무려 24배!). 15분을 견뎌낸 어린이의 비율도 각각 40%, 60%나 됐다. 아이를 만족지연으로 이끄는 것은 아이의 타고난 성향도 있지만, 어른이 이끌어 주는 행위 역시 무시 못하는 것이다.연구팀은 아이들을 만족지연으로 이끈 ‘생각’의 종류를 ... ...
- PART 3. 진실 혹은 거짓, 진짜 연구를 찾아라과학동아 l2013년 04호
- 한번 살펴볼까?비늘은 물고기의 표피를 덮고 있는 얇고 단단한 작은 조각이야. 종마다 비율은 다르지만 인산석회가 가장 많고 콜라겐과 소량의 탄산칼슘, 인산마그네슘으로 이루어져있지. 외부 충격으로부터 동물을 보호하는 기능이 있는 만큼 단단하지만 조각이 너무 작아 다른 데 쓰려면 압축을 ... ...
- [화보] 종이로 만든 입체 예술 , 팝업아트수학동아 l2013년 04호
- 책을 펼치면 쑥~ 나무가 자라고, 활짝~ 꽃이 핀다. 평평한 종이로 이뤄진 책을 입체적으로 만드는 이것은 ‘팝업아트’다. 종이를 정교하게 자르 ... 계산해서 만들었다. 사각형, 삼각형, 구 등 간단한 기하학 요소를 활용했지만, 정확한 비율과 각도 등을 맞춰 완벽한 기하학적인 미를 살렸다 ... ...
- [체험] 피보나치 수를 품은 잎차례와 앵무조개 만들기수학동아 l2013년 04호
- 대나무는 1/2잎차례, 벚꽃은 2/5잎차례다.그런데 식물의 나선형 잎차례와 피보나치 수의 비율을 나란히 두고 살펴보면 거의 똑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선형 잎차례를 구성하고 있는 수는 모두 피보나치 수이기 때문이다. 잎이 나는 순서를 따져 보면 잎과 잎 사이의 각도를 계산할 수 있다. 나선형 ... ...
- PART 2. 도시 사막화는 죽음을 부른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흥미로운 점이 있다. 녹지 면적이 적고 상대적으로 콘크리트와 아스팔트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도심 내부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초과 사망자가 더 많았던 것이다. 성동구, 마포구, 용산구, 양천구, 동대문구 등이다.녹지 면적과 여름철 노인 초과 사망자수는 어떤 관계에 있을까. 지난 100년간 ... ...
- PART 1. 잘 때 입술이 마르는 이유과학동아 l2013년 04호
- 것처럼 보인다는 얘기다. 무슨 뜻일까.상대습도는 포화수증기량에 대한 현재 수증기량의 비율이다. 포화수증기량은 기온이 높을수록 늘어난다. 대기 중에 수증기량이 같더라도 기온이 오르면 상대습도는 낮아진다. 이것이 서울의 습도가 낮아진 원인이라는 것이다.그러나 포화수증기량과 ... ...
이전991001011021031041051061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