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야"(으)로 총 7,602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미디어] 시네마틱 드라마, SF8수학동아 l2020년 08호
- 인식 기술, 키워드를 보고 스팸 메일을 걸러주는 서비스와 보안 기술까지! 이제 어느 분야에서나 AI를 사용한다. 점점 더 AI의 활용 범위가 넓어져 사람이 하는 일의 대부분을 AI가 하게 된다면, 지금보다 더 나은 사회가 될까?시네마틱 드라마 SF8은 물음표로 남아있는 미래의 모습을 영화감독의 ... ...
- [과동키즈] 내가 남극으로 향한 이유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첨단 기술 덕분에 관측 능력과 컴퓨터 연산 능력의 한계를 극복하며 발전하고 있다. 이 분야로 뛰어들면 공학적인 취미를 충족시키면서 과학 연구까지 해나갈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 가능하다면 외국에서 다양한 경험을 쌓으며 공부를 하고 싶었다. 블랙홀 관측 기기를 직접 만들다대학원 ... ...
- [나의 일본유학일기] 동아리, 여행, 프로젝트, 대회로 꽉 찬 여름방학과학동아 l2020년 08호
- 하고, 로봇 같은 부자연스러운 소리만 낼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우리는 음성인식 분야 전문가인 도쿄대 전자정보공학부 교수와 도쿄대병원 이비인후과 의사의 도움을 받아 이런 단점을 해결한 새로운 기기를 개발했다. 손으로 들 필요 없는 목걸이형으로 디자인하고, 음성변환에 쓰이는 ... ...
- [진로체험] 건설 현장의 문제도 수학으로 푼다! 인공지능 엔지니어수학동아 l2020년 07호
- '토목’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도로나 터널, 다리를 건설하는 현장의 모습입니다. 인공지능이나 수학과는 거리가 멀어 보이는 토목 분야에 인공지능 ... 검증해보곤 해요. 정말 재미있습니다. 여러분도 수학을 공부해서 저처럼 산업 분야의 문제 풀이에 도전해보세요 ... ...
- 1981년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20세기 흑사병’에서 만성질환으로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의 스타 농구선수 어빈 매직 존슨, 영국 록밴드 ‘퀸’의 프레디 머큐리. 이들은 본인의 분야를 주름잡았던 인물이라는 것 외에 또 다른 공통점이 있다. 모두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에이즈) 판정을 받았다는 것이다. 에이즈의 병리학적 기록은 1981년 미국에서 처음 보고됐다. 당시 남성 동성애자들을 ... ...
- 1987년 항체 다양성을 유전자로 설명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활발히 연구하고 있다. 1990년대 후반, 돌연 기존 연구 분야와는 전혀 다른 신경과학 분야로 넘어가 유전자 조작 기술을 이용해 신경세포를 연구 중이다. 그는 2013년 뇌 신경세포가 어떻게 잘못된 기억을 만들어내는지를 밝혀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고, 2014년에는 기억이 복원되는 과정을 ... ...
- [노벨상 수상자 특별 인터뷰] 피터 도허티 "백신 개발 전까지 코로나19는 위험한 질병"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미생물학및면역학과 교수는 우리 몸의 선천 면역반응이 일어나는 과정을 밝힌 면역학 분야의 대가다. 그는 면역세포가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만 정확하게 구별해 공격하는 원리를 알아내 1996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과학동아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를 극복할 ... ...
- [매스미디어] 신비아파트, 고스트볼 더블X 6개의 예언수학동아 l2020년 07호
- 동역학계는 시간에 따라 움직이거나 변하는 모든 것을 수학적으로 계산하는 수학 분야야. 수학 모형이 예측한 시나리오는 크게 4가지 유형이었어. 그런데 4가지 중 3가지 시나리오가 문명의 종말을 예고했어. 주요 자원을 바꾸지 않은 채 마구잡이로 쓰거나 자원을 바꾸더라도 안정적으로 ... ...
- [에디터노트] 바이러스 특별판을 펴내며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준비하는 대신 온라인을 통해 자신이 알아낸 사실부터 먼저 공개했다. 의학과 생명과학 분야 논문 초고 등록사이트인 ‘메드아카이브(medRxiv)’와 ‘바이오아카이브(bioRxiv)’에는 2020년 6월 20일 현재 코로나19와 관련한 논문 초고만 총 5459건이 올라와 있다. 지금까지 과학자들이 확인한 ... ...
- 1908년 혈청 치료법을 완성하고 포식 이론을 발표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규명한 파울 에를리히와 일리야 일리치 메치니코프에게 돌아갔다. 두 연구자의 연구 분야는 달랐다. 에를리히는 디프테리아의 혈청 치료법을 완성했다. 디프테리아는 호흡기 감염병으로 디프테리아균(Corynebacterium diphtheriae)에 의해 발생한다. 혈청 치료법은 병원체에 대한 면역성을 갖게 된 면역 ... ...
이전991001011021031041051061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