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둘"(으)로 총 3,399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음료만 마셔도 릴렉스~ 된다고요?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수 있도록 하는 이완음료(relaxation drink)’라고 분명히 선을 긋고 있다. 수면과 이완, 이 둘은 무엇이 다른 걸까.성난 황소를 잠재울 생기 없는 암소슬로우 카우가 출시된 것은 2008년. 에너지음료인 ‘레드 불(Red Bull)’과 정반대의 음료를 개발하고자 캐나다의 세 친구가 합심했다. 제품 이름뿐만 ... ...
- [Knowledge] 티라노사우루스는 부채춤을 췄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많기 때문이다. 파충류의 눈에는 보통 넷 또는 다섯 종류의 색수용체가 있다.포유류는 둘 또는 세 종류뿐이다.팔굽혀펴기에도 사투리가 있다몸짓을 이용해 의사소통을 하는 파충류도 있다. 호주에 사는 도마뱀인 재키드래곤은 영역에 침입자가 들어왔을 때 앞다리를 한 번 흔들고 고개를 한 번 ... ...
- Part 1. 인공지능, 바둑에 도전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있는 자리는 19×19=361개예요. 다음 차례인 백의 자리는 하나가 줄어든 360개가 되겠죠? 이 둘의 조합이 만들 수 있는 경우의 수는 361×360=12만 9960개예요. 다시 흑이 놓이는 경우의 수까지 계산하면 4665만 5640이라는 어마어마한 수가 나와요.결국 바둑판에서 대결을 펼치는 경우의 수는 최대 250150이라는 ... ...
- Part 2. 좀비의 공격에서 살아남으려면?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알아낸다. 감염자는 회복하면 다시 정상인이 되고, 죽으면 사망자가 되기 때문에 이 둘의 관계만 방정식으로 나타내면 된다.그런데 좀비 전염병 모델에서는 죽은 사람이 부활해 좀비가 되기 때문에 사망자에서 좀비가 되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 또 사망자에는 죽은 좀비도 포함된다. 연구팀은 좀비의 ... ...
- [Knowledge] 페르마, 진짜 여백이 부족했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모듈형태는 해가 여러 급수 형태로 표현된다. 와일즈 교수는 수학적 귀납법으로 이 둘이 같다는 사실을 증명하기로 마음먹었다. 수학적 귀납법은 무한 개의 명제 중에서 첫 번째 명제가 참임을 증명하고, 어떤 명제 하나가 참이면 그 다음 명제도 참임을 증명해 전체를 증명하는 방법이다. 도미노를 ... ...
- [Knowledge] “어떻게 내가 너의 우산이 돼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보는 두 가지 동등한 방법이다. 둘 다 해밀턴의 규칙이라는 같은 결과를 낸다. 둘 다 사회적 상호작용을 만드는 유전자가 남기는 복제본의 개수를 정확히 세도록 해준다. 즉, 자연 선택은 각 개체의 포괄-적합도(혹은 이웃-조정 적합도)를 최대화한다.여기까지 이해했다면 일단 핵심은 파악한 셈이다. ... ...
- [Tech & Fun] 익스팬스, 깨어난 괴물의 습격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수 있을까요.사람을 감염시키는 병원체는 크게 세균(박테리아)과 바이러스가 있습니다. 둘 모두 유전 물질인 DNA(혹은 RNA)를 가지고 있죠. 하지만 균은 독자적으로 살아나갈 수 있는 생명체고, 바이러스는 숙주가 없으면 물질대사를 전혀 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큽니다. 바이러스의 숙주는 균일 ... ...
- [Career] “궁금증이 내 연구의 원동력”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외롭고 막막했죠. 그러나 이제는 제가 뼈대를 쌓은 건물의 빈틈을 젊은 과학자들이 하나둘씩 채워가고 있습니다. 호텔을 처음 세우는 것만큼 중요하고 대단한 일입니다.”호기심이 가리키는 마음의 길다음 날인 6월 1일 오전 10시,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성균관대새천년홀에 치에하노베르 교수의 ... ...
- 아인슈타인의 중력파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하지만 나는 ‘상대성이론’을 발표해서 뉴턴과 전혀 다른 방법으로 중력을 정의했지. 둘 중 누구의 말이 맞는지 궁금하다고?뉴턴과 아인슈타인의 중력1600년대 과학자들은 태양계에 있는 행성들이 어떻게 태양 주위를 계속해서 도는지 궁금해 했어요. 그리고 이걸 ‘중력’ 때문이라고 설명했어요 ... ...
- [Interview] 차세대 전자 의수 도전하는 오상록 KIST 박사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그제야 알겠더라고요. 신경을 감싼 관이 두툼해서 힘을 한참 줘야 뚫립니다. 신경 다발을 둘러싼 관을 뚫을 기계를 추가로 개발해야만 하는 거죠.”공공 의료복지 차원에서 접근해야연구단은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바이오 메카트로닉스와 재활 및 수술 로봇에 관한 원천 특허를 확보할 계획이다. 또 ... ...
이전991001011021031041051061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