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민중
서민
군중
백성
집단
민생
국민
d라이브러리
"
대중
"(으)로 총 1,760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는 더 이상 내가 아니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중요하게 여기는 소규모 뉴스그룹이나 토론방과 달리 불특정 다수가 참여하는 인터넷
대중
매체나 포털 사이트에서는 참여자들 간에 ‘내편-네편’이라는 편 가르기 현상이 쉽게 촉발될 수 있다.이런 구분을 토대로 대화가 이뤄지기 때문에 공격적이거나 극단적인 메시지들이 그만큼 쉽게 구성되고 ... ...
천재 미디어 아티스트 백남준을 추모하며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쌓아 만든 ‘백팔번뇌’란 작품을 선보였다.백남준 미술의 가장 큰특징은 비상업성과
대중
성, 심각한 사상이나 철학을 배제한 즉흥성을 추구하며 동서양을 구별짓지 않는 아이디어로 작품을 만드는데 있다.뉴욕 구겐하임 미술관의 큐레이터 존 핸 하르트는 “백남준의 비디오아트가 르네상스의 ... ...
추위와 폭설, 한반도를 덮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2호
0시간 이상 도로에 갇히는 일이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대부분의 학교가 휴교를 하고
대중
교통의 운행이 모두 정지되는 등 많은 사람들의 일상생활도 마비됐습니다.피해는 이뿐만이 아닙니다. 엄청나게 많은 눈이 계속 쌓이면서 겨울 채소를 키우던 비닐하우스가 주저앉고 튼튼하게 만들어지지 ... ...
언어는'웨' 바뀌는가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언어 변화 추이를 디지털로 계량화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한 예로 일제강점기
대중
가요의 가사에 나온 단어를 수집해 오늘날의 가사와 비교 분석하는 연구가 이미 진행 중이다.전문가들은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 사례를 과학적으로 분석하면 앞으로 언어가 변화하는 속도와 경향을 짐작할 수 ... ...
부끄럼 많은 태양계의 외톨박이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영향을 줄 수 없었다. 명왕성은 로웰의 ‘행성 X’가 아니었다.그럼에도 명왕성의 발견은
대중
의 열광을 불러일으켰고, 발 빠르게 편승한 월트 디즈니 영화사는 같은 해에 명왕성의 영어명인 플루토(Pluto)라는 이름의 다소 얼빠진 개를 만화영화의 주인공으로 등장시켰다. 처음 명왕성의 이름을 지을 ... ...
왜 우리는 황우석을 믿었는가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과거 황우석 박사의 연구가 진위와 관계없이 과대포장되고 이를
대중
이 추종한 것은
대중
매체의 문제점을 여실히 보여준 것이며, 지금도 이 사건은 여전히 다른 사건에 비해 유독 과도하게 보도되는 경향이 있다.사람은 불완전하다. 사람의 믿음이나 판단은 더욱 불완전하다. 그럼에도 사람들은 ... ...
분자의 과속은 무죄!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펨토초 연구를 이제는 꽤 ‘
대중
적’으로 만들었다.김 교수는 “이 분야가 결코
대중
적인 분야는 아니다”라고 말하면서 “자신의 연구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인정을 받고, 논문이 인용되고, 학회에 초청되면서 외국 학자들 사이에 내 이름이 회자되는 것이 기쁨이고 보람”이라고 말했다.그간의 ... ...
PART2 과학동아가 걸어온 20년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올해로 과학동아는 창간 20주년을 맞았다. 지난 20년 동안 과학동아는 한국에서 과학
대중
화의 씨앗을 심고 물과 거름을 줬다. 어느새 그 씨앗들이 열매를 맺고 있고 과학동아는 한국을 대표하는 최고의 과학잡지로 자리잡았다. 모두 독자들이 보내준 과분한 사랑 덕분이다. 창간 20주년을 맞아 ... ...
2007년 4월 꿈은 이루어진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측면뿐만 아니라 과학
대중
화를 위한 홍보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노력”이라면서 “
대중
친화력과 단정한 외모는 중요한 선발 기준이다”고 말했다. 항우연은 최종 선발된 이들 우주인 2명을 정식 채용할 용의가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몸짱과 두뇌짱으로 거듭난다한국 최초의 우주인은 8~10일간 ... ...
PART1 과학잡지가 바꾼 세상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일본에는 뉴턴, 프랑스에는 라시앙세라비, 독일에는 스펙트럼 등 대표적인
대중
과학잡지가 그 나라의 과학 수준을 한층 끌어올리고 있다.과학기술은 현대사회와 문명의 기본 인프라이다. 과학기술 인프라가 삶의 질 향상과 행복추구를 위해 옳게 쓰이려면 사회 구성원들이 올바른 과학지식과 ... ...
이전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