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길이"(으)로 총 4,9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식물 속 동물 찾기] 호랑버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4월에 샛노란 꽃을 피우지요. 이때 암그루와 수그루의 꽃 모양이 달라요. 수꽃은 길이가 2~3cm 정도로 노란색 수술이 빽빽하게 나 있는 반면, 암꽃은 4~7cm 정도로 조금 더 길며 녹색 암술이 비교적 덜 촘촘하게 나 있답니다. 흔히 호랑버들의 꽃이라 알려진 건 대부분 수그루의 꽃이지요. 산을 오르다 ... ...
- [현장취재] 지구를 위한 과학 정기강좌 4강, 오로라를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NASA)에서는 오로라 관측 로켓을 발사해서 매년 오로라를 관측하고 있어요. 길이 15m 정도의 로켓 안에는 방사능 센서, GPS, 자이로 센서, 산소 측정 센서, 미세 입자 측정 센서 등 여러 센서가 들어 있어요. 이를 통해 방사성 물질과 오로라 내부의 입자들을 측정할 수 있답니다.” 오로라 관측 로켓의 ... ...
- [이기자의 1마감1게임] 게팅 오버 잇 위드 베넷 포디수학동아 l2018년 04호
- 필요한 힘은 어마어마해집니다. 미국의 유튜브 크리에이터 매튜 패트릭은 망치의 길이를 1m 18cm로 추정했습니다. 게임 속 런던 공중전화 부스 높이와 망치 높이의 비율을 나타내는 비례식에 실제 공중전화 부스의 높이인 2m 51cm를 대입했죠. 주인공은 3m도 안 되는 거리를 움직일 때마다 자기 ... ...
- Part 4. 날씨를 정확하게 파악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현상이 나타나 빙판이 녹아 내렸어요. 결국 스케이트 경기는 취소되고 말았지요. 또 50km 길이의 눈길을 지나야 하는 크로스컨트리 스키는 무려 25℃의 더운 날씨 속에서 진행됐답니다. ●가시도 : 눈으로 어떤 물체를 보고, 어떤 물체인지 알아볼 수 있는 최대 거리. 이 때문에 과학자들은 동계 ... ...
- [가상인터뷰] 고래의 청력을 손상시키는 멕시코조기의 합창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달하는 멕시코조기를 잡았지요. 티모시 로엘 연구원은 “최근 멕시코조기의 평균 몸 길이가 10cm 정도 줄어들었는데, 이는 어민들이 계속해서 큰 멕시코조기를 포획했기 때문”이라며, “국제적인 멸종위기종이 된 멕시코조기에 대한 과도한 포획을 멈춰야 한다”고 말했어요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8년 03호
- 대신 번호를 이용하면 이 함수는 f (1)=2, f (2)=3, f (3)=4라고 표시할 수 있어요. 어떤가요? 길이가 짧아졌다는 게 가장 눈에 띄지만, 더 좋은 점은 저, 다솔, 진호의 번호와 관계있는 메뉴의 번호가 항상 1만큼 크다는 사실을 이용해 이 함수를 f (x)=x+1로 적을 수 있다는 겁니다. x대신 1, 2, 3 중 하나를 .. ...
- [Issue] 노벨상 산실 가속기 누가 먼저 짓나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말했다. ILC는 일본이 2013년부터 추진해 온 세계 최대 규모 선형가속기 건설 프로젝트다. 길이가 약 31km로 중국의 CEPC에 비해 전체 규모는 작지만 직선형 가속기 중에서는 세계에서 가장 크다. 일본의 계획은 중국의 CEPC처럼 ILC를 ‘힉스 공장’으로 만들겠다는 것이다. 전자와 양전자를 가속시킨 뒤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떠올리는데요. 미토콘드리아도 자신만의 DNA를 갖고 있습니다. 염색체에 비하면 그 길이가 아주 작아서 A4용지 6페이지에 염기서열을 모두 적을 수 있는 수준이지만, 여기에 돌연변이가 생길 경우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이 저하되고 세포가 충분히 에너지를 만들어내지 못해 결국 사망에 이릅니다 ... ...
- Part 2. 고층대기부터 유전체 발굴까지 극지 연구의 현재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대표적인 연구가 극지 요각류 연구다. 요각류는 새우나 게 같은 갑각류의 한 종류로 몸길이가 보통 1~4mm 내외에 불과하다. 그간 연구팀은 남극 고유 생물인 요각류(Tigriopus kingsejon gensis)가 강한 자외선을 받았을 때 스트레스에 어떻게 반응하고, 이때 항산화 방어 기작을 어떻게 작동하는지 ... ...
- [Future] ‘사이보그 동물’이 온다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밝혔다. ‘사이보그 반려견’ 나올 수도바이오하이브리드 로봇이 상용화되기까지는 갈 길이멀다. 가장 큰 문제는 세포나 근육의 생존이다. 바이오 하이브리드 로봇이 작동하려면 이들이 생존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춰져야 한다. 최 교수는 “가오리 로봇에 붙어 있는 세포를 살아있는 상태로 ... ...
이전991001011021031041051061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