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술정보"(으)로 총 4,669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유튜브로 공부한 AI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누워” 하면 자리에 눕고 “걸어 가” 하면 걷기 시작하는, 말 한 마디로 조종이 가능한 로봇의 탄생이 멀지 않았다. 오성회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팀은 사람의 말과 행동 간의 관계를 스스로 습득하는 인공신경망인 ‘텍스트투액션(Text2Action) 네트워크’를 개발했다. 이 인공신경망에 사람 ... ...
- ‘나노영챌린지 2017’ 6개월 대장정 막 내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11월 7일 최종 심사를 거쳤고, 여기서 3개 팀이 본상 수상팀으로 결정됐다. 최우수상(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상)은 학부생으로 구성된 아주대 팀에게 돌아갔다. 2차원 신물질을 이용해 양자컴퓨터에 필요한 큐비트(Qbit) 구현 가능성을 확인했다. 큐비트는 0과 1의 디지털 신호가 아니라 둘이 섞여 있는 ... ...
- [Issue] “저는 책 나르는 로봇 ‘어라운드’입니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11월 6일 부산 수영구에 위치한 예스24 중고서점 F1963점. 2주 전부터 서점 안에는 로봇이 돌아다니고있다. 이 로봇은 예스24와 네이버랩스가 공동으로 개발한 자율주행 책 운반 로봇 ‘어라운드(AROUND)’다. 매장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어라운드가 반긴다. 바퀴가 달려 있어 울퉁불퉁한 바닥도 잘 다 ... ...
- [Future] 알파고 제로, 공식을 깨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알파고’는 어느덧 인공지능과 동의어가 됐다. 의료, 법률, 금융과 같은 전문분야는 물론이고, 축구나 예능에서조차 인공지능을 뜻하는 용어로 알파고가 쓰인다. 심지어 최근에는 인간이 제공한 데이터 없이, 무(無)에서 출발해서 혼자 가상 대국을 하며 스스로 기력을 쌓았다는 알파고 ‘제로 ...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컴퓨터를 켜면 친구들은 가장 먼저 무엇을 하나요? 아마 인터넷에 접속해 친구들과 메신저로 대화하고, 메일을 보내고, 어과동 홈페이지에 포스팅과 기사를 올리겠죠? 이처럼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되는 인터넷은 누가 발명했을까요? 바로 팀 버너스리라는 컴퓨터 공학자랍니다.버너스리는 1955 ... ...
- 사진 속에 비밀을 감춰라! 스테가노그래피수학동아 l2017년 11호
- 내 눈은 황금눈?사진에 정보를 숨기는 방법을 살펴보기 전에 우리 눈이 색의 차이를 어느 정도로 구분할 수 있는지부터 테스트해볼 거예요. 방법은 간단합니다. 아래 타일 뭉치에 있는 정사각형 모양의 16개 타일 중 2개만 나머지와 색이 다릅니다. 눈을 크게 뜨고 여섯 개의 타일 뭉치에서 색이 다 ... ...
- [Issue] 양자컴퓨터 전쟁 시작과학동아 l2017년 11호
- 2017년은 ‘양자컴퓨터의 해’로 기록될 것 같다. 정보기술(IT) 업계를 좌지우지하는 글로벌 기업들의 양자컴퓨터 개발이 올해 성숙기에 접어들었기 때문이다. 구글, IBM, 마이크로소프트 등 3대 IT 공룡들은 마치 약속이라도 한 듯 잇달아 가시적인 성과를 내놓고 있다. IT 업계가 주도하는 ‘양자컴퓨 ... ...
- Part 3. [생리의학상] 생체시계 유전자들의 하모니 ‘분자시계’ 규명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대전에서 학부 4년을 마치고 1999년 필자가 입학한 대학원 실험실에는 한 가지 특별한 규칙이 있었다. 오전 9시 30분 출근, 이후 30분씩 늦을 때마다 1000원씩 벌금을 내 모인 돈으로 10명 남짓한 구성원들이 함께 점심을 사먹는 단순하지만 엄격한(?) 규칙이었다. 사람들이 말하는 전형적인 ‘올빼미형 ... ...
- Part 5. [노벨상 예측] 노벨상 제정 벌써 117년 향후 노벨상 탈 연구는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미국 데이터 분석 서비스 기관인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전 톰슨로이터 지적재산 및 과학분야 사업부)는 2013년부터 매년 주목할 만한 연구 분야들을 꼽아 ‘리서치 프론트(Research Front)’라는 보고서로 발간해왔다. 최근 7년간 세부 분야별 핵심 논문들의 발행 수와 인용 횟수가 상위 1%에 드는 분 ... ...
- [Origin] 미라가 알려주는 조선 양반 사망 사건의 전말과학동아 l2017년 11호
- * 편집자주조선시대 김 씨와 정 씨 부인의 이야기는 신동훈 서울대 의대 교수와 서민 단국대 의대 교수 공동연구팀의 미라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가상으로 재구성했습니다. 1643년 인조 21년, 경북 청도군에 사는 양반인 60대 남성 김 씨는 숨이 턱 막히는 고통에 잠에서 깼다. 누군가 멱살을 잡은 듯 ... ...
이전991001011021031041051061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