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본"(으)로 총 4,883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최고의 방정식을 소개합니다!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물리학과 교수는 ‘디락 방정식’을 최고의 방정식으로 꼽았다. 박 교수는 “자연의 기본 입자인 쿼크와 전자의 행동을 기술하는 이 방정식이 간결하면서도 아름다운 방식으로 상대성 이론과 양자역학의 정수를 모두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전했다.김재경 KAIST 수학과 교수는 신경세포의 ... ...
- Part 3. ‘딥러닝’ 넘어야 인공지능 시대 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추상화를 해낸다. 아직까지는 단순한 개념을 받아들이는 기계에 불과하지만, 이런 기본적인 개념을 쌓고 쌓는다면 언젠가는 인간에 필적하는 지능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다. 아직은 까마득한 길이지만 말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알파고 쇼크, 그 후Part 1. 알파고가 우리에게 남긴 ... ...
- [Tech & Fun] 돌먼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못 되어도 코쇠를 벗어날 정도의 재능은 있는 아이들이었지만, 그는 그들에게 왜 굳이 기본 교과목이 아닌 공부를 더 하고 광물과 식료품을 나를 때에나 쓰이는 우주선을 타야 하는지, 저 너머에 다른 직업과 다른 세계가 있다는 것을 왜 굳이 알아야 하는지, 시공간을 넘은 끝에 빈손으로 고향에 ... ...
- [지식] 고양이의, 고양이에 의한, 고양이를 위한 나라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삽입곡 ‘수학의 기본은 더하기’ 중이 작품에 나오는 탐정 고양이는 왜 하필 수학 천재일까요? 작품을 제작한 엄동열 프로듀서는 ‘전 세계로 진출하는 뮤지컬을 만들기 위해서’라고 밝혔습니다. 모두가 쉽게 이해하려면 ‘난타’처럼 말없이 진행되는 작품이 유리하지요. 하지만 말 없는 ... ...
- [수학동아클리닉] 삼각형의 세계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변의 수가 가장 적은 다각형으로 모든 도형의 기본이다. 삼각형 자체를 중심분할해 작은 삼각형 3개로 나눌 수 있고, 사각형에 대각선을 그어서 삼각형 2개 또는 4개로 만들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오각형도 삼각형 3개 또는 5개로 나눌 수 있다. 이처럼 어떤 다각형도 여러 개의 삼각형으로 나눌 수 ... ...
- Part 1. 알파고가 우리에게 남긴 것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아직까지 그 그물은 헐겁다. 인공지능이 처음부터 독자적으로 쌓아 올린 생각이 아니라, 기본적으로 인간을 흉내 낸 기술이기 때문에 아직은 그것을 뛰어넘는 창의성에는 약점을 보일 것이다. 만약 인간에게서 완전히 벗어난 새로운 학습법이 등장한다면 이마저도 무용지물이 되겠지만, 아직까지는 ... ...
- Part2. ‘알파크래프트’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으름장을 놓는 이들도 있다.하지만 이런 걱정은 너무 앞서간 듯하다. 스타크래프트는 기본적으로 전략적인 판단을 매우 중요시하는 게임이기 때문에 단순히 컨트롤 실력만으로 전체 게임을 승리할 수는 없다. 컨트롤로 국지적인 전투에서 이득을 볼 수 있을지는 몰라도 결과적으로 게임을 이기기는 ... ...
- [News & Issue] 2020년, 암흑물질 잡는 특별한 망원경이 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아닌 필수”라고 강조했다.가장 간단한 기계학습은 천문학자들이 학습 가능한 자료와 기본적인 학습 방법을 설정하면, 컴퓨터가 스스로 최적의 학습 방법을 찾아내 학습하고 이것으로 특정한 임무를 수행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밝기가 변하는 천체들의 정보 전체를 학습 가능한 자료로 설정하면, ... ...
- Part 2. 왓슨과 딥블루는 어떻게 챔피언을 무너뜨렸나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때 딥블루는 여기에 걸려들었다. 점수가 낮은 말은 점수가 높은 말과 교환하라는 체스의 기본 이론을 따르느라 그 뒤에 숨겨진 큰 그림을 보지 못한 것이다. 한 쪽 진영이 취약해진 틈을 타서 카스파로프의 폰들이 진출했고 45수 만에 딥블루가 항복했다.싱겁게 끝나는 경기에서 문제가 된 것은 ... ...
- [재미] 파이송 작곡 도전기수학동아 l2016년 03호
- 것에 착안해 의 소수점11자리까지를 이용해 코드 진행을 만들어봤다. 각 키에서 기본적으로 쓰이는 코드의 수가 7개이므로 8은 1도 코드로 9는 2도 코드로 나타냈다. ‘도레미파솔라시’가 계속 반복되는 주기성을 이용한 것이다. 수학적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즉 ‘f (9)=f (2) ... ...
이전991001011021031041051061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