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능"(으)로 총 5,76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식물의 기능 중 하나는 영양분을 ‘저장’해 두는 거예요. 저장의 뜻은 단어를 이루고 있는 한자를 살펴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어요. ‘쌓을 저(貯)’와 ‘감출 장(藏)’으로 이뤄져 ‘쌓아서 감추어 두다’를 의미하거든요.‘쌓을 저(貯)’의 왼쪽에는 재물을 뜻하는 ‘조개 패(貝)’가, 오른쪽엔 ... ...
- [소프트웨어] 스마트폰으로 즐기는 프라모델 놀이터 셈스게임즈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맞으면 두 부품을 조립한다. 조립이 끝나면 프라모델의 재질과 색을 바꿀 수 있다. 이 기능을 이용해 자동차의 외관을 멋지게 꾸밀 수도 있다.아이디어가 좋아서일까. 2011년 11월 처음 선보인 플앱은 아주 빠른 시간에 50만 다운로드를 돌파했다. 디지털 완구의 가능성을 엿본 안 대표는 동료들과 1년 ... ...
- [과학뉴스] 한강 발원지서 신종 ‘수질정화 미생물’ 발견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한강의 발원지인 강원 태백시의 검룡소에서 수질정화 능력을 가진 신종 미생물을 발견했다고 11월 7일 밝혔다.국립낙동 ... 것을 확인했다”며 “앞으로 배양기술을 개발해 국내 담수 유용생물자원의 발굴과 기능성 생물소재 개발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 [Knowledge] 뒤섞인 시체들의 신원 파악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슬픔은 무엇보다 크다. 특히 많은 사람이 한꺼번에 사망하는 재해가 발생하면 사회의 기능마저 마비되기 때문에, 이 상황을 누군가는 정리해야 한다. 이 과정의 중심에는 법의인류학자가 있다. 그리고 더 나은 법의인류학자를 만드는 건 데이터다. 우리 나라는 아직 걸음마 단계다. 시체농장도 좋고, ... ...
- Part 1. 세포를 죽이는 살균제의 능력!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세균의 세포막 단백질의 구조에 영향을 미치거나, DNA를 바꿔요. 그러면 세포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세균이 죽게 되지요. 그런데 사람을 포함한 동식물 역시 모두 세포로 이루어져 있어요. 그래서 살균제는 잘못 사용하면 다른 생물에게도 크고 작은 피해를 끼치게 된답니다. 특히 들어온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장미꽃 뒤의 검은 그림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물과 양분도 농도가 높은 뿌리로 들어온 뒤, 필요한 곳으로 이동한답니다.마지막 세 번째 기능은 잎에서 만들어진 영양분을 저장하는 ‘저장작용’이에요. 영양분을 저장하는 뿌리는 열매처럼 굵고 통통한 모양으로 자라요. 이를 ‘저장뿌리’라고 부르는데, 고구마와 당근, 무가 저장뿌리에 ... ...
- [과학뉴스] 세포와 함께 하는 메리크리스마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세포 소기관 자가 소화 현상 ‘오토파지★’다.★ 오토파지 : 세포 안에서 더이상 기능을 하지 못하는 단백질이나 세포소기관을 분해해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만드는 과정이다.①번 사진은 효모 세포 안에서 오토파지가 일어나는 모습으로, 위의 동그란 구조물이 자가소포체다. 자가소포체의 막과 ... ...
- [News & Issue] 영하 20℃, 습도 40%… 이곳에서 씨앗이 겨울잠을 잔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있어 향후 자생지가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씨드볼트는 내년 초까지 종자 저장 및 연구 기능을 완벽하게 갖추고 국립백두대간수목원 개장과 함께 본격적으로 가동을 시작할 예정이다. 장정원 연구원은 “2023년까지 약 30만 점의 종자를 모아 보관할 계획”이라며 “중심 터널에 종자장기저장고 ... ...
- [News & Issue] 대통령 담화문에서 배우는 올바른 사과 비법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인지적 영향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는 최근 실험참가자 40명의 뇌를 fMRI(기능적자 기공명영상)로 촬영하면서 책임을 인정하거나 부정하는 공개 사과문을 읽게 했다. 실험 결과, 책임을 인정하는 사과문을 읽은 사람은 공감을 담당하는 ‘사회적 뇌’ 부위가 활성화됐다. 반면 책임을 ... ...
- Part 2. 내 안에 펼쳐진 나만의 우주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사건의 종류나 규모와 관련이 있다.최근 국내외 연구는 프랙탈을 통해 인체의 구조와 기능을 밝혀내는 수준에만 머물지 않는다. 프랙탈을 활용해 질병을 조기에 진단하거나 치료하는 방법을 찾아내려고 한다. 몸속 깊이 뿌리 내리고 있는 거대한 우주에 한걸음씩 들어가면서 말이다. 기관지는 ... ...
이전991001011021031041051061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