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능"(으)로 총 13,089건 검색되었습니다.
- 진짜보다 더 진짜처럼, 상상력을 그려내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하지만 최근에는 하드웨어 성능이 높아지고 기술이 발전하면서 정교한 실시간 작업이 가능해졌고 이게 VP를 통해 실현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게임엔진인 ‘언리얼 엔진’을 만든 에픽게임즈는 영화 제작용 솔루션을 별도로 제공하고 있으며, ‘크라이 엔진’을 제공하는 크라이텍은 ... ...
- 넷플릭스가 안줘서 직접 만들었습니다 '오징어 게임 오락기'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나노로 제어해 고개를 오른쪽으로 돌렸다가 다시 왼쪽으로 홱 돌아보는 식의 예측 불가능한 영희의 움직임을 만들어줍니다.다이나믹셀 AX-12A 모터를 아두이노 나노로 제어하는 과정이 순탄하지만은 않습니다. 다이나믹셀 AX-12A 모터와 아두이노 나노는 사람으로 치면 언어에 해당하는 통신규격이 ... ...
- [특집] 핼러윈 수를 만들어야 입장 가능! 악마의 핼러윈 파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2호
- 이제 핼러윈 파티를 마음껏 즐겨 보자고~! 맛있는 음식은 준비돼 있으니 마음껏 먹도록 해. 앗, 그런데 아직 손님들이 오지 않았군. 내가 초대장을 미리 보내두었는데 말이야. 나만의 핼러윈 수를 가지고 오면 누구든 입장할 수 있어. 서로가 만든 핼러윈 수를 자랑하면서 파티를 즐기는 거야!열려있 ... ...
- 누리호│기적의 성공, 작은 아쉬움 “내년 5월 완벽에 재도전”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낮아진 이유로는 탱크, 배관, 밸브의 기밀이나 압력을 제어하는 센서에 이상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최환석 항우연 부원장은 “11월 12일 내부적으로 비정상 상황 조사위원회를 꾸려 3단 산화제 탱크의 압력이 낮아지게 한 원인을 추렸다”며 “원격 측정 데이터를 토대로 각 항목을 ... ...
- 우주 끝에 한 걸음 더, 차세대 탐사선 3과학동아 l2021년 12호
- 그러나 NGST는 HST보다 약 3000배 먼 약 150만km 상공으로 보내기에 중도 수리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과학자들은 강렬한 자외선과 극한 온도를 견딜 수 있도록 NGST를 설계했고, 완벽한 상태로 우주에 띄우기 위해 실험을 거듭했다. 1990년 말 1조 원이던 NGST의 예산은 점점 불어났다. 2002년, NASA는 이 ... ...
- 애니메이션 제작일기 '유미의 세포들'을 만나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엄청난 인기를 누렸잖아. 레드슈즈가 그 목표를 향한 첫 작품이었고, 유미의 세포들에서 가능성을 봤다고. 창의.그래서 다양한 시도도 많이 해봤고, 차기작도 열심히 준비하고 있어. (비밀이라는 듯 스타 귀에 속삭이며) 퇴마록이라는 판타지 소설을 원작으로 애니메이션도 만들고 있지. 꽤 오래전 ... ...
- [논문탐독] 나노분자 바구니에 담아 무게를 측정하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의해 복합체 구조를 이룬다는 특성을 밝힌 덕분입니다. 빠르고 정확한 질량분석 가능해져주인-손님 화학 기법은 유기합성에서 많이 활용되는 기법입니다. 대부분의 유기·무기화학 실험은 액체 상태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주인-손님 화학 기법도 액체나 고체 상태의 물질을 평가하는 데 ... ...
- [NST, 모두를 위한 연구] “잠수함을 검증한 기술로 전기선박에 도전합니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해결하도록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전기추진 차도선은 배터리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목포시는 육상에 전기충전소를 만들어 선박추진용 배터리와 함께 섬에 전력을 공급할 배터리도 충전한다는 계획이다. 선박이 오가며 섬에서 쓸 배터리를 실어나를 예정이다.한국전기연구원은 ... ...
- [특집] 우주 탐험가,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수학동아 l2021년 12호
- 이어 붙인 거예요. 정웅섭 책임연구원은 “우주망원경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선 거울을 가능한 크게 만드는 게 유리하지만, 우주로 보내거나 우주 환경에 견디기에는 불리해 지상망원경처럼 크게 만들 수 없다”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조각 거울 여러 개가 하나의 거울처럼 작동하도록 이어 붙인 ... ...
- [특집] 고기잡이 문제, 어떻게 해결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한다고 입을 모아요. 시민환경연구소의 김은희 연구위원은 “특히 어획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한 ‘노테이크존’이 더 필요하다”라고 강조했죠. 그런데 물고기를 잡을 수 없는 노테이크존이 생기면, 그 지역에 사는 어부들의 생계가 위협받지 않을까요? 김은희 연구위원은 “노테이크존은 ... ...
이전991001011021031041051061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