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세
지형
d라이브러리
"
땅모양
"(으)로 총 1,209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람을 삼키는 비누방울과 네모난 비누방울
과학동아
l
199303
사람을 비누 방울 속에 넣거나 네모난 비누 방울을 만든다면 외국에서나 하는 일쯤으로 생각하겠지요. 그러나 우리도 할 수 있습니다.비누 방울의 매력은 어디에 있을까요? 세계 어느 나라든지 어린이들이 비누 방울 놀이를 하지 않는 곳은 없을 겁니다. 어른이 되고 나서도 비누 방울 놀이를 하는 ... ...
4. 원자핵·전자 속의 또다른 세계
과학동아
l
199302
여섯종류의 쿼크, 이들을 결합시키는 글루온, 그리고 전자를 구성하는 렙톤 등이 현재까지 밝혀진 소립자의 기본 단위다.요즘 물리학자들은 이 세상이 어떻게 구성돼 있는지 알고 있다고 제법 뽐내고 있다. 그들의 말을 빌리면 이 세상은 '소립자'라고 하는 작고 작은 기본 입자들로 이루어져 있다 ... ...
3. 입자·파동 이중성지닌 새로운 실체
과학동아
l
199302
20세기 상대성이론과 양자론이 등장하면서 물질세계는 또 한번의 대변화를 겪었다. 아원자의 세계에서 고전물리학은 뼈저리게 무력감에 빠졌다.물질의 기본 구조를 밝히기 위한 노력은 20세기에 들어와서 커다란 발전을 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노력은 19세기에 원자론의 주된 기수였던 화학으로부 ... ...
2. 화학의 혁명, 우주 원소 가족 103종 발견
과학동아
l
199302
플로지스톤설에 얽매여 있던 화학자들은 18세기말 라브와지에의 연소실험을 계기로 새로운 원소를 발견하기 시작했다. 멘델레프의 주기율표가 등장하면서 급격하게 원소수가 늘어 현재의 1백3종이 자리를 잡았다.역학과 생물학에서 커다란 변화를 겪고 있던 17세기. 화학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던 ... ...
맨눈과 망원경의 차이
과학동아
l
199301
천체망원경으로 관측을 해도 별이 주먹만하게 보이지 않는다. 우선은 망원경의 실상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급선무다.광학기기 판매장이나 학교 과학실에서 천체망원경의 모습을 보면 "이것으로 밤하늘을 보면 별이 주먹만하게 보이고 또 우주의 모습을 들여다보면 뭔가를 볼 수 있는거구나!"라 ... ...
맨틀과 핵
과학동아
l
199212
경제때문에 불안한가? 정치는? 또한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지구를 훼손하는 정말 근절키 어려운 사람들의 경향에 대해선? 어떤 과학학문은 이와같은 넓고 깊고 멀리보는 시각을 가져 그 학문세계로 빠져들어 일상생활의 변화상을 망각함으로써 한동안 안심할 수 있도록 만들기도 한다.천문학이나 우 ... ...
갯지렁이의 별난 생태계
과학동아
l
199211
부지런한 농부처럼 바다 밑바닥 구석구석을 일구는 갯지렁이는 해양생태계의 환경미화원 노릇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바다 속의 생물로 물고기나 플랑크톤 같이 해수 중에 살고있는 것만 생각 하기 쉽다. 그러나 실제로는 바다 밑바닥에 높은 밀도로 생물들이 분포하고 있다. 이러한 해저의 저서 ... ...
실크로드
과학동아
l
199211
실크로드는 한없이 먼 길이다. 이 길은 대부분 사막과 초원, 험준한 산맥과 고원, 깊은 계곡을 거쳐야 한다. 또 중간에 유목민들의 기습 때문에 생명을 내걸고 지나가던 길이다.실크로드는 당나라 이후에 개발된 해로를 제외하면 육로로는 초원루트와 오아시스루트가 있다. 이들 육로도 부분적으로 ... ...
곤충들의 집짓기
과학동아
l
199211
곤충들이 집을 짓는 가장 큰 이유는 살아남기 위해서다. 특히 자손을 번식시키기 위해 기상천외의 방법을 동원해 집을 짓는데…지구상에 살고 있는 약 1백 50만 종의 동물군중 곤충류가 3/4을 차지하고 있지만 스스로 집을 짓고 사는 곤충은 그리 많지 않다.어미벌레의 대부분은 알을 아무데나 낳고 ... ...
(1) 공룡은 어떤 동물인가
과학동아
l
199211
1억8천만년 동안 지속된 중생대에는 바다에서 암몬조개류가, 그리고 육지에서 파충류가 번식했는데, 공룡은 바로 파충류에 속한다.지금으로부터 약 50억년 전에 지구가 태어났다. 처음 약 4~5억년 동안은 성(星) 시대였고 지질시대가 시작된 것은 46억년 전부터다. 46억년에서 5억7천만년 전까지를 선 ... ...
이전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