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jean
진토닉
gin
정령
귀신
대열
무리
d라이브러리
"
진
"(으)로 총 11,349건 검색되었습니다.
소련 과학기술계 탐방기-자영협동체 결성, 연구성과 분배요구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임하는 태도를 가지게 했음을 한 눈에 알아볼 수 있었다. 현재 이들은 다른 바이러스
진
단시약의 개발, 치료시약에 대한 연구 등으로 영역을 넓혀가고 있었고 부지를 매입해 연구소확장도 계획하고 있다. 뿐만아니라 다른 동료들을 자극해 분위기를 활성화시켜 놓았다.마르크스주의자들은 능력에 ... ...
수학공부 다시 출발점에 서서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18시간이라는 말도 들었다. 이 정도면 적어도 개인연구까지를 포함한 시간부담만으로 따
진
다면 대학교수에 비해 그야말로 '놀고 먹기'다(대학교수는 주당 12시간이 보통이지만, 전공이 세과목 이상 된다는 것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그러면서도 수학교사끼리의 연구협의체가 있다는 말을 아직 ... ...
금년도 대학입시를 치르고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있었다.잘못 들으면 마치 온종일 수학공부만 하라는 소리처럼 들리겠지만, 학교수업의
진
도 등에 맞추어 매일 꾸준히 한다면 결코 무리가 없으리라고 본다. 신문에도 발표됐듯이 앞으로는 점차 개념의 이해와 응용에 관한 문제가 많이 출제될 것이라고 하지 않는가.현 입시제도 하에서는 과거 ... ...
PARTⅡ. 원리와 종류-루비레이저에서 자유전자 레이저까지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자유자재로 변환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현재 얻어
진
발
진
파장은 주로 적외선 영역에서 머물러 있고 앞으로 많은 연구개발이 필요한 분야다 ... ...
풀어쓰는 컴퓨터역사① 셈의 기원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할 때 서로 맞추어 보았다. (그림4)는 그시대 상인의 장부책을 보여준다. 부목에 붙여
진
꼬리표는 상인만이 아는 손님들의 확인카드다. James, Tom이라고 이름이 쓰여지지 않은 것은 그당시 문자가 없었거나 상인이 그것을 몰랐기 때문이다. 현재의 '사인하다'(sign)의 원래 어원인 signare의 라틴어 뜻은 ... ...
장미꽃잎이 검게 물든 사연 식물도 스트레스를 받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수 있다. 꽃이 피기 시작할 때 5℃ 환경하에서 17일간 냉각시키면 간단히 기형꽃이 얻어
진
다. 꽃잎이 검게 되는 것은 화청소의 함량이 정상의 꽃보다 2~5배나 많아졌기 때문이다. 또 폴리페놀(polyphenol)의 산화산물이 축적된데 기인한다. 온도가 낮을수록 꽃잎은 더욱 검게 변한다. 검은 꽃잎은 활성을 ... ...
중화(中華)적 세계관이 우르르 마테오 리치 충격파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제작된 것이다. 타원형의 평면에 그려
진
세계지도를 정확한 위도와 경도의 선이 그어
진
구(球)위에 완전히 옮겨 놓은 제도법은 매우 훌륭하다.1602년의 마테오 리치 세계지도는 페르비스트(Ferdinand Verbiest, 중국명 南懷仁)에 의해 개정돼 1674년에 목판으로 간행됐다. 그것은 타원형으로 그렸던 마테오 ... ...
PARTⅢ 레이저의 응용 산업 전분야에서 종횡무
진
활약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진
단용으로는 헬륨네온 레이저를 이용한 혈류속도계와 모아레 간섭선을 이용한 체형
진
단기 등이 있고, 질소 레이저와 색소 레이저는 살아있는 세포와 레이저 광속과의 영향을 고찰하는 기초연구에 이용되고있다.■ 레이저 수술레이저 눈수술. 최근에는 레이저를 이용, 각막을 방사상으로 ... ...
블랙홀·화이트홀·웜홀 우주의 세 구멍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증가를 계속 일으키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주의 역사는 엔트로피가 보다 높은 상태로
진
행되고 있는 셈이다.그러면 오늘날의 우주는 엔트로피가 얼마나 높은(또는 낮은) 상태에 있는 것일까. 여기서 우리는 검은 구멍의 엔트로피가 엄청나게 크다는 사실을 알 필요가 있다.현재의 정보이론에 따르면 ... ...
한국과학재단 강홍렬 이사장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그리고 KAIST와 포항공대에서는 각각 세곳이 지정됐는데 두 대학 모두 2백50~3백명의 교수
진
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지방대학중에서 선정된 곳은 해당대학 총장의 집중적인 지원약속이 크게 뒷받침 됐어요. 연세대의 연구센터가 한곳도 지정되지 않은 까닭은 전국적으로 사람을 끌어모으지 못했기 ... ...
이전
1032
1033
1034
1035
1036
1037
1038
1039
10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