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스페셜
"
크기
"(으)로 총 1,271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킬레스건의 재료과학
2017.03.07
에 불과하고 길이도 300㎜ 정도다. 이런 콜라겐 단위체들이 서로 엮여 지름 20~100㎜
크기
의 콜라겐원섬유(collagen fibril)를 만든다. 그리고 콜라겐 원섬유가 뭉쳐 지름이 수십~수백㎛인 콜라겐섬유(collagen fiber)가 된다. 이런 구조이기 때문에 ‘고래심줄(힘줄)처럼 질기다’는 말이 나왔다. 돼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박테리아도 튜링테스트 받았다
2017.02.14
지난해 3월 미국 크레이크벤터연구소는 지구상에 있는 그 어떤 박테리아보다도 게놈
크기
와 유전자 개수가 적은 합성생물체 ‘JCVI-syn3.0’을 만드는데 성공했다고 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해 화제가 됐다. 53만 여 염기로 이뤄진 게놈에 유전자 473개로 이뤄진 이 합성생물체는 비록 게놈은 ... ...
이 괴물이 인류의 조상이라니!
동아사이언스
l
2017.02.12
발표했다. 이 화석은 캄브리아기 바다 속 진흙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크기
가 1㎜로 육안으로 보면 검은 색 작은 알갱이처럼 보이지만, 현미경으로 자세히 관찰하면 생명의 역사에 많은 정보를 담고 있다. 이 화석의 이름은 ‘사코르히투스(Saccorhytus)’로 그 외형처럼 ‘주름진 자루’라는 ... ...
"최고 수준의 중이온가속기 건설에 모든 걸 걸었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2.03
운전 주파수 81.25MHz이며 길이 5m, 지름 1m의 세계 최대
크기
이다. 빔 가속을 위해 전기장
크기
를 조절할 수도 있다. 박 연구위원은 "균일한 전기장이 아니라 앞쪽에서는 낮게, 뒤쪽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가속전압을 걸어줄 수 있어 RFQ 선형가속기 자체의 길이를 5미터 까지 줄이는 데 성공했다"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가 치매도 일으킨다?
2017.02.01
걸까. 앞에도 잠깐 언급했듯이 대기오염물질 가운데서도 미세먼지, 그 가운데서도
크기
가 200나노미터 미만인 극미세입자가 주범으로 여겨지고 있다. 우리나라 기준을 보면 보통 지름 10마이크로미터 미만을 미세먼지(PM10으로 표시), 지름 2.5마이크로미터 미만을 초미세먼지(PM2.5)로 나눈다. 따라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5] 범고래 암컷이 나이 마흔에 폐경기를 겪는 이유
2017.01.17
위험성도 높고 설사 무사히 낳았더라도 아이가 다 자랄 때까지 살아있지 못할 가능성도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양육기간이 긴 인간은 이런 위험성을 감수하는 대신 남아있는 에너지를 키우고 있는 자식들에게 투자하는 게 번식에 더 이롭다는 말이다. 윌리엄스의 아이디어는 훗날 ... ...
수소 원자, 어디에 있는지 정확하게 찾을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1.15
분자와 분자를 이루는 원자들이 크게 흔들리지 않고 구조를 유지해야 하기에 상대적으로
크기
가 작은 분자는 분석 하기가 어려웠다. 분자를 이루는 원자의 질량이 가벼울 때도 마찬가지다. 수소는 원자 번호 1번으로 세상에서 가장 가벼운 원자다. 1개의 전자와 1개의 원자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4] 노트북도 이제 배터리로 승부?
2017.01.10
겹겹이 채워진 구조가 흑연이다(아래 오른쪽). - 네이처 제공 전자소자로 쓰려면 일정한
크기
로 만들어야 할 뿐 아니라 나노수준의 정교한 패턴대로 칩에 배치시킬 수 있어야 하는데 CNT는 그렇게 할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하나만 놓고 보면 CNT트랜지스터가 실리콘반도체트랜지스터보다 효율이 높고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8) 샤프론 단백질 분야를 개척한 수전 린드퀴스트
2017.01.02
않는 동굴로 들어온 아스티아낙스에서 급격한 환경 변화로 숨겨진 변이가 발현돼 눈알
크기
가 제각각인 개체들이 나왔다고 가정했다. 빛이 들어오지 않는 동굴 안에서는 눈이 필요없기 때문에 쓸데없는 구조를 만드느라 부족한 자원을 소모하지 않는, 눈알이 작은 개체가 선호됐고 이런 과정이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5)우주가 물질이 왜 더 많은지 실험으로 보여준 제임스 크로닌
2016.12.30
원이나 구가 2차원이나 3차원 도형 가운데 완벽하다고 여겨지는 이유도 대칭성이 가장
크기
때문이다. 그러나 1928년 영국의 이론물리학자 폴 디랙이 반물질의 존재를 제기하면서 우주의 대칭성에 근본적인 균열이 드러났다. 디랙의 이론에 따르면 빅뱅 이후 우주는 에너지에서 물질과 반물질이 ... ...
이전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