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산
제조
산출
저작
가공
수법
창작
스페셜
"
제작
"(으)로 총 1,166건 검색되었습니다.
봉한선과 림프선
2015.08.03
되는 ‘가늘고 연약하며 투명한 조직’을 발견했다. 그리고 형광실체현미경이라는 자체
제작
한 현미경으로 해부한 쥐가 살아있는 상태에서 봉한관을 이루고 있는 세포의 핵을 관찰하는데 성공했다. 당시 기고문에서 필자들은 “현재 본 연구실의 연구단계는 김봉한 박사의 이론 검증단계에 ... ...
공장폐열, 온천수로 발전기 돌려 ‘전기’ 만든다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7.07
기존의 대형 발전기와 비슷하지만 세세한 설계가 모두 바뀌기 때문에 처음부터 다시
제작
해야 하므로 상용화에는 시간이 필요하다. 그러나 상용화가 된다면 큰 시장이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로 최근에는 막대한 열을 생성하는 중공업 분야를 중심으로 폐열 거래가 확산되고 있다. 특히 ... ...
버려지는 에너지를 모으는 에너지 하베스팅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7.07
주행하는 동안 발생하는 진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기인 ‘발전마루’를
제작
했다. 마이크로 규모의 에너지 하베스팅의 대표적인 사례는 압전 나노선을 활용한 것이다. 나노선을 활용한 전력 발생 소자기술은 2009년 에서 미래 10대 유망 기술 중 하나로 ... ...
전 세계 나노 분야의 허브 센터 꿈꾼다
IBS
l
2015.05.07
열과 빛을 동시에 이용해 전기를 만들어 낼 계획이다. 열전성능, 대면적
제작
, 자기조립방법은 세계 최고 연구단은 세계 최고 성능의 열전소재를 개발한 성과를 '사이언스' 4월 3일자에 발표했다. 비스무트 안티모니 텔루라이드(Bi0.5Sb1.5Te3)라는 물질을 갖고 새로운 소결법(sintering)으로 내부 ... ...
원자력으로 자동차를 움직인다?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22
원자력을 이용한 엔진 개발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2009년 캐딜락 탄생 100주년을 기념해
제작
된 핵 추진 ‘토륨 자동차’가 컨셉트카 형태로 대중에 선보여 많은 관심을 받기는 했지만 아직까지 상용화되지는 못했다. 여전히 원자력 엔진이 가지고 있던 문제들이 해결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 ...
마침내 가동한 경주 방폐장, 어떻게 운영되나?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16
이중 선체로 안전성을 확보했다. 폐기물에도 안전장치를 한 겹 더 입힌다. 두꺼운 철로
제작
된 특수 운반용기에 드럼을 8개씩 넣은 뒤 선박에 싣는다. 한진 청정누리호가 뭍에 닿으면 여기서부터 방폐장까지 4.7km 정도의 짧은 육상 이동이 시작된다. 폐기물 하역장인 ‘월성원전물량장’은 월성 ... ...
설국열차는 원자력으로 움직인다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15
말하기도 했다. 엄밀히 따져서 설국열차의 엔진도 무한동력은 아니었던 것이다. 1954년
제작
한 해저2만리 영화DVD판 ⓒ 노틸러스 봉준호 감독이 말한 핵잠수함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개발된 핵분열 방식을 응용한 원자로를 동력으로 사용하는 잠수함을 말한다. 프랑스 작가 쥘 베른의 ... ...
월성 1호기, 재운전을 결정하기까지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13
마찬가지’라는 한수원의 견해를 받아들인 것으로 평가된다. 이는 월성1호기 원자로를
제작
하고 이후 재정비를 담당한 캐나다의 원전 업체, 캔두에너지의 CEO 프레스톤 스와포드의 “재정비를 끝낸 뒤에는 완전히 새 원전이 됐다”라는 발언으로도 뒷받침된다. 월성1호기가 연장가동을 ... ...
바이오프린팅에 날개를 달아준 방사선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07
가교법의 원천 기술로 인정받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인공 연골 3D 바이오프린팅
제작
모습 ( Ⓒ 원자력연구원) 이 연구를 통해 주로 해외에서 수입해 오던 ‘근골격계 연부조직 지지체’를 국산화해 무역수지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으며, 해외 수입으로 인한 의료비 부담도 ... ...
韓中 백두산 폭발 대비 구멍뚫어 탐사 나선다
2015.04.02
한국과 중국 지질 연구진이 백두산 폭발에 대비하기 위해 공동으로 백두산 현지 탐사를 진행하기로 했다. 양측은 지난달 23, 24일 제주도에서 만나 2018년 백두산에 시추공을 뚫고 마그마가 흐르는 지하 10km 근방을 샅샅이 조사한다는 계획에 합의했다. 2017년까지 백두산 지하 1만 ㎦ 이상의 지역에 대 ... ...
이전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