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설계"(으)로 총 1,1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최정문의 공대가 좋아! 시즌2 [제10편]동아사이언스 l2014.11.19
- 진로탐방 프로그램, 최정문의 공대가 좋아! 시즌2 제10편에서는 컴퓨터 하드웨어 설계부터 다양한 소프트웨어까지 포괄적으로 다루는 컴퓨터공학부를 탐방한다! 초대손님은 컴퓨터 애니메이션을 연구하는 이제희 교수! 컴퓨터공학부는 생각하는 방법을 배우는 곳이라는데 이 교수가 생각하는 ... ...
- [Green Community_세계녹색명소] '에너지 자립의 미래' 가사도와 삼마도동아사이언스 l2014.11.14
- 구축했다. 한전 전력연구원에서는 신재생에너지 최적 조합과 경제성을 고려해 설계를 진행했으며, 이 에 맞는 EMS를 개발했다. EMS는 배터리 시스템 충‧방전제어, 신재생에너지 출력제어, 직 접 부하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직접 부하 제어는 신재생에너지의 출력과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고려해 ... ...
- 자기조립 나노물질로 항암치료 신기원 연다IBS l2014.11.13
- 오래도록 형태를 유지하다가 암세포 안으로 들어가면 그 안에서만 약물이 방출되도록 설계합니다." 주인-손님 상호작용, 금 나노입자로 항암치료 김 교수팀은 '강력한 주인-손님 상호작용(host-guest interaction)'을 이용해 효율 높은 표적형 항암 치료제 전달시스템을 개발해 '네이처 ... ...
- 수출로 '연구로' 분야 세계 최고를 노린다과학기술인공제회 l2014.10.29
- 설계 개선 등 안전성 향상 방안을 도출하는 열수력 안전 연구와 후쿠시마처럼 원전 설계기준을 초과하는 중대사고가 발생했을 때 그 현상과 대처 방안을 모색하는 중대사고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두 분야 모두 1990년대 이전까지는 원자력 선진국들에 뒤쳐진 상황이었지만, 끊임없는 ... ...
- [Green Lab_현장탐방]바이오연료 만드는 생물시스템공학의 산실동아사이언스 l2014.10.14
- 실제로 원하는 대사산물이 나올지는 일일이 실험해 봐야 하지요.” 아무리 정교하게 설계된 시뮬레이션이라고 하더라도 현실과는 다르기 마련이다. 연구팀 역시 대사과정을 분석해 조작해야 할 유전자를 선별한 후에는 여러 번 실험을 반복해 결과가 의도대로 나온 균주만 반복 배양해야 했다. ... ...
- 운명이 나를 IBS로 이끌었다IBS l2014.10.13
- 이라는 7자를 발견하곤 고민 없이 지원을 결심했다. 김봉재 씨는 9년을 플랜트 설계를 해 왔던 엔지니어다. 업무 여건상 한 곳에 머물지 않고 이곳저곳 현장을 옮기는 생활을 해왔었는데, 결혼을 해 가족을 꾸리다 보니 한 곳에 정착할 필요를 느끼게 됐다. 그렇게 고민을 하던 중 ... ...
- 글로벌 연구거점 구축과 차세대 연구리더 육성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겠다IBS l2014.10.10
- 훌륭한 연구공간입니다. 건축을 위한 예산 및 행정 처리를 조속히 완결하겠습니다. 설계면에서도 본원 및 연구동을 여러 사람이 함께 어울려 소통하는 구조로 만드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로 인해 최고의 인재들이 모이고 최고의 지적 산물이 나오도록 해야겠습니다. 나아가 과학문화 확산과 ... ...
- [Green Community 동아사이언스 l2014.08.27
- 신경을 써 특수 코팅된 3중창을 사용했다. 이때 통유리 창 구조 대신 작은 창 형태로 설계를 했는데, 큰 창보다 작은 창이 단열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패시브 하우스의 가장 핵심인 전열교환기라 말하는 ‘열 회수 환기장치’는 ‘원형 교환기’을 사용했다. ‘펄프 교환기’에 비해 5배가량 ... ...
- 아세요? 암모니아 합성에 인류 에너지의 2%가 들어간다는 사실을2014.08.18
- 반응을 거꾸로 하는, 즉 전기를 흘려 물을 분해해 암모니아를 합성하는 방법을 설계했다. 그 결과 무려 35%의 에너지 효율을 얻었다. 게다가 함께 나오는 여분의 수소까지 포함하면 에너지 효율은 65%에 이른다. 이전 비슷한 과정이 얻은 효율이 1% 미만이었던 사실을 생각하면 혁신적인 개선이다. ... ...
-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실시간으로 본다!"IBS l2014.08.07
- 미치는 영향 및 반응 메커니즘을 알아내고자 한다. 또한, 반응에 적합한 나노 촉매를 설계하는 기초 원리까지 탐구하는 것이 기본 목적인 연구단이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고효율 나노 촉매의 표면에서 일어나는 화학 현상을 원자 단위에서 실시간으로 봐야 한다. KAIST 화학과 ... ...
이전98991001011021031041051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