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명
문화
교양
세련
스페셜
"
문화도
"(으)로 총 1,029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존 연구 반복해봐야 소용없어…새로운 것 찾아라”
동아사이언스
l
2012.11.26
“한국의 생명과학분야 연구능력은 세계적인 수준입니다. 한국을 찾을 때마다 뛰어난 연구환경과 개별 과학자들의 우수성에 놀라곤 합니다. ‘창의적 도전’ 정신만 키운다면 세계 생명과학을 충분히 이끌어 갈 수 있을 겁니다.” 7번째로 한국을 찾은 1991년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인 에르빈 네어 ... ...
“구슬도 꿰어야 보배…바이오 인재도 마찬가지”
동아사이언스
l
2012.07.02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KASBP는 6월 18일 미국 보스톤에서 ‘한미FTA와 세계화‘라는 주제로 좌담회를 개최했다. “한국 바이오 산업의 세계회를 위해서는 해야할 것들이 무척 많습니다. 우선 해외 한인 과학자들을 적극 활용해야죠. 또, 아이디어 중심의 벤처 육성과 전임상·임상을 위한 연구자도 ... ...
“다양하고 넓어진 BT… 정부 부처간 연계가 반드시 필요해”
동아사이언스
l
2012.04.11
1993년에 ‘제1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이 수립된 뒤 우리나라 생명공학산업 규모는 급속도로 커졌다. 지난해 마무리 된 ‘제2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 1단계’에 따르면 2006년에는 8,270억 원에 머물던 정부 연구개발 투자가 2010년에는 약 두 배인 1조5175억 원에 이를 정도다. 올해부터 시작되는 ‘ ... ...
“바이오도 양보다 질로 K-POP처럼 세계 흔들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12.05
“지난 10년간 국내 연구진이 사이언스에 실은 논문 수는 크게 증가했지만 정작 논문 인용횟수는 늘지 않았다. 양으로만 평가하는 현 시스템을 개선하지 않으면 국내 바이오산업이 축포를 울릴 날은 멀다.”(신희섭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뇌과학연구소장) “국내 생명공학 학생들은 교수가 되기 위해 ... ...
한국 바이오 기업이 주목해야할 미국 바이오 분야의 특징들
동아사이언스
l
2011.07.20
현병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장(왼쪽에서 세번째)은 좌담회가 열리기 전 보스턴의 한 한인식당에서 재미한인생명과학자협회(KASBP) 회원들과 만나 한국 바이오산업에 대한 환담을 나눴다. “한국에서 거의 듣지 못했던 ‘디벨로퍼(Developer)’가 가장 인상적이었습니다.” 현병환 생명공학정책연구 ... ...
“한국 바이오에는 ‘디벨롭먼트(Development)’가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7.17
“한국 바이오의 문제는 연구와 개발을 구분하는 개념이 없다는 점입니다. 바이오가 진정 산업화를 이루려면 연구뿐만 아니라 또 하나의 전문 영역인 ‘디벨롭먼트(개발·Development)’가 강해야 합니다.” 한국 바이오가 산업화 단계에 들어서면서 최근 국내 제약회사들은 혁신신약 개발에 눈을 돌 ... ...
정혁 생명硏 새 원장의 포부… “연구를 취미생활처럼”
동아사이언스
l
2011.06.21
정부기관도 변하고 있다. 3년, 5년, 10년 단위로 지원하고, 장기적인 성과를 생각하는
문화도
어느 정도 정착됐다. 그런 변화의 흐름을 만드는데 정 원장도 일조했다. ‘장기지원’을 이야기 할 때면 운영했던 자생식물이용기술개발사업단 이야기가 빠지지 않고 나온다. 정 원장은 “프론티어 ... ...
“이제 ‘블록버스터’ 시대는 갔다…하지만 정부는…”
동아사이언스
l
2011.06.08
국내 생명공학(BT) 산업은 2009년 기준 5조6362억원 규모로 추정하고 있다. 2000년 1조1795억원 규모에서 10년 동안 5배 가까이 고속 성장한 것이다. 정부의 연구개발(R&D) 예산도 지난해 1조4383억원으로 2000년(2462억원) 당시에 비해 약 7배 증가했다. 하지만 현병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장은 “이 같은 성장 ... ...
“생명공학 발전 위해 부처간 조정이 필수적입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6.06
“생명공학처럼 전 부처에 걸쳐 있는 과학 분야는 없습니다. 한정된 연구 예산을 부처간 조정을 통해 효율적으로 써야 합니다. 각 부처의 특징을 살린 연구개발(R&D)이 이뤄져야합니다.” 이상철 한국연구재단 생명공학단장(54)은 3가지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하나는 연구자, 다른 하나는 교수, 나머 ... ...
“연구 집중하는 임상교수 많아야 세계적 의대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5.23
“국내 의대의 연구 수준이 지금보다 높아져야 합니다. 생명과학 분야가 갖는 국제 경쟁력을 못 따라가는 상황이에요. 임상의(臨床醫) 교수들이 보다 연구에 집중할 수 있도록 환경 조성을 해줘야 합니다.” 현택환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중견석좌교수(47)는 나노입자 분야의 세계적인 화학자다. ... ...
이전
98
99
100
101
102
1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