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가
필자
지은이
저술자
저술가
저작자
편찬자
뉴스
"
저자
"(으)로 총 2,202건 검색되었습니다.
작년 노벨상 수상자 논문 조작설에 과학계 떠들썩…한국인 연구자 포함 '파장'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미국 텍사스대(댈러스 캠퍼스) 교수가 2006년 존스홉킨스대 의대 소속으로 있었을 당시 제1
저자
로 참여한 학술저널 ‘셀 메타볼리즘(Cell Metabolism)’ 게재 논문(「HIF-1 - mediated expression of pyruvate dehydrogenase kinase: a metabolic switch required for cellular adaptation to hypoxia」)에 관한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는 내용이 ... ...
1회 충전 1000km 달리는 리튬공기전지 수명 10배 늘리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양극 쪽 문제를 해결한 것으로 아직 개발해야 할 것들이 남아 있다"고 말했다. 연구 1
저자
인 마상복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전문연구원은 “차세대 전지로 주목받는 리튬공기전지의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는 원천 소재 기술을 개발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서 교수는 “새로운 세라믹 ... ...
[사이언스N사피엔스]인간은 특별하지 않다
2020.10.15
내용의 논문을 써서 먼저 출판한다든지, 좀 더 양심적인 편집자는 투고자에게 공동
저자
로 함께 논문을 내자고 제안하기도 한다. 결과만 놓고 보면 후자의 경우가 다윈-월리스의 사례와 비슷하다. 그래서 다윈이 월리스의 업적을 가로챈 게 아니냐는 음모론도 없는 것은 아니다. 물론 편집자가 ... ...
[코로나19 연구속보] 당신의 반려동물도 코로나19 감염에 취약하다
2020.10.13
등 현재까지 보고된 감염 가능성을 모델링 연구를 통해 예측했다. 연구논문의 제1
저자
인 수닷람 UCL 구조분자생물학 및 말레이시아국립대 연구원은 “실험실에서 이뤄진 실험과는 달리 우리가 고안한 동물의 코로나19 감염 가능성 모델링은 자동으로 신속하게 이뤄질 수 있다”며 “추후에 발생할 ... ...
코로나19 중증 환자, B세포 항체 정보 뒤죽박죽된다
연합뉴스
l
2020.10.12
프로그램 디렉터인 프란시스 은형 리(Frances Eun-Hyung Lee) 부교수와 함께 논문의 공동 수석
저자
를 맡았다. 연구팀은 동 대학 병원 응급실에서 치료받은 코로나19 중환자 10명(사망 4명 포함)과 코로나19 외래 환자 7명, 비감염자 37명 등의 항체 반응을 비교 분석했다. 대체로 중증 환자 그룹은 감염 ... ...
[코로나19 연구속보] 다른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됐던 사람은 코로나19 중증도 감소
2020.10.12
같지만 중환자실에 가거나 사망할 확률이 줄어든다는 것이다. 이번 연구의 공동
저자
인 조셉 미저드 보스턴대 의대 교수는 "사람들은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와 다른 코로나바이러스에 일반적으로 감염되는데 이번 연구결과는 사스 코로나바이러스2에 감염된 후 합병증이 발생할 위험도에 ... ...
쟤는 증상없는데 왜 나만 중증?…코로나 환자별 증상 다른 이유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특히 체내 대표적인 면역세포인 T세포의 면역반응에 초점을 맞췄다. 연구논문의 공동1
저자
인 벤자민 메키프 라호야 면역학연구소 박사후연구원은 “T세포는 면역반응을 조정하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며 “T세포는 광범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이질적인 면역세포 집단으로 이번 연구에서 ... ...
[의학게시판] 정소령 여의도성모병원 교수, KJR최다피인용상 수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시상년도 9월 기준으로 최근 3년간 가장 많이 인용된 논문의 제1
저자
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정 교수는 고주파절제치료의 안정성과 효과를 분석한 논문을 발표했다. 이 논문으로 지난해 7월 ‘제29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도 수상했다. ■경희의료원은 5일 개원 49주년 ... ...
[코로나19 연구속보] “실내에서 2m 떨어져 대화 나눠도 코로나19 감염 가능하다”
2020.10.06
논문 제1
저자
인 몽펠리에대의 마누 아브카리언 연구원은 “짧은 문장이라도 몇 초만에 세계보건기구가 권장하는 1m 격리 거리 너머까지 입자들을 이동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거리는 대화 시간에 비례한다고 밝혔다 ... ...
노벨상 수상자를 예측하기 어려운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0.10.04
노벨상 수상자로 선정된다고 예측하는 것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 논문의
저자
들은 모두 어느 시점엔 노벨상을 받을 수 있는 사람들이라 예측하는 것에 가깝다”고 설명했다. 이 밖에 심사과정에서 철저한 보안을 유지한다는 점도 노벨상 수상자 예측을 힘들게 하는 요소다. 노벨상 ... ...
이전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