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뉴스
"
세포
"(으)로 총 7,337건 검색되었습니다.
뎅기열에 걸리면 열이 나는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7.06
대식
세포
는 바이러스와 싸우며 사이토카인이라는 물질을 분비합니다. 사이토카인은 면역
세포
에서 분비되는 단백질로 바이러스를 무찌를 수 있게 도와줘요. 이 같은 면역 반응이 일어나는 과정에서 체온이 상승하며 몸이 뜨거워집니다. 이때 발생한 열로 인해 바이러스가 더 이상 우리 몸속에서 살 ... ...
[동물do감] 물고기 임신하면 '머뭇머뭇‘ 망설이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07.05
위한 에너지 보존을 택한 것으로 보인다고 추정했다. 연구팀은 “임신은 물고기의 뇌
세포
증식에 변화를 일으키고 인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인간을 비롯한 포유류는 임신 시 학습력이 떨어지거나 기억력이 감퇴하는 형태의 베이비 브레인 증상이 나타난다면 물고기는 의사 결정과 ... ...
또다른 암 치료 도구 '수리종양학'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24.07.05
세포
를 오히려 살아남게 해 내성이 강한
세포
와 경쟁하게 유도한다. 결국 내성이 강한
세포
의 성장 속도를 늦춰 암을 치료하는 방식이다. 지금까지 그의 논문은 국제학술지 ‘네이처 리뷰 암', '셀' 등에 실렸다. 현재 유방암, 폐암 등 암 관련 임상 시험 7개를 진행 중이다. 앤더슨 교수는 수리모델을 ... ...
식욕·감정도 억제…세계 최초 자기장으로 뇌 회로 자유자재 조절
동아사이언스
l
2024.07.04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에 3일 공개됐다. 인간의 뇌는 약 1000억 개 이상의 뇌 신경
세포
(뉴런)와 수많은 뇌 회로로 이뤄졌다. 특정 뇌 회로를 제어하는 기술은 뇌 기능과 각종 뇌 질환의 원리를 규명하는 데 필수적이다.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뉴럴링크'처럼 생각만으로 전자기기 등을 제어하는 BCI ... ...
미생물 활용한 '계란 대체물'로 머랭 쿠키 구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4
계란찜을 만들 때 계란의 껍데기인 난각을 깨야 한다는 사실에 착안해 미생물의
세포
벽·
세포
막을 파쇄했다. 이를 가열하자 난액처럼 단백질이 응고돼 젤 형태로 변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미생물 용해물을 가열해 만든 젤이 삶은 계란과 유사한 구조·특성을 갖는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 ...
코로나19 '빠른 증식' 이유 찾았다…약물 재창출 가능성도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07.03
바이러스 RNA 수준이 약 10분의 1로 감소했다. 또 6일 후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으로 폐
세포
의 염증 상태를 관찰한 결과 코로나19에 의한 폐 병변이 현저히 완화된 모습을 보였다. 기존 치료제를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병 억제 목적으로 용도 변경하는 '약물 재창출' 가능성이 확인된 것이다. 이번 ... ...
초기 알츠하이머 신약, 美 FDA 승인…"큰 기대보단 과도기로 생각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4.07.03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키순라와 레켐비 모두 알츠하이머와 연관이 있는 뇌 신경
세포
단백질을 타깃으로 한다. 정맥주사를 통해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의 응집을 억제해 인지능력이 저하되는 시점을 지연시킨다. 격주로 투여해야 하는 레켐비와 달리 키순라는 월 1회 투여하면 된다는 장점이 ... ...
'난자 냉동' 가능시기 정확히 예측할까…난모
세포
긴 수명 실마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7.02
특히
세포
에서 에너지를 생성하는 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에 풍부했다. 자손은 모계에서
세포
소기관을 물려받는다. 미토콘드리아 속 단백질의 내구성이 좋을수록 미토콘드리아가 건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과학자들은 이번 연구결과들이 난소에서 수명이 긴 단백질이 점점 사라지는 현상을 ... ...
[과기원NOW] UNIST, 태풍 강도 예측 정확도 50% 향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7.02
효과적으로 제거한다는 점을 확인했다. 폴리피롤과 헤민-헤파린 전극 위에 대식
세포
를 배양했을 땐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이 9%로 감소한다는 점도 발견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케미컬 엔지니어링’에 지난달 5일 게재됐다.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2024년 국가연구개발 ... ...
모기의 '흡혈 욕구' 조절 호르몬 찾아…뎅기열 전파 차단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7.02
인간 접근을 억제한다는 가설을 세웠다. 실험 결과 모기가 피를 먹기 전에는 장내 내분비
세포
에 NPF가 있었지만 피를 먹은 후 6시간이 지나자 NPF가 사라지고 이틀 동안 줄어든 상태를 유지했다. 연구팀은 "주로 단백질로 구성된 혈액을 섭취하면 성숙한 알이 발달할 때까지 NPF가 하향 조절되는 것 ... ...
이전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