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간
경우
타임
시각
더러움
얼룩
오물
뉴스
"
때
"(으)로 총 21,213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장 자세한 초파리 뇌지도 작성…뇌 비밀에 '한걸음'
동아사이언스
l
2024.10.04
뇌 지도는 뇌 활동의 메커니즘을 아주 높은 정확도로 밝혀냈다. 초파리가 미각을 처리할
때
뇌 기능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실험에서 연구자들은 뇌 지도를 기반으로 164개의 메커니즘을 예상했다. 각 메커니즘을 분석한 결과 최대 90% 이상의 정확도로 초파리의 미각 처리 뇌 메커니즘을 ... ...
[동물do감] 반려견에게 느리게 말하면 더 잘 이해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3
"인간과 개가 서로 다른 음성 처리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며 "반려견에게 지시할
때
말의 속도를 늦추는 것이 소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 doi.org/10.1371/journal.pbio.300278 ... ...
돌고래도 신나게 놀
때
미소 짓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3
수집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돌고래가 다른 물고기를 공격하거나 성적 행위를 할
때
도 입을 벌리는 미소를 짓기도 해 돌고래의 미소가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 더 연구가 필요하다. doi: 10.1126/science.z008k7 ... ...
순간 의사 결정 돕는 새로운 뇌 회로 원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10.03
큰 의의가 있다. 김 연구원은 “극한의 상황에서 인간이 적절한 의사 결정을 내려야 할
때
의사 결정을 보조해 줄 수 있는 뇌제어 기술로도 확대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생명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8월 5일 게재됐다. ... ...
지구 번개구름, 더 오래 넓게 '방사선' 내뿜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3
때
만 위험하다"고 설명했다. 비행기는 뇌운 중심부 비행을 피하기
때
문에 이번 연구결과
때
문에 추가로 걱정할 만한 부분은 없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뇌운의 감마선 방출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면 번개와 감마선 방출의 인과관계를 알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 doi.org/10.1038/s415 ... ...
오징어에서 영감 얻었다…신개념 방한의류 만들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0.02
'구리 섬'으로 덮인 폴리머로 구성된다. 구리 섬은 구리 박막을 폴리머에 증착시킬
때
구리 원자가 응집해 섬처럼 형성된 상태를 의미한다. 구리 섬을 적용한 폴리머 소재를 늘리면 구리 섬이 분리되면서 적외선 투과 및 반사 조절이 일어난다. 연구팀은 해당 폴리머에 얇은 필름을 더해 세탁이 ... ...
세포 노화·사멸 핵심 '텔로미어' 메커니즘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2
그래픽. 서울대 제공 먼저 텔로머레이즈를 사용하던 개체가 텔로머레이즈를 잃어버렸을
때
ALT로 세대를 이어갈 수 있음이 보고된 최초의 다세포 진핵생물인 예쁜꼬마선충의 텔로미어 구조를 자세히 확인했다. 단순한 반복서열이 아닌 독특한 서열이 텔로미어를 재구성하고 있는 유형 1 ALT를 통해 ... ...
아침에 고개 갸웃거리는 습관이 우울감 징후?
동아사이언스
l
2024.10.01
기분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 교수는 "사람들은 실제로 기분이 우울할
때
타인을 위해 의도적으로 '용감한 얼굴'을 할 수도 있다"며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우울감의 징후로는 아침 시간 동안 고개를 갸웃거리거나 좌우로 움직이는 습관, 이른 아침과 늦은 ... ...
의정갈등 불똥 튄 의료·바이오 벤처…임상 지연에 비용만 '줄줄'
동아사이언스
l
2024.10.01
”장거리를 한번이라도 이동해야 한다면 비대면 임상의 장점이 크게 떨어지기
때
문에 이러한 부분에 대한 인식 개선이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
쥐눈이콩, 비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효과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09.30
지방간 개선 효과는 유전자 차원에서도 증명됐다. 생쥐에게 고지방 사료를 먹였을
때
지방간 유발 유전자인 'SREBP-1c'와 'FAS'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했으나 쥐눈이콩 추출물을 투여한 결과 이 두 유전자의 상태가 정상 수준으로 개선됐다. 반대로 지방간 유발을 억제하는 유전자인 'AMPK'의 인산화는 ... ...
이전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