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결
합동
연합
배합
접촉
접속
단결
뉴스
"
결합
"(으)로 총 3,933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인 100만명 유전체 모은다...희귀·유전질환 예측 목표
동아사이언스
l
2022.11.11
유전체 정보를 모으고 있다. 핀란드의 ‘핀젠 프로젝트’는 유전체 정보와 건강정보를
결합
해 맞춤 헬스케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50만명의 유전체 데이터를 수집했다. 박현영 부장은 국내 바이오빅데이터 사업이 커지기 위해선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선진국의 연구 ... ...
[공감! 과학용어] ① 메타버스→확장가상세계...영어 음차 표현 고쳐써야
동아사이언스
l
2022.11.09
클릭화학의 '클릭'은 말 그대로 두개의 서로 다른 작용기가 만나서 “찰칵”하는 것처럼
결합
이 생성되는 반응을 말한다. 영어 표현을 그대로 써서 전공을 하지 않거나 배경지식이 부족한 일반 시민들이 용어만으로는 이해하기 어려운 클릭화학 대신 '쌍방연합화학' 등 우리말로 고쳐 써 용어 ... ...
초음파로 뇌 자극해 수면과 단기 기억력 조절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09
초음파 자극 소자를 개발했다. MEMS는 마이크로 단위의 기계적 구조물과 전자회로가
결합
된 초소형 정밀 기계 제작 기술이다. 이 시스템으로 자유롭게 활동하는 쥐에 10시간 동안 초음파 자극을 준 결과 렘(REM·급속 안구 운동)수면이 대조군 쥐보다 늘어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 다른 실험에서 ... ...
신한울 1호기 '발목' 잡는 수소제거장비..."불꽃 튀어도 화재 확률 낮아"
동아사이언스
l
2022.11.07
계측전기평가실 책임연구원이 신한울 2호기 격납건물 안에 설치된 피동촉매형수소재
결합
기(PAR)를 가리키며 이렇게 말했다. 지금까지 신한울 1호기 가동의 발목을 잡은 바로 그 장치다. 지난 3일 방문한 경북 울진 신한울 1·2호기 현장에서 아직 가동을 시작하지 않은 신한울 2호기의 PAR 장비를 ... ...
"후쿠시마 사고 이후 신한울 1호기 설계변경 41건"
동아사이언스
l
2022.11.07
상당 시간이 소요됐다"고 말했다. 오랜 시간 살펴볼 기회가 있었던 피동촉매형수소재
결합
기(PAR)도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로 설치된 장비다. 당초 한수원은 원전 내 수소 농도를 제어하기 위해 이그나이터를 사용해 왔다. 이그나이터는 A4용지 크기 상자의 수소점화기로 상자 앞에 달린 코일이 ... ...
60년 논란 종지부 찍을까…英 연구팀 "우울증과 세로토닌 연관성 있어"
동아사이언스
l
2022.11.06
이후 이들의 뇌를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으로 스캔해 세로토닌과 뇌 수용체 사이
결합
정도를 살폈다. 그 결과 우울증 환자들은 암페타민을 투여해도 세로토닌 반응과 분비가 덜 일어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캐서린 하머 영국 옥스퍼드대 교수는 가디언과의 인터뷰에서 이번 발견의 중요성을 ... ...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박테리아의 생존 전략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06
확인됐다. 박 교수팀은 Aca 단백질의 3차원 구조를 통해 이 단백질이 특정 프로모터에
결합
해 바이러스의 무기가 되는 단백질 유전자 발현을 저해하는 방법을 분자 수준에서 규명했다. 박 교수는 "이번 연구는 바이러스의 면역 회피 시스템에 대항하는 박테리아의 또 다른 생존 전략을 규명한 연구 ... ...
진단 현장에서 병원체 고감도 검출하는 나노 바이오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1.03
현장 활용 기술로서 적용 가능성을 높였다. 권오석 박사는 “그래핀과 단층 구조로
결합
하여 안정성을 대폭 향상시켜 극한의 환경에서도 내구성을 확보한 나노 바이오센서를 개발했다”며 “새롭게 개발한 OPE 화합물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합성 단계가 짧아 양산화 가능성이 높아 다양한 ... ...
오래된 바이올린에서 더 풍부한 소리가 나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2.11.02
좋은 바이올린이라고 느끼게 되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향후 이런
결합
음을 형성하는 물리적 구성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추가 연구를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연구팀은 “더 많은 수의 바이올린을 대상으로 연구하겠다”고 밝혔다. ... ...
녹고 있는 빙하를 다시 얼릴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2.11.02
생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안 교수팀은 얼음 표면에서 친수성 고분자의 표면 작용기가
결합
과 해리를 반복하면 얼음 성장이 촉진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친수성 고분자의 농도를 조절하면 그 속도를 최대 3배까지 빠르게 만들거나 절반 이하 수준으로 느리게 할 수도 있었다. 지금까지 결빙 ... ...
이전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