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결방안
해결책
솔루션
d라이브러리
"
해결방법
"(으)로 총 4,088건 검색되었습니다.
[소프트웨어로 세상을 지켜라! 코드마스터] 신발 먼저 신을래, 양말 먼저 신을래?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수호가 ‘컴퓨팅 사고’에 대해 조금씩 깨닫기 시작했어요. 컴퓨팅 사고는 일을 논리적이고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과정을 말하지요. 이때 꼭 필요한 과정이 ‘알고리즘’이랍니다.컴퓨팅 사고에서는 주어진 문제들을 분석하고 가장 최선의 해결 방법을 찾는 과정이 있어요. 알고리즘은 이렇게 찾은 ... ...
[지식] 해밀턴 회로가 있을까? 가운데층 문제
수학동아
l
2016년 12호
가운데층 문제는 특정 그래프에 ‘해밀턴 회로’가 반드시 있는지 보이는 것입니다. ‘해밀턴 회로’에 대해 말하기 앞서 ‘오일러 회로’부터 이야기할까합니다.대표적인 오일러 회로 문제로 스위스의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소개하고 풀어서 유명한 쾨니히스베르크의 다리 문제를 들곤 합 ... ...
Part 3. 진단부터 치료까지 프랙탈 의학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프랙탈 차원에 따라 약물 효과적으로 퍼뜨려근육주사는 맞고 나서 약물이 잘 퍼지도록 문질러야 한다. 하지만 혈관에 맞는 주사는 문지를 필요가 없다. 오히려 문질렀다가는 시퍼런 멍이 들기 마련이다. 조직마다 특성이 달라 약물이 퍼지는 속도가 다르기 때문이다.윤휘열 충남대 약대 교수팀은 ... ...
[Tech & Fun] 고요한 시대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출구조사 결과가 나온 순간부터 인터넷은 충격에 빠졌다.출구조사 결과가 틀렸던 지난 서울시장 선거가 재분석되고 방송3사 통합 출구조사와 다른 예측을 내놓은 방송국에 무한한 신뢰가 쏟아졌다. 하지만 출구조사는 언제나처럼 오차 없이 정확했다. 결말부터 알려주고 시작하는 소설처럼 밤은 ... ...
[수학뉴스] 내 수학 점수는 아빠 때문?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아무리 봐도 아빠랑 똑 닮은 내 얼굴. 혹시 수학 실력도 닮지 않았을까요? 최근 미국 피츠버그대 연구팀은 부모와 자녀의 수학 능력이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발달 과학’ 8월 6일자에 밝혔습니다.연구팀은 5세에서 8세 사이 어린이 54명과 이들의 부모 51명에게 4가지 영역의 수학 능력 검사를 했습 ... ...
노벨상 발표에 베이글이 등장한 사연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올해 초 과학계는 중력파의 발견으로 떠들썩했다. 많은 사람이 노벨 물리학상은 중력파 연구가 받을 것으로 예측했다. 그런데 노벨 물리학상은 중력파가 아니라, 1970~1980년대에 이뤄진 오래된 물질 연구에 돌아갔다.뜬금없는 결과는 아니다. 최근 물리학계에서 초전도체와 반도체는 물리학자들이 ... ...
[지식] 저글링 하는 수학자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손이 노래질 때까지 귤을 까먹다가 남은 귤 2~3개를 공중으로 던져 저글링을 해 본 기억이 있나요? 김장수 교수님은 어릴 적 장난 삼아 했던 귤 저글링이 수학과 매우 밀접하다는 사실을 깨닫고 틈만나면 저글링을 해요. 여기서 더 나아가서 저글링과 관련된 수학 문제를 만들어서 풀겠다는 꿈도 꾸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으로 만나는 우리 고장의 근대역사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대구에는 1000여 개의 골목이 있습니다. 단순한 골목이 아닙니다. 도시의 역사를 재발견한 골목입니다. 그중 100년 이상의 역사를 담은 근대문화골목을 수학의 옷을 입은 매스 투어 코스로 바꿔 보았습니다.우리나라 근대 역사와 문화가 이곳에학교 가는 길이나 도서관 가는 길에 골목길을 지나본 적 ... ...
Part 4. 동물의 삶이 궁금해? 직접 살아 봐!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이라면 동물이 무슨 생각을 하는지 종종 궁금할 때가 있다. 이런 호기심은 만국 공통의 것일까. 올해 이그노벨상 수상자 중에는 스스로 동물의 삶을 산 사례가 많았다.이그노벨상은 과학유머잡지 ‘황당무계 연구 연보’에서 노벨상 발표 한 달 전에 발표하는 괴짜상이다. ... ...
[Tech & Fun] 과학은 네트워크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지구가 지금의 지구인 데는 이유가 있다. 수많은 천체와 힘겨루기를 한 결과다. 액체 물로 된 바다, 생명력을 주는 바람과 비, 발 딛고 설 단단한 토양 등 지구가 원래 가진 속성이라기보다 우주라는 네트워크가 만든 우연한 결과다. 만약 우주를 이루는 요소 중 하나가 갑자기 사라지면 그 이후 지구 ... ...
이전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