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d라이브러리
"
학술
"(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영장류자원지원센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광저우 등지에 영장류연구소를 세우면서 전세계 영장류 연구의 메카로 떠올랐다. 과학
학술
지 ‘네이처’는 2016년 4월 ‘원숭이 왕국(Monkey kingdom)’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중국의 영장류 연구를 대서특필했다. 인력 확보도 중요한 과제다. 현재 영장류자원지원센터에서 원숭이 590마리를 ... ...
[영재교육원 탐방 10] 미래형 교육과정으로 미래 인재 기른다!
수학동아
l
2018년 12호
시작되는 3학년 교육과정에서는 산출물을 만드는 것은 물론이고 소논문 형태의
학술
적인 활동까지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흥미로운 점은 배우고 산출물을 만들고 소논문을 쓰는 모든 과정이 수업시간에 이뤄진다는 것이다. 다른 영재교육원에서는 학생들이 모둠을 만들어서 수업 외의 ... ...
[과학뉴스] 찾았다! 중성자별 쌍성계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초신성 폭발 이후 소멸 과정에서 중성자별 쌍성계를 형성하는 모습을 최초로 관측해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10월 12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지구에서 약 9억2000만 광년 떨어진 은하 외곽의 ‘iPTF 14gqr’이라는 별이 폭발했다가 사라지는 과정에서 쌍성계가 탄생하는 모습을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 ... ...
[과학뉴스] 세계 최초 4D로 촬영한 배아 발달과정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교수팀은 현미경을 이용해 쥐의 배아 발달을 4차원(4D) 이미지로 촬영했다고 국제
학술
지 ‘셀’ 10월 11일자에 발표했다. 4차원은 3차원 이미지를 시간 순으로 촬영했다는 의미다. 연구팀은 6일 된 쥐의 배아에서 개별 세포들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추적해 영상으로 촬영했다. 이를 통해 창자가 ... ...
[과학뉴스] 짜잔! 2D 영상이 3D 모션 조각으로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3D프린터를 이용해 2D 영상을 ‘모션 조각상’으로 인쇄하는 프로그램(MoSculp)이 개발됐다. 기존에도 움직이는 영상을 시각화하는 기술은 있었지만 주로 스냅샷 형 ... 결과는 10월 14~17일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유저인터페이스소프트웨어기술(UIST)’ 국제
학술
대회에서 발표됐다. 김민아 ... ...
공부 잘하는 약 ‘스마트 드럭’의 유혹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있다.doi:10.1016/j.phrs.2010.04.002 그러나 미국 글로벌신경과학계획재단(GNIF) 연구팀은 국제
학술
지 ‘뇌와 행동’ 2012년 9월호에 “많은 인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서는 기억개선 효과가 작거나 플라세보(위약) 효과인 경우가 많았다”고 발표했다. doi: 10.1002/brb3.782013년 미국 펜실베이니아대의 연 ...
[TECH]大화면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신소재공학부 교수팀은 액정에 삽입할 수 있는 투명하고 유연한 지문 센서를 개발해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7월 3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doi:10.1038/s41467- 018-04906-1 박 교수는 “이 지문 센서는 온도와 압력도 동시에 측정할 수 있어 위조 지문을 구분할 수 있다”며 “플렉서블 ... ...
[과학뉴스] 외계행성 도는 ‘달’ 최초 발견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컬럼비아대 과학자들이 세계 최초로 외계행성을 공전하는 위성을 발견해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10월 3일자에 발표했다. 이 대학 천문학과 데이비드 키핑 교수와 알렉시스 티치 박사과정 연구원은 케플러우주망원경이 발견한 외계행성 284개를 분석했다. 그 중 지구에서 8000광년 ... ...
[과학뉴스] 타이탄의 대기 아지랑이, 형성 실마리 풀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대기가 생명체를 만들 가능성에 대해서도 추가로 연구할 계획이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천문학’ 10월 8일자에 발표됐다. doi:10.1038/s41550-018-0585 ... ...
[과학뉴스] 어린이 사시약시, 뇌 발달 저해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어린 시절 사시약시가 뇌 발달에 악영향을 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약시는 특별한 이상 없이 한 쪽 눈의 시력이 크게 떨어지는 증상으로, 대개 두 눈 ... 각각 치료하는 방법이 달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안과학분야
학술
지 ‘IOVS’ 9월호에 게재됐다. doi:10.1167/iovs.18-2523 ... ...
이전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