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원
후원
원조
옹호
승인
시인
변호
d라이브러리
"
지지
"(으)로 총 3,718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눈이 뿔났다! 시력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눈 근육이나 신경에 이상이 있으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정확한 원인은 밝혀
지지
않았어요. 사시가 발생하면 두 눈이 뇌로 서로 다른 정보를 전달해 뇌에 혼란이 오지요.이렇게 굴절이상이나 사시 때문에 뇌로 정상적인 시각 정보가 전달되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요? 뇌는 처음엔 양쪽 눈에서 ... ...
PART 2. 호기심에서 재미찾다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스스로 문제를 풀려고 노력한다면 여기서 소개한 어른들처럼 수학이 재미있어
지지
않을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어른이 수학에 빠진 이유는?PART 1. 일에서 필요성을 찾다BRIDGE. 일+취미PART 2. 호기심에서 ... ...
[Knowledge] 5900t급 이사부 호, 취항 준비 이상 무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0°까지 조절할 수 있는 30t에이-프레임(A-Frame, 로프를 걸어 장비를 내리고 올리는 A자 모양
지지
대)과 우현측 25t A-Frame도 위풍당당했다. 윈치(로프를 감는 기계)에 감긴 로프는 그 길이가 1만m가 넘었다.육지와 실시간 통신하는 배첫 눈에 드러나진 않지만 이사부 호의 또 다른 장점은 섬세한 센서였다. ... ...
[Knowledge] 시체부패는 ‘2차 방정식’을 따른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마음 아픈 사연에도 덤덤해지기 마련이지만 태아의 시신만큼은 마지막까지 익숙해
지지
않았다. 태아의 시신은 물이 가득 찬 통에 넣고 뚜껑을 봉한다. 덩치가 작은 시신을 시체농장에서 썩히면 뼈를 잃어버리기 쉽다. 그래서 이런 방식으로 육탈(살이 썩어 뼈만 남음) 시킨다. 아무 첨가물 없이 ... ...
[Knowledge] ‘과학계의 대나무숲’ 브릭, 스무 살 맞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불려 다니는 일도 있었다. “그나마 사무실이 포항에 있어서 다행이었죠. 황 교수
지지
자들이 직접 찾아오진 않더라고요. 대신 전화로 욕을 엄청 먹었어요. 글을 안 지운다고. ‘연구도 못하는 것들이 위대한 연구자를 못 알아본다’는 말을 제일 많이 들었죠.”당시 이 실장은 최용주 팀장과 함께 ... ...
[가상인터뷰] 벽 타기 선수는 발이 커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4호
: 동물들이 벽을 타고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능력에 대한 원리는 아직까지 정확히 밝혀
지지
않았어요. 지금도 많은 과학자들이 이를 밝혀내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고, 이 과정에서 생체용 반창고나 우주 탐사용 로봇의 발바닥 등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는 과학 기술이 개발되기도 했지요.저는 ... ...
[News & Issue] 2020년, 암흑물질 잡는 특별한 망원경이 온다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초창기부터 기관 멤버로 참여하고 있다. 구글이 정확히 어떤 역할을 할지는 아직 정해
지지
않았지만 LSST에서 만들어진 방대한 데이터를 대중에게 어떻게 서비스할지, 구글이 관심이 많을 걸로 예상한다. Q. 방대한 관측 자료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역대 추진된 천문학 프로젝트 중에서 가장 큰 ... ...
[지식] 선거 개표의 수학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결과가 뒤바뀐다는 것이지요. 이를 뒷받침하듯 2010년 당시 시장 선거에서 오세훈 후보를
지지
한 유권자가 많았던 강남 3구의 개표가 새벽 4시 이후에 이뤄져 대 역전극이 벌어졌지요. 지거나 박빙이다가 압승할 확률이 67%?!수학적으로 따져보면 어떨까요? 1878년 영국의 수학자 윌리엄 워트워드는 ... ...
[News & Issue] 과학인가 사기인가 연구신뢰 흔드는 재현성 논란(上)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더 극단적인 자료가 관측될 확률’이다. 여기서 유의확률이 작을수록 데이터가 영가설을
지지
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한다. 유의확률이 사전에 정한 어떤 값보다 작으면, 연구자는 이를 영가설이 틀렸다는 증거로 간주하고 자신이 세운 원래 가설이 옳다고 결론 내린다. 이 때 그 어떤 값(문턱값 ... ...
Part 1. 알파고가 우리에게 남긴 것들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이를 위해서는 내가 몇 집을 앞서고 있는지 정확히 계산할 수 있어야 한다. 자신이
지지
않는 선에서 경우의 수를 줄여나가야 하기 때문이다. 인간의 능력으로는 쉽지 않다.알파고가 경우의 수를 줄여 궁극적으로 하고 싶은 일은 ‘해결된 문제(solved game)’를 만드는 것이다. 해결된 문제가 되면 ... ...
이전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