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중심"(으)로 총 5,910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기계공학자의 눈으로 본 라테, 위스키 그리고 와인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와인을 마실 때 잔을 빙그르르 돌리는 행위)’을 한다. 와인의 고유한 향을 잔의 중심에 모으기 위해서다. 그런데 이때 시각적으로도 흥미로운 현상이 생긴다. 잔의 표면을 따라 와인이 눈물처럼 흘러내린다! 표면장력이 물보다 작은 와인이(와인도 에탄올이 섞인 술이다) 잔의 벽을 적시는 동안 ... ...
- 주기율표와 화학결합의 비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것이 아니라 원자번호에 의해서 나열돼야 함을 밝혀냈다. 이에 모즐리는 원자번호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주기율표를 만들었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주기율표는 모즐리의 주기율표다. 주기율표를 통해 무엇을 알 수 있을까주기율표에는 세상을 이루는 118개의 원소가 일정한 규칙에 따라 정리돼 ... ...
- [Issue] 요즘 ‘핫’한 롱패딩, 한국 겨울엔 필요 없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차이가 5% 정도로 미미했죠. 그 이유는 다운 점퍼의 원리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다운은 중심 핵으로부터 수많은 보푸라기가 뻗어 나와 마치 민들레 씨처럼 동그란 모양을 이루는데요, 이 보푸라기들이 공기를 머금어 체열이 빠져나가는 걸 막습니다. 즉, 다운이 형성하는 공기층의 두께가 ... ...
- Part 2. 에 숨겨진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그림 를 관찰하다 보면 한 가지 궁금증이 생겨요. 보통 해바라기는 갈색 꽃을 중심으로 가장자리에 노란 꽃잎이 둘러싸고 있어요. 그런데 반 고흐가 그린 꽃 중에 절반 정도는 노란 꽃잎만 가득한 국화처럼 생겼지요. 실제 모습을 세밀하게 표현하기로 유명한 고흐도 그림은 ... ...
- Part 5. 온 몸이 보안 코드, 생체인증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전자금융과 금융보안’ 보고서에서 “핀테크 활성화 및 편의성이 뛰어난 모바일 중심의 금융서비스로 규제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바이오 인식 기술의 도입이 적극적으로 논의되고 있지만 바이오 정보 위조 및 유출 등의 보안 위협이 존재한다”며 “바이오 정보의 위조 판별, 다중 바이오 인식 ... ...
- [Culture] 좌완투수의 시대 왼손의 힘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손아섭 선수는 그간 롯데에 소속돼 있으면서 8년 연속 3할 이상의 타율을 보이며 팀의 중심 타선을 맡아왔다. 한국프로야구선수협회가 수여하는 2017년 올해의 선수상을 수상한 기아타이거스의 양현종 선수 역시 왼손을 주로 사용하는 투수이고, 미국 메이저리그에서는 LA다저스의 왼손 투수인 ... ...
- [Future] 뒤로 공중돌기 완벽 성공, 너의 이름은 아틀라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빅독처럼 가느다란 다리로 사뿐사뿐 걷는다. 옆에서 세게 밀거나 심지어 발로 차도 무게중심을 유지해 넘어지지 않는다. 자갈이나 벽돌이 쌓인 험지나 경사면도 쉽게 오른다. 하지만 유압식만으로는 사람과 꼭 닮은 휴머노이드를 구현하기엔 아직 이르다. 유압식은 힘은 세지만, 전기모터식에 비해 ... ...
- 다양한 관점에서 ‘행복’에 접근하기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다양하게 개발됐다. 대표적으로는 ‘건강한 장수’ ‘지식’ ‘적정한 삶의 수준’을 중심으로 한 유엔개발계획(UNDP)의 인간 개발 지수(HDI)와, ‘주관적 생활만족도’ ‘기대 여명’ ‘생태학적 관점’ 등 세 가지 차원으로 측정하는 신경제재단(NEF)의 행복지수(HPI) 같은 기준들이 있다. 이처럼 행복 ... ...
- Part 3. 반 고흐의 그림을 추적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그런데 유독 한 그림에 관해서는 설명이 남아 있지 않았어요. 이 그림은 밀밭을 중심으로 산과 둥근 천체를 그린 풍경화로, 한동안 이름도 갖지 못한 채 ‘F735’라고 불렸지요. 둥근 천체가 지는 해인지, 뜨는 달인지를 두고도 의견이 분분했답니다. 미국의 천문학자 도널드 올슨 교수는 그림 속 ... ...
- Part 1. 1998~2018, 해시태그로 본 20년의 기록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운영을 전담했다. 반면 ISS는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러시아연방우주청(ROSCOSMOS)을 중심으로 전 세계 16개국의 우주기술이 한데 어우러진 결과물이다. 이처럼 ISS는 우주개발에서 냉전과 경쟁의 시대가 끝나고 협력의 시대가 시작되는 시발점이 됐다. 이주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책임연구원은 “ISS는 ... ...
이전98991001011021031041051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