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확도"(으)로 총 5,430건 검색되었습니다.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내 몸의 설계도 읽는 유전체 해독 기술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유전체는 DNA의 기본단위인 뉴클레오타이드를 이루고 있는 구성 성분인 염기의 조합으로, 모든 생명체가 지니고 있는 ‘생명의 설계도’에 해당합니다. 쉽게 말해 A(아데닌), T(티민), G(구아닌), C(시토신)로 나타낼 수 있는 염기의 서열입니다. 현재 생명과학자들은 인간을 비롯해 다양한 동식물 ... ...
- [매스미디어]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스마트 렌즈를 착용한 순간 게임이 시작된다. 어디선가 괴수가 등장하더니, 허공에서 괴수와 싸울 무기가 생긴다. 무슨 소리인지 궁금하다고? 증강현실 게임을 배경으로 만들어 연일 화제가 되고 있는 드라마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 속으로 지금 들어가 보자. “충분히 발달한 과학 기술은 ... ...
- [수셰프 피터팍의 맛있는 수학] 스파게티 면 난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안녕하세요. 피터팍(피터팬+Park)입니다. 요리 실력이 영원히 어린아이에 머물러있어서 붙은 별명이죠. 언젠가 요리 네버랜드를 떠나 당당한 셰프로 성장할 수 있기를 바라며, 여러분 저와 함께해주시겠어요? 스파게티 면을 아무리 구부려도 딱 2조각으로 쪼개지지 않는다니! 뭔가 특별한 이 ... ...
- [Tech] 만능 스포츠 로봇을 만들어라과학동아 l2019년 01호
- 2019년 과학동아 편집부가 야심차게 추진하는 연간 프로젝트, 만능 스포츠 로봇 만들기. 몸통을 만들고, 팔다리를 만들어 붙이고, 머리를 붙이고…. 일단 1년간 개념설계에 돌입하기로 했다. 설계 책임은 누구에게 맡겨야 할까.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슬로프에 꽂힌 깃발을 피해 S자를 그리며 ... ...
- 서울 선덕고 김지명 군 “ㄱㄴㄷ 문제는 개념 충실히 익혀야 안 틀려요”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수능을 본 후 가채점을 했을 때 솔직히 믿기지 않았어요. 만점이라니…. 성적표를 받고 눈으로 확인한 뒤에야 뿌듯하고 안심이 됐죠. 그동안 저를 도와준 모든 분들이 생각났습니다.” 김지명 군(서울 선덕고 3)은 겸손하고 순수했다. ‘수능 만점자’라는 타이틀에 도취된 모습은 찾아볼 수 ... ...
- [나의 중국 유학 일기] 중국어 5년 배우고 중국 유학 결심하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2018년 2월 처음 중국에 왔다. 지금은 우한대 소프트웨어학과에서 1학년 1학기를 보내고 있다. 우한대는 중국 후베이성 우한에 있는 대학이다. 이곳에 오기까지 과정에는 꾸준한 준비가 있었다. 나는 중학교 때부터 중국어를 배웠다. 중국어를 시작하게 된 계기는 간단했다. 어머니가 중국어를 배우 ... ...
- [과학뉴스] 블루투스 전자알약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지난 12월 13일,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와 브리검여성병원 공동연구팀은 전자알약을 만들었다고 밝혔어요. 캡슐 모양인 이 알약은 블루투스를 이용해 사용자의 스마트폰 앱으로 직접 조종할 수 있지요. 전자알약은 한 달 동안 환자의 위장에 머물며 환자의 건강 상태를 살피고, 상황에 따라 적 ... ...
- Part 4. 美 민간 기업과 손잡고 2026년 달 정거장 만든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여기 완전 미로 같네요.” “곧 꺼내드릴게요. 걱정 마세요.” 보안문 4개와 복잡하게 연결된 복도를 지나 도착한 곳은 민간 우주회사 SSL의 조립동이 한 눈에 보이는 뷰룸(View room)이었다. 유리벽 너머에서는 높이가 5m가량 되는 정지궤도위성 조립이 한창이었다. 위성이 있는 조립동은 시력이 1. ... ...
- [화보] 작은 우주가 담긴 당신의 눈동자에 건배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이토록 가까이 누군가의 눈을 들여다본 적이 있었던가. 아르메니아의 사진작가 수렌 맨벨리안은 사람의 눈을 찍은 초근접 사진인 ‘Your Beautiful Eyes(당신의 아름다운 눈)’ 시리즈로 유명하다(왼쪽부터 두 사진). 블랙홀 같은 동공과 성운 같은 홍채. 그가 찍은 눈에는 그야말로 소(小)우주가 담겨있 ... ...
- [이달의 PICK] 백악기 한반도에 ‘참새 공룡’ 살았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중생대 백악기, 아주 작은 크기의 공룡이 호숫가 주변의 촉촉하게 젖은 땅 위를 걷고 있었다. 공룡은 젖어 있는 땅 중에서도 ‘적당하게 굳은’ 진흙 위를 걸어가며 발자국을 남겼다. 발자국의 크기는 불과 1cm밖에 되지 않았다. 엄지손톱 크기 정도다. 대부분의 육식 공룡은 두 발로 걷고, 뒷발에 ... ...
이전98991001011021031041051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