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도"(으)로 총 1,589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라마다 개성 다른 영어과학동아 l2003년 10호
- 테사 벤트 박사와 앤 브래드로 박사는 영어를 배우고 있는 중국, 한국, 방글라데시, 인도, 일본, 루마니아, 슬로바키아, 스페인, 타이 학생들, 그리고 영어를 사용하는 미국인 학생들로 그룹을 구성했다. 학생들은 각자 돌아가며 ‘The dog came back’과 같은 간단한 영어를 말하고 녹음한 다음 들어봤다. ... ...
- 석유보다 값진 물 - 동해 심층수과학동아 l2003년 10호
- 따라 남하하면서 남극의 웨델해에서 생성된 심층수와 만난다. 이렇게 합류한 심층수는 인도양과 태평양의 심층으로 이동하는데, 북태평양의 북부 해역에서는 상층의 따뜻한 해수와 혼합되면서 표층 근처로 부상한다.침강으로부터 부상까지는 1천5백-2천년 정도 걸리는 것(방사성 동위원소법으로 ... ...
- 2003 제2회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의 끼,끈,꾀,꿈과학동아 l2003년 10호
- 지난해 매출 3천5백80억원, 영업이익 9백90억원을 기록했으며, 미국, 일본, 독일, 영국, 인도 등지에 현지 법인을 갖고 있다.변 사장은 최근 휴맥스의 미래전략을 디지털 가전 분야로 정했다. 이에 따라 휴맥스는 디지털TV의 경우 디지털 지상파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기능이 내장된 LCD TV를 출시해 독일, ... ...
- 한국 국제물리올림피아드 첫 종합우승과학동아 l2003년 09호
- 3개, 은메달 2개를 따냈으며 종합 3위는 대만(금3 은1 동1), 4위는 이란(금2 은3), 5위는 인도(금2 동3)가 차지했다.한국대표단 단장인 김성원 이화여대 물리학과 교수는 “학생들이 레이저다이오드로 액정디스플레이(LCD)의 특성을 확인하는 실험시험에서 기대 이상의 점수를 받은데다 물리 분야의 강자인 ... ...
- 러시아 유인 달 선회 비행 L-1 계획과학동아 l2003년 09호
- 생겨 무려 20G(1G는 지구의 중력가속도)에 달하는 중력가속도로 곧장 대기권에 진입했고 인도양에 떨어졌다. 존드5호는 달 비행 후 지구로 회수된 최초의 우주선이다.1968년 11월 10일에는 존드6호가 발사됐고 처음으로 더블 딥에 의한 방법으로 옛소련의 영토에서 우주선을 회수할 수 있었다. 하지만 ... ...
- 중금속 사냥에 나선 유전자변형 포플러과학동아 l2003년 09호
- 결과 그 농도가 10㎍/L 이하로 줄었다. 이 회사는 방사성 물질인 우라늄을 제거하는데는 인도 겨자를 사용하는 등 오염원에 따라 최고의 정화효과를 보이는 식물들을 다수 확보하고 있다.최근에는 유전자변형기술을 도입해 오염물에 대한 저항력을 높인 식물을 개발하는 연구가 시작됐다. 오염물에 ... ...
- 수화를 말로 바꿔주는 장갑과학동아 l2003년 09호
- 동작의 수화를 번역해주는 전자장갑이 개발됨에 따라 청각장애인도 쉽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됐다. 센서는 손의 빠른 동작 데이터를 컴퓨터로 보내고, 컴퓨터는 이를 큰소리로 바꾸거나 스크린에 활자 형태로 나타낸다.다양한 용도의 수화번역 컴퓨터 장갑미 조지 워싱턴대의 컴퓨터 공학자 조세 ... ...
- SF 작가의 공상에서 태어난 통신위성과학동아 l2003년 08호
- 정지궤도에 발사된 인텔샛 1호 위성인 얼리버드를 시작으로 1967년엔 태평양, 1969년엔 인도양에 인텔샛 위성이 자리잡게 됨으로써 클라크의 공상은 24년만에 현실이 됐다. 덕분에 그해 7월의 아폴로 11호 달 탐사장면이 전 세계인에게 위성으로 생중계 됐다.이에 비해 옛소련은 접근법이 달랐다. ... ...
- 자연의 노래 채집하는 사냥꾼과학동아 l2003년 08호
- 간직한 소리를 찾아 전세계를 누비는 소리사냥꾼이다. 올해 5월 올은 아프리카 남동쪽 인도양에 위치한 섬나라 마다가스카르를 찾았다. 그는 수도 안타나나리보의 서쪽에 위치한 베마라하자연보호구역에서 다양한 소리를 녹음했는데, 이 지역은 1990년 유네스코(UNESCO)가 세계자연유산으로 선정한 ... ...
- 열대 무더위에 견디도록 단련된 인체과학동아 l2003년 08호
- 얼마나 뛰어난 동물인가를 알 수 있다.더위로 인한 사망은 마실 물 부족 때문지난 6월초 인도에서 폭서로 1천2백여명이 사망한 것도 더위 자체보다 마실 물이 충분치 않았기 때문이다. 낮에는 별로 활동하지 않는 사막의 주민들도 하루에 4L 정도 물을 마신다. 큰 생수병으로 두병이 조금 넘는 양이다. ... ...
이전98991001011021031041051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