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암종
종양
수 합체의 뜻
폐해
cancer
d라이브러리
"
암
"(으)로 총 1,916건 검색되었습니다.
체르노빌 사고
암
환자 4000명 넘어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원자력발전소 사고로
암
에 걸려 죽었거나 앞으로 사망한 환자가 4000명 이상 될 것으로 예측됐다. UN 기구와 러시아, 벨라루시, 우크라이나 과학자들이 최근 열린 체르노빌 포럼에서 밝힌 조사 내용이다. 체르노빌 원전은 1986년 4월 26일 원자로 노심이 녹으면서 50t의 방사능 물질이 새어나와 500만명이 ... ...
강원도 산골에서 만난 바닷가 나비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따뜻한 서남해안 지방에서만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암
끝검은표범나비(Argyreus hyperbius).
암
컷 날개 윗면의 끝부분이 검은색을 띠어 붙은 이름이다. 이강운 소장은 “강원도 횡성에서 이 나비가 발견된 것은 아마 지구온난화의 영향일 것 같다”고 조심스럽게 추측했다. 또 “앞으로 이 나비가 여기서 ... ...
떴다! 차세대 우주탐사선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수 있다. 지금까지 연구 결과에 의하면 우주에서 장기간 태양에 노출될 경우 치명적인
암
에 걸릴 가능성이 3% 증가한다. NASA가 달 기지 건설에 ‘집착’하는 진짜 이유는 따로 있다. NASA는 달 탐사를 통해 장차 화성에 인간이 발을 내딛는데 필요한 기술과 경험을 축적하는 데 목적이 있다. 현재 ... ...
단백질의 세계에 빠~져 봅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일어나면 우리 몸에 질병이 생기게 됩니다. 그러므로 치매나 골다공증, 동맥경화, 당뇨,
암
등의 질병의 원인이 되는 단백질의 구조를 밝혀 낼 수 있다면 치료도 쉽게 할 수 있는 것이지요.”단백질의 구조를 밝혀 내는 것은 생명 현상에 대한 이해를 넓히게 해 줄 것입니다. 이런 연구의 선두에 ... ...
쌍둥이도 나이 들면 달라진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나이가 들면 유전자가 달라진다.스페인 국립
암
센터의 마리오 프라가 박사팀은 일란성 쌍둥이의 DNA를 조사해 시간이 지나면서 두 사람의 DNA가 화학적으로 달라지는 것을 발견했다. 일란성 쌍둥이는 태어날 때 서로 같은 유전자를 가지므로 이 연구는 환경이 어떻게 DNA를 바꾸는지 보여준다. 이 ... ...
4. 공포는 바로 이 맛이야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실린 기사를 검토한 결과 미국인 가운데 심장병 환자는 5900만명, 골다공증 300만명,
암
300만명이었다고 한다. 그 밖에 다른 증상을 겪고 있다는 사람들의 수를 종합했더니 5억4300만명이 병에 걸린 상태라는 결론이 나왔다고. 당시 미국 인구가 2억6500만명이었다니 가히 놀랄 만한 숫자다. 한 명이 2~ ... ...
발생의 마법사, 신경제세포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분화되고 있는 다른 여러 조직으로도 이동해 파고들어간다. 마치
암
이 전이될 때
암
세포가 다른 조직으로 옮겨 들어가는 것처럼 말이다.따라서 보통의 신경줄기세포 대부분이 중추신경계로 분화하는데 반해 신경제세포는 말초신경계 이외에 여러 조직 내에서 수십 종류의 세포로 분화한다. 이 같은 ... ...
헤르츠의 전파검출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만유인력처럼 원격 작용하는 힘의 개념으로 설명하려고 했다.맥스웰은 한창 일할 나이에
암
에 걸려 1879년에 사망했지만 그의 추종자들이 맥스웰의 이론을 더욱 다양한 형태로 여러 현상들에 적용했다. 맥스웰 방정식이 함축하고 있는 가장 놀라운 사실은 광속으로 퍼져나가는 전자기적 요동(파동)이 ... ...
햇빛이 나를 늙게 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통과시킨다”고 덧붙인다. 미국 국립
암
센터는 자외선에 조금이라도 노출되면 피부
암
에 걸리는 색소성건피증 환자들을 수년 동안 자외선에서 차단해봤다. 그래도 환자 모두 체내에 적정 수준의 비타민D가 있었다고. 지난 5월 미국피부과학회도 “비타민D를 충분히 얻으려면 태양을 찾는 대신 건강한 ... ...
냄새는 뇌가 맡는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때 수컷은
암
컷이 체외로 방출한 극미량의 페로몬을 감지해 10km 떨어진 곳에서도 정확히
암
컷에게로 날아갈 수 있다. 개나 사슴 등 포유동물의 대부분도 짝짓기를 하기 전에 상대 생식기의 냄새를 맡고 성적자극을 받는다. 그렇다면 사람에게도 페로몬이 있다는 말일까. 사람의 경우에도 페로몬이 ... ...
이전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