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음속
마음
심리학
가슴속
뱃속
심리상태
상태
d라이브러리
"
심리
"(으)로 총 1,826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실험 임무 걱정 마세요!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전공으로 학부과정을 마치고 인지과학협동과정 대학원 석사과정에 진학한 그는 철학,
심리
학, 컴퓨터과학, 신경과학을 두루 공부하며 사춘기 시절의 질문에 답을 구했다. 그리고 ‘사람처럼 사물을 보는’ 인공지능 컴퓨터를 만드는 연구에 뛰어들었다.고 씨는 이제 우주라는 극한의 공간에 ... ...
시들해진 마음에 불을 질러라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과거처럼 한두 가지의 특성으로 나눌 수 없다. 로또 열풍과 로또 피로현상도 단순히 기대
심리
에 영향을 미치는 한두 가지 요소로만 생각해서는 안되며 사람마다 로또에서 느끼는 가치들을 모두 아우를 수 있어야 한다. 더 이상 느낌이나 직감에 의존한 마케팅이 성공을 거둘 수 없는 것도 이런 ... ...
PART4 내 몸에 꼭 맞는 암예방법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아빠가 담배를 끊은 것은 벌써 8년 전. 금연콜센터 상담 프로그램이 제안한 금단증상
심리
치료와 니코틴 대체요법의 도움을 받았다.그 시간 엄마는 부엌에 있는 소형 모니터를 확인하며 아침식사를 준비하고 있다.오늘 아침 식단은 쇠고기 야채죽과 사과다. 모니터에는 쇠고기 야채죽에 넣어야 하는 ... ...
연이 끄는 화물선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개념을 이용하여 동기부여를 분석하는
심리
학 벡터 이론은 K 레빈이 제창한 토폴로지
심리
학, 또는 장이론의 중요한 부분이다 벡터는 방향과 양을 표시하는 수학적 개념이며 레빈의 장이론에는 생활공간에 작용하는 동기의 힘이 유인을 향하는 방향과 유인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가진 벡터에 의해 ... ...
러시아 스파이를 죽인 독극물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있다기하학적 착시도형(錯視圖形)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것1889년 독일의 사회학자·
심리
학자인 F 뮐러리어에 의해 고안되었다동물 의태의 하나 2종 이상의 동물이 비슷한 무늬 또는 색채를 경고색으로 가짐으로써 경험이 적은 포식자에게 먹힐 확률을 줄이는 것을 말한다유독하지 않고 맛이 있는 ... ...
우리 포옹할까요?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포옹하는 느낌을 나눌 수 있다. 포옹도 디지털이라는 옷을 입고 진화한다. 연세대
심리
학과 황상민 교수는 “사회문화적 배경에 따라 포옹이 갖는 의미는 다르지만 사랑을 표현하는 수단이라는 점은 변하지 않았다”며 “오늘날 바쁘게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어쩌면 ‘접촉결핍증’에 시달리고 ... ...
말라리아 약초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양상·변화를 지배하는 기구와 조건 등을 해명하고 발달법칙을 수립하는 학문이다발생
심리
학이라도 불린다발덴의 법칙 이 법칙은 대단히 큰 이온에서만 성립한다그것은 이온이 용매화되어 있기 때문이다물을 용매로 할 때는 용매화가 특히 현저하므로 ∧˚η값은 다른 용매 때와는 상당히 ... ...
전쟁에 지면 달력도 없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규칙을 부여해 특정한 시간은 특정한 운명의 지배를 받는다고 여겨왔는데, 이 관습적인
심리
를 이용해 100년만의 쌍춘년이나 600년만의 황금돼지해라고 과장하니 더욱 쉽게 이런 거짓말을 믿는 것이다. 이는 바로 우리나라 사람이 달력에 대해 지니고 있던 관습적 의미가 얼마나 깊은지를 잘 말해준다 ... ...
4. 나는 꽃미남이 좋아요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얼굴 즉 오른쪽 얼굴이 판단의 근거로 활용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또 미국 네바다대
심리
학과 마이클 웹스터 교수는 2004년 남성의 얼굴을 많이 보다가 여성의 얼굴을 보게 되면 그 얼굴이 더욱 여성적으로 보인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일종의 잔여효과(aftereffect)가 생긴다는 말이다. ... ...
마빡이는 엄살?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없다”고 설명했다. 근육이 실제로 느끼는 피로는 운동방식, 운동시간, 개인의 체력정도,
심리
상태 등에 따라 달라진다.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대 로브손 앤슬리 박사는 오랜 시간 운동을 하면 몸속 신호전달분자인 ‘인터류킨-6’이 뇌에 신호를 보내 운동을 중단하거나 강도를 줄이도록 ... ...
이전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