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상"(으)로 총 4,863건 검색되었습니다.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0년 09호
- 폴리매스 친구를 만나다! 폴리매스 홈페이지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친구를 한 명씩 만나볼 예정입니다. 이번 주인공은 함께 풀고 싶은 문제 코너에서 꾸준히 활동하는 ‘깁(Gip)’ 친구입니다! Q 자기 소개 부탁해요!안녕하세요! 경기도 성남시에 사는 백현중학교 1학년 이아영입니다. 제 좌우명인 ... ...
- [과동키즈] 과학고 출신 의사에서 국회의원이 되기까지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나는 재수 끝에 가까스로 가톨릭대 의대에 입학했다. 의대에서 보건학을 선택한 이유“세상에 이렇게 똑똑한 사람이 많은데, 나는 이제 뭐 하고 살지?”안타깝게도 이런 고민은 의대에 진학해서도 이어졌다. 의대에서는 고등학교 때보다 더 많은 양의 전공 내용을 속속들이 외워 매주 시험을 ... ...
- [교육뉴스] 세상에 없던 지식, 데이터 속에서 찾자!수학동아 l2020년 08호
- 학생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뭐가 있을까요? 제1회 교육 공공데이터 활용대회 최우수상을 받은 조예빈 중앙대학교 학생은 초중고 내 체육관 수, 체육교사 수, 비만 학생 수 등 각종 공공데이터를 이용해 통계분석한 결과 체육교사 수가 비만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얻었어요. 올해도 교 ... ...
- [인터뷰] 세계 최초 수학대중화 석좌교수 김민형수학동아 l2020년 08호
- 조언해 주셨습니다. “내가 수학을 잘한다 혹은 못한다는 것에 집중하지 마세요! 세상을 이해하기 위해서 수학을 공부한다는 생각을 가진다면, 누구보다 잘한다거나 누구보다 못한다는 것은 중요하지 않거든요 ... ...
- SNS에서 '핫'한 MBTI의 진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지각기능’ ‘판단기능’ 등 대극 지표로 사람들의 심리 유형을 8가지로 분류했다. 즉 세상을 대하는 태도가 내향인가 외향인가, 무언가를 인식할 때 감각인가 직관인가, 판단을 내릴 때 사고인가 감정인가를 구분한 것이다. 캐서린과 이사벨 두 사람은 여기에 ‘생활양식’이라는 지표(판단과 ... ...
- [과동키즈] 내가 남극으로 향한 이유과학동아 l2020년 08호
- 꺼내서 관련 기사를 읽기도 하고, 2005년에 정기구독 사은품으로 받은 책 ‘공학에 빠지면 세상을 얻는다’도 탐독했다. 동아사이언스가 서울대 공대와 함께 출간한 책이었는데, 전공별 연구 분야와 전망이 잘 정리돼 있어 대입 자기소개서를 쓸 때 도움이 됐다. 2006년 나는 서울대 전기컴퓨터공학부 ... ...
- [SF에 묻는다] 매트릭스 vs. 사이코 패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고치거나 싹 지우고 다시 만들기도 훨씬 더 쉬울 겁니다. 이번에 다룬 작품 속 세상은 디스토피아라고 할 수 있지만, 지난 4화(2019년 11월호)에서 다뤘던 ‘도시와 별’처럼 인간이 안락하게 살 수 있는 유토피아를 만들 가능성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곳도 사회를 유지하기 위해 인구수에 제한을 ... ...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 맛있는 스테이크를 굽는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보고 스테이크 마스터가 되어 보세요! ●달고나 커피의 과학 (조회수 : 7만 회) 채널명 : 세상의 모든 지식내친김에 요리 영상 하나 더! 이번엔 인터넷에서 수많은 사람들의 도전이 이어지고 있는 달고나 커피예요. 어린이과학동아 홈페이지에도 달고나 커피를 만들었다는 친구들이 제법 있더군요. ... ...
- [이달의 수학자] 전쟁의 아픔을 수학으로 달랜 수학자, 김기항수학동아 l2020년 08호
- 가진 추측이다.하지만 김 박사는 평생 그리던 고향에 돌아가지 못한 채 2009년 1월 세상을 떠났다. 고향과 가족에 대한 그리움을 수학 연구로 달랜 그는 교수로 재직하는 동안 총 126편의 논문과 7권의 책을 집필했다. 2013년 응용수학 분야 국제 학술지 ‘악타 아플리칸데 마테마티체’는 김 박사의 ... ...
- [에디터노트] Why Explore Space?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왜 우주를 탐사하는가?(Why Explore Space?)’라는 제목으로 이후 NASA가 공개한 문서를 통해 세상에 알려졌다. 스툴링거 박사의 편지는 50년이 지난 지금도 인류가 왜 우주 탐사에 나서는지, 왜 과학기술 발전을 위한 연구개발을 멈추면 안 되는지에 대한 답변의 정석으로 여겨진다. 그는 “달로, 또 ... ...
이전98991001011021031041051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