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승
동물체
축생
생물
사람
피부양자
동물기관
d라이브러리
"
동물
"(으)로 총 6,508건 검색되었습니다.
1980년 면역거부반응의 이유를 찾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찾아낸 H2항원 유전자의 역할을 사람의 몸에서는 HLA 유전자가 하는 셈이다. 이처럼 척추
동물
의 몸속에는 외부 물질을 구별하는 고유한 항원이 있고, 세포는 그 항원을 표면에 돌출시키는데, 이를 주조직 적합성 복합체(MHC)라 한다. HLA 유전자는 MHC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바루 ... ...
단백질 백신_B형 간염 백신 Hepatitis B vaccine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방법으로 단백질 백신을 생산한다. 바이러스가 가지고 있는 유전자 정보를 박테리아나
동물
세포 등에 삽입해 직접 항원을 생산하는 방식이다. 이렇게 개발한 단백질 백신을 펩타이드(peptide) 백신이라고 부른다. 펩타이드 백신의 가장 큰 장점은 서브유닛 백신과 비교해 부족했던 면역 반응 ... ...
[백신 개발 비하인드] 속도 높이는 코로나19 백신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이미 백신이 개발된, 인류에게 그다지 치명적이지 않은 질병이었다. 하지만
동물
이 가진 인플루엔자바이러스와 결합해 새로운 모습으로 나타난 신종 인플루엔자바이러스가 일으킨 신종플루는 기존 백신으로는 예방 효과가 전혀 없었다.다행히 신종플루 백신 개발은 빠르게 이뤄졌다. 과거 ... ...
[돌아가다] 고래를 보고 싶다면 바다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제주도를 중심으로 고래 투어가 시작되고 있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답니다. 해양
동물
생태보전연구소(MARC)의 장수진 대표는 “고래 관광이 시작되고 있는 지금 고래 보호를 위한 가이드나 법안이 마련되어야 고래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인간도 오래도록 고래를 볼 수 있을 것”이라 밝혔지요 ... ...
[질문하면 답해줌!] 개미에게도 땀샘이 있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seohyun5091)) A 땀샘은 오직 포유
동물
만 지니고 있는 기관이에요. 인간과 낙타, 말, 소 등의
동물
은 땀샘을 통해 체온을 조절해요.땀샘이 없는 개미는 체온을 조절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지니고 있어요. 한 예로 지면 온도가 최대 70℃까지 올라가는 사하라 사막에 사는 ‘사하라은개미’는 몸 전체가 ... ...
STEP ① 숙주세포 탐색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바이러스도 증식하지 못하고 함께 사멸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을 비롯한
동물
은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면역세포들이 바이러스의 유전체 복제와 단백질 합성을 방해하는 ‘인터페론’ 단백질 등의 신호 물질을 분비한다. 이들 신호 물질은 더 많은 면역세포를 활성화해 바이러스와 전쟁을 ... ...
대식세포...바이러스 전쟁의 지휘관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출신의
동물
학자로 정부의 압력을 피해 이탈리아 시칠리아 북동부로 피신한 일리야 메치니코프는 1882년 배아 상태의 불가사리 유충에 가시를 찔러넣고 그 변화를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실험을 하고 있었다.이때 한 무더기의 세포가 찔린 부위로 이동해 손상된 조직을 먹어 치우는 것과 같은 장면이 ... ...
1954년 바이러스를 시험관에서 배양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백신 접종으로 감염률이 줄긴 했지만 효과는 기대에 못 미쳤고 결국 실패로 결론 났다.
동물
의 체내에서 배양된 바이러스의 한계를 깨달은 과학자들은 시험관에서 바이러스 배양에 도전했다. 바이러스는 박테리아(세균)와 달리 인공적으로 번식시킬 수 없었다. 오직 살아있는 세포 내에서만 ... ...
1908년 혈청 치료법을 완성하고 포식 이론을 발표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이 진단법은 지금도 쓰이고 있다. 또 다른 수상자인 러시아 출신의 메치니코프는
동물
학자였다. 1882년 불가사리를 연구 중이던 그는 불가사리 유충에 가시를 찔러 넣으면 특정 세포들이 가시 주위에 몰려든다는 사실을 우연히 발견했다. 유충의 면역세포가 외부 침입자인 가시를 공격하는 ... ...
1984년 단일클론항체를 만들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중반 면역을 연구하던 과학자들에게는 바로 이 점이 큰 고민거리였다. 혈청 치료를 위해
동물
에 항원을 주입해서 항체를 얻으면 항체 그룹의 구성이 번번이 달랐다. 이런 방법으로는 분자적으로 동일한 항체를 만들어내는 게 불가능했다. 게오르게스 잔 프란츠 쾰러와 세사르 밀스테인은 한 가지 ... ...
이전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