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혜
은덕
도움
덕
공덕
덕성
덕택
d라이브러리
"
덕분
"(으)로 총 3,856건 검색되었습니다.
질서┃우주의 미래···우리는 어디로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태양은 언제 어떤 과정을 거쳐 사라질지 추정해왔다.태양은 질량이 작은 3세대 별인
덕분
에 수명이 길다. 46억 년 전에 탄생했으나, 그보다 훨씬 더 긴 시간 동안 우주에 존재해 있을 것이다. 물론 그때까지 지구에 생명체가 존속할 수 있는 건 아니다. 태양은 가지고 있던 수소를 거의 다 태우고 나면, ... ...
[동아리탐방] 수학에 눈뜨자! 경희여고 MathEye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3학년 최지영 양은 “학생들이 원하는 건 모두 적극적으로 지원해 주시는 홍창섭 선생님
덕분
에 알찬 동아리 활동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하고 싶은 거 다 해~! “얘들아, 올해 매스아이에서 뭐 하고 싶니?”매년 동아리 첫 시간에 홍 교사가 하는 말이다. 일부러 계획이 없는 ‘척’한다. ... ...
아폴로 11, 연습만이 살 길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우선순위가 낮은 작업을 제거하고 주요임무를 먼저 처리하도록 설정이 변경됐다.
덕분
에 아폴로 11호는 최초의 달 착륙이라는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다. ▲아폴로 계획의 성공은 미국인들의 숙원이었다. 많은 사람들이 텐트를 치고 노숙을 하며 아폴로 11호의 발사를 기다렸다 ... ...
신비┃인류는 정말로 달에 갔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관련된 음모론 영상도 한 편 이상 시청했다는 것이다. 유튜브가 관련 영상을 추천해준
덕분
이다. 음모론을 가려내고 진실을 판단하는 지적 능력이 더욱 중요해진 사회다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7호
발견했지요.백신이 모든 질병에 대해 쓰인 것은 19세기 프랑스 의학자 루이스 파스퇴르
덕분
이에요. 파스퇴르는 닭 콜레라를 포함한 여러 질병에 백신의 원리를 적용하며 제너를 기리기 위해 이 단어를 썼답니다. ... ...
아폴로 8호, 역대 가장 무모한 임무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지구돋이’ 사실은 착시효과 ‘지구돋이(Earthrise)’는 최초로 달 궤도에 접근한 아폴로 8호의 비행 중 윌리엄 앤더스가 촬영한 사진에 붙 ... 기뻐하며 이렇게 말했다. 크리스마스 당일에 어울리는 미국식 유머였다. 산타의 선물(?)
덕분
일까. 아폴로 8호는 무사히 지구로 돌아올 수 있었다 ... ...
[화보] 세포vs 병원체 몸속 슈퍼히어로의 전투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연결시켜 보려고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어요. 박사학위를 받고 연구원 생활을 할 때였죠.
덕분
에 그림을 그리기 위해 정보를 모으고 그림을 그리는 과정에서 제 연구를 세포 전체적인 시각에서 볼 수 있게 됐어요. Q어떤 과정을 거쳐서 그림을 그리나요?우선 몸속 분자의 구조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 ...
오퍼튜니티, 성과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저를 위기에서 구출해내기 위해 연구한 과학자들의 노력이 정말 대단하죠? 그
덕분
에 화성에서 많은 것들을 발견해낼 수 있었어요. 임무 목표도 완수했고요. 화성 ... 다시 만나면 머리에 손을 대고, 눈을 본 다음 우리가 여기에 올 수 있었던 것은 바로 네
덕분
이라고 대신 전해 주세요 ... ...
시스템반도체가 뭐기에? 3대 키워드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트루노스는 기존 시스템보다 1만분의 1 수준으로 적은 전력(25~275mW)으로 구동했다.
덕분
에 그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가 선정한 ‘올해의 10대 연구 성과’에 선정되기도 했지만, 사실 자가 학습능력은 없었다. 인텔은 2017년 학습 기능을 보완한 뉴로모픽 반도체 ‘로이히(Loihi)’를 개발했다. ... ...
“탄소 저장한다니 신기해요” 소금 땅에서 만난 빨간 식물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바깥으로 배출되기 어려운 만큼 수천 년 이상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덕분
에 블루카본이 생성되는 연안 지대는 바다 전체 면적의 0.5%에 불과하지만 흡수하는 탄소량은 바다 전체의 50~71%에 이른다. 게다가 육상 삼림보다 면적은 훨씬 좁은데도 불구하고 연간 탄소 흡수 총량은 육상 ... ...
이전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