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d라이브러리
"
대학
"(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자의 세계로] 수학자의 세계로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느끼게 해 주는 분야예요. 그게 최고의 매력이었어요. Q. 어떤 계기로 미국 미시간
대학
교
대학
원으로 옮기게 되신 건가요? A. 2010년 미시간대로부터 아직 학술지에 게재된 건 아니지만 ‘리드의 추측’을 푼 내용을 발표해달라는 제안을 받았어요. 책에서 보던 유명한 수학자들이 미시간대에 ... ...
수학 선진국으로의 도약! 앞으로 한국 수학은?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지속적으로 수학이 발전할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때입니다. 하승열 서울
대학
교 수리과학부 교수는 “이번 IMU 5그룹 승격과 허준이 교수의 필즈상 수상을 계기로 수학을 향한 관심과 지원이 많아지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인포그래픽 한국 수학의 발자취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 ... ...
정수론 만능 열쇠로, 고차원 케플러의 추측 해결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문제로, 케플러의 추측으로 불립니다. 이 추측은 1998년 토마스 헤일스 미국 피츠버그
대학
교 교수가 방대한 양의 컴퓨터 계산을 통해 해결했습니다. 3차원 문제를 해결한 뒤 수학자들은 4차원 이상의 고차원에서의 공 쌓기 문제에 몰두했습니다. 고차원 공 쌓기 문제는 3차원 문제보다 훨씬 더 많이 ... ...
연속한 두 소수 문제의 획기적 발전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교수, 코이코일로포일로스 교수, 그리고 막심 라지윌 미국 캘리포니아공과
대학
교 교수가 있습니다. 뛰어난 동료 수학자들과의 연구 교류가 그의 훌륭한 업적에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 수학계에서도 이러한 연구 환경이 주어지고 연구 교류가 더욱 활발히 이뤄지길 기원합니다 ... ...
[과학자가 해설하는 아바쿠스상] 컴퓨터의 연산 불가능 연구를 선도하다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실수를 계산하게 하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이에요. 그런데 브레이버먼 교수님은
대학
원 시절 컴퓨터과학 분야에서 많이 응용되는 실수 연산 모형 두 개가 일치한다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컴퓨터가 연산할 수 없는 ‘프랙털 집합’이 존재한다는 것도 밝혔습니다. 그 전까지는 ... ...
[주니어 폴리매스] 폴리매스 어셈블!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회원이여 모여라!’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 출신
대학
생 멘토 6명이 내는 폴리매스 어셈블 문제! 이번 필즈상 특별호 에서는 2022년 필즈상 수상자인 제임스 메이나드 교수님의 연구에 관한 문제를 조영준 멘토가 출제 했어요. 지금 바로 폴리매스 홈페이지에 접속해 [주니어 폴리매스]-[폴리매스 ... ...
ICM 주요상 수상자의 서재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도서,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입시에서 물먹고, 한때는 피아니스트를 꿈꾼 청년.
대학
교 3학년이 돼서야 수학의 길을 택한 늦깎이 수학자. 끈기 하나를 유일한 밑천으로, 미국으로 건너가 박사를 받고 필즈상까지 수상한 수학자. 마치 허준이 교수의 이야기와 비슷합니다. 사실 이 이야기의 주 ... ...
[어덕행덕] 개미 덕후가 알려주는 입덕 가이드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그는 “처음에는 일본 사이트를 번역해가며 정보를 찾거나 개미를 연구하는
대학
원생 형들에게 문자로 질문해 궁금증을 풀었다”며 “그때 연락하던 사람들 중에서 지금은 조교수나 선생님이 된 사람도 있다”고 했습니다.개미 연구자와 개미덕후는 떼려야 뗄 수 없는 사이입니다. 연구자들이 ... ...
더 뜨거워진 공대 최고 인기학과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우리가 사용하는 모든 전자기기에 빠지지 않고 들어있는 그것. 현대사회에서 언제나 인기 있었지만 앞으로 더 인기 있을 그것. 반도체가 요즘 한국 사회에서 더욱 뜨겁게 주목받고 있다. 최근 정부에서 반도체학과 정원을 늘리겠다고 발표했다. 학과 이름에서부터 ‘반도체’가 들어간 학과. 이름 ... ...
정원 6배 증가? 반도체학과 도전해볼까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결합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곳은 전 세계에 없다고 설명했다. AI와 반도체를 융합하려면
대학
원 공부나 산업계 경험 등이 필요하다. 또 다양한 분야로 진출하는 것과 졸업 후 바로 설계 인력이 되는 것은 다르다. 김병성 교수는 “반도체학과를 졸업하면 전문가로 성장하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다는 ... ...
이전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