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연시간
Delay Time
딜레이 타임
latency
d라이브러리
"
대기시간
"(으)로 총 1,900건 검색되었습니다.
금성의 베일 벗길 탐사선 발사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11월9일 유럽우주국(ESA)의 금성탐사선 '비너스 익스프레스'가 소유즈 로켓에 실려 발사됐다. 비너스 익스프레스는 163일 뒤 금성 궤도에 진입해 두터운 대기를 측정하는 등 금성의 형성과 진화를 밝힐 자료를 수집하며 탐사 활동을 벌이게 된다. 물 속에 있는 콜로이드상태 또는 가는 입자상태 현탁 ... ...
지진 생존자를 위한 '따뜻한 텐트'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파키스탄과 인도에서 일어난 지진 때문에 200만명 이상이 집을 잃었다. 곧 매서운 겨울을 맞을 이들을 위해 빠르고 싸게 만들 수 있는 텐트가 최근 개발됐다. 이 텐트는 추위와 강풍 실험을 통과했다. 재료시험에서 시료조각의 단면적 변화를 무시하고, 최초의 단면적으로 외력을 나눈 값둘 또는 ... ...
1. 과학은 주가도 춤추게 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아이고, 팔다리가 쑤신다. 비가 오려나?” 할머니가 이렇게 말씀하시면 하늘은 마치 할머니와 약속이라도 한 것처럼 어김없이 비를 뿌린다. 할머니에게는 ‘팔다리가 편안한 정도’가 날씨를 가늠하는데 이용되는 변수인 셈이다. 기상학자들은 할머니보다 훨씬 많은 변수를 모아 날씨를 예측한 ... ...
우주개발에 대해 알고 싶은 7가지 궁금증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지난 5월 3일, 우리나라의 우주개발을 규정한‘우주개발진흥법’이 국회에 통과되면서 본격적인 우주개발의 기틀이 마련되었다. 이것은 앞으로 우리나라도 로켓을 쏘아올리고 우주인을 양성하고, 나아가 우주여행을 할 수 있는 우주생활의 첫 단추를 끼웠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 ...
부팅시간 '0' 탄소나노튜브메모리칩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개발했다. 나노튜브는 컴퓨터가 꺼져도 정보를 그대로 저장하기 때문에 다시 부팅할 때
대기시간
이 걸리지 않으며, 시간이 지나도 정보 저장능력을 잃지 않는다. 이 기술은 10월 4일 ‘네이처’ 온라인 뉴스에 실렸다.이 칩은 실리콘 칩 위의 전극 사이에 작은 다리 모양의 나노튜브가 걸쳐 있는 ... ...
5. 별의 유언을 들어라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미국 메릴랜드대 물리학과 서은숙(44) 교수를 만나기로 한 것은 지난 9월 28일 오전 10시. 약속 장소인 서 교수 연구실에 갔지만 문은 닫혀 있었다. 조금 기다리자 한국인 조교가 다른 방으로 안내했다. 서 교수는 미국 학자들과 세미나 중이었다. 살짝 열린 문틈으로 인사를 보내자 그는 세미나를 멈 ... ...
천문학자 울린 샛별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지난 여름부터 해가 진 후 저녁하늘을 바라보면 유달리 밝은 별 하나가 빛나고 있다. 이 별은 다른 별들에 비해 훨씬 더 밝아서 매우 독특하게 보인다. 이 별이 무엇일까? 바로 금성이다. 태양과 달을 제외하고 밤하늘에서 볼 수 있는 가장 밝은 천체라는 금성이 지금 하늘에 떠 있다. 4일 태양과 가 ... ...
괴물 오징어 사진촬영 첫 성공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일본 과학자들이 깊은 바다 속에 살고 있는 대형오징어를 처음으로 촬영했다. 연구팀은 일본 남부 보난섬 부근에서 8m 길이의 대형오징어가 먹이를 공격하는 순간을 찍었다. 인공적으로 지능을 구현하는 기술이나 그 실체를 뜻함 그 실체는 영화 '스페이스 오디세이'의 '할'(HAL)처럼 컴퓨터일 수 ... ...
줄의 열의일당량 측정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1830년대 말 양조업을 하던 줄은 경비를 줄이고 과학적인 호기심도 충족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동력원의 효율을 측정하는 실험을 했다. 이 과정에서 그는 열이 발생하거나 없어지지 않는다고 설명하는 칼로릭 이론이 틀리며 열기관에서는 실제로 열이 발생한다고 생각하게 됐다.칼로릭 이론에 의구 ... ...
중국 두 번째 유인우주선 선저우6호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중국 최초의 우주인 양리웨이가 우주를 다녀온지 불과 2년만에 중국은 두번째 유인우주선 발사에 성공했다. 두 명의 타이코노트(중국 우주인을 일컫는 신조어)는 5일 동안 우주에 머물면서 우주선에 마련된 실험실에서 각종 무중력 실험을 실시했다. 선저우6호는 지구를 77바퀴를 돈 뒤 10월17일 무사 ... ...
이전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