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기"(으)로 총 3,322건 검색되었습니다.
- 산타도 깜짝 놀란 착한 과학 선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4호
- 캐나다의 비영리단체인 ‘포그퀘스트(FogQuest)’에서 개발한 안개 포집 장치예요.안개는 대기 중에 있는 많은 수증기가 뭉쳐져서 지표면 가까이에 작은 물방울들이 떠 있는 현상을 말해요. 안개가 낀 날에는 눈으로 볼 수 있는 거리가 1km도 안 될 정도로 뿌옇기 때문에 교통사고가 많이 일어나기도 ... ...
- 총알보다 빠른 혜성에 착륙하라! 로제타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4호
- 중이지. 미국에서 발사한 ‘메이븐’도 망갈리안보다 3일 먼저 화성 궤도에 들어가 대기 상공 100km의 가스를 분석하고있어.화성은 사람이 지구를 떠나 새롭게 정착할 수 있는 1순위 행성으로 손꼽혀. 화성의 자전 주기와 기울어진 자전축 경사가 지구와 매우 비슷하거든. 또 그동안 54개의 탐사선을 ... ...
- 100년 전 수첩에서 유령입자까지 남극 미스터리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3호
- 충돌해 에너지를 잃고, 녹색만 자유롭게 빛을 낼 수 있지요. 그래서 적색 오로라는 대기 입자가 거의 없는 높은 고도에서만 생긴답니다. 남극 미스터리들의 정체, 모두 재미있게 잘 봤겠지? 뭐? 아직도 풀지 못한 미스터리가 많다고? 그렇다면 남극세종과학기지에 있는 진짜 연구대원들에게 질문할 ... ...
- 데이노케이루스가 전하는 거대공룡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2호
- 가졌다고 가정하고,혈액순환을 컴퓨터로 가상으로 재현해 보았지요. 그 결과 머리 꼭대기까지 피를 끌어올리려면 심장이 고래보다 15배 이상 많이 뛰어야 한다는 걸 알 수 있었어요. 이에 세이모어 교수는 목 긴 공룡이 목을 꼿꼿 하게 세우고 다니는 건 무리였을 거라고 설명했어요. 또한 목 긴 ... ...
- 국제우주정거장에서 본 초록빛 오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9호
- 지나갈 때 포착한 것이죠.오로라는 태양에서 나온 입자의 일부가 지구 자기장에 이끌려 대기 속으로 들어올 때 공기와 만나 빛을 발하는 현상이에요. 주로 그린란드나 알래스카처럼 북극지방에서 볼 수 있어요. 다른 지역에 비해 자기장이 엷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보기 힘들어요. ... ...
- 화성에서 발견된 동물 다리뼈?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8호
- 습도, 바람 등을 측정하고, 날씨나 지형변화를 알 수 있게 사진을 찍어 보내거나 흙이나 대기를 분석한 데이터를 지구로 보내기도 하지요.화성을 탐사하다니 대단하구나!제가 화성에 오기 전에 이미 ‘스피릿’이나 ‘오퍼튜니티’ 같은 탐사로봇들이 왔어요. 하지만 저는 기존 화성 탐사로봇들과는 ... ...
- 달 연구 전문가 ‘지구가 더조아’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4호
- 다시 발사해 달 궤도에 있던 우주선과 도킹한 다음, 우주선을 타고 지구로 돌아왔다.“대기권을 통과할 때 온도가 3000℃일세. 행운을 비네.”다시 가져다 놓아라~!“하하하, 자네 덕분에 1969년에 인류가 달에 진짜로 갔다 왔다는 사실을 확인했어.”“네? 그게 무슨 말인가요?”“아까 자네가 달에서 ... ...
- 달에 까만 토끼가 살고 있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3호
- 갈래!안타깝지만 닥터 그랜마. 달에 온다면 단 1분도 버티기 어려울 거예요. 달은 대기가 무척 옅어서 숨을 쉴 수가 없거든요. 달의 중력이 지구의 6분의 1밖에 안되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닥터 그랜마처럼 쿵쾅쿵쾅 뛰다가는 높이 솟구칠지도 몰라요. 달을 정복하고 싶다면 달에서 숨을 쉴 수 있는 ... ...
- [수학뉴스] 스마트폰이 수학 문제를 대신 풀어준다?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아니면 계산기를 사용하는 것도 꽤 번거로운 일이다. 그런데 스마트폰을 갖다 대기만 하면 수학 문제를 대신 풀어 주는 애플리케이션이 나와 화제다.‘포토 매스(Photo Math)’는 영국 런던의 소프트웨어업체인 마이크로 블링크가 개발한 스마트폰 앱으로, 카메라로 수식을 인식해 문제를 풀어 준다. 이 ... ...
- BRIDGE. 김기만 국가핵융합연구소 신임 소장 인터뷰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의해 나오고, 연구자들이 “투입 에너지보다 많은 에너지가 검출됐다”고 근거를 대기 시작하자 언론은 흥분하기 시작했다. 취재 경쟁이 일어났고, 전기분해에 의한 상온핵융합은 세계적으로 유명해졌다. 하지만 과학계의 반응은 차가웠다. 3파트에서 소개했듯, 중수소-중수소 핵융합은 현재 ... ...
이전98991001011021031041051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