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뒤
이하
아래
이후
이래
그늘
배후
d라이브러리
"
나중
"(으)로 총 1,629건 검색되었습니다.
UN, 남극 개발붐 경고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근육강화제도 이 호르몬의 한 종류다라이히슈타인이 임의로 붙인 물질 이름 중의 하나
나중
에 이 물질이 코르티손이 됐다 켄들의 '물질 E'도 마찬가지다성호르몬 분리 업적으로 1939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아돌프 부테난트(Adolf Butenandt)가 1934년 황체 추출물에서 분리한 물질로 유산방지제나 ... ...
나노기술 미래의 시한폭탄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막대한 경제적 손실이 따를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 열심히 연구를 해놓은 나노입자에서
나중
에 독성이 있다고 밝혀지면 모든 일이 허사로 돌아간다는 것이다.뿐만 아니라 그동안 사용된 화학물질에 대해 소송을 당해 막대한 경제적 문제가 따른다. 실제로 듀폰은 긁히지 않는 프라이팬의 ... ...
위대한 예술가는 타고난 신경생리학자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처리한 정보는 각각 가늘고 진한 윤곽선과 전체적인 색상에 관한 것뿐이다. 이 둘은
나중
에 대뇌 피질에서 통합된다. 다시 말해 갈색과 하늘색이 윤곽선을 벗어났음에도 우리는 그 사실을 제대로 지각하지 못하고 마치 윤곽선에 잘 들어맞게 칠해진 것처럼 느끼게 된다.모양정보처리통로와 ... ...
유인화성탐사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속도가 빨라지면 램압력(고속의 공기가 물체에 부딪침으로써 높아지는 압력)이 높아져
나중
에는 공기압축기가 거추장스러운 존재가 된다 그러나 램제트에서는 공기를 흡입시키는 도관(duct) 자체를 좁게 설계해, 터보제트에서 공기압축기가 공기를 압축한 것과 같은 결과를 얻는다 램제트는 구조가 ... ...
남극 극한 환경 무릅쓴 불굴의 도전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났다. 지명은 확실치 않으나 섬에 카누가 표류해서 그곳에 살아있다는 내용이었다.
나중
에 이 이야기는 칠레 헬리콥터 조종사들이 물개를 인간으로 착각해서 생긴 뜬소문으로 확인됐다.정신착란에 따른 방화사고도 있었다. 1984년 4월 12일 남극반도 바이아 파라이소만에 있는 알미란테 ... ...
06. [시간의 심리] 연인과의 시간은 왜 빨리 가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뇌활동을 기능성자기공명영상법(fMRI)으로 측정했다. 참가자들은 두쌍의 음을 듣고
나중
에 들은 것이 처음 음보다 짧은지 긴지를 판단해야 한다. 이 과정에 관여하는 뇌의 영역은 혈류량이 늘어날 것이다.실험 결과 대뇌반구의 시상 바깥쪽에 있는 회백질 덩어리인 대뇌핵이 가장 먼저 활성화됐다. ... ...
근대화학의 아버지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신(scene)을 직접 보아 그것을 이해할 수 있게 하는 종합기술 인공지능 응용분야 중의 하
나중
국 은나라때 점치는 데 사용했던 거북껍질이나 소뼈에 새긴 문자 한자의 가장 오랜 형태로 순수한 그림문자보다는 상당히 앞선 것이다 내용은 주로 제사, 군사, 천문, 농경 등이다구상(球狀) 또는 괴상(塊狀 ... ...
트로이의 목마, 몸 속을 휘젓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미생물의 연관성에 주목해 온 김철호 교수는 “오랫동안 충치를 앓아온 사람은
나중
에 심장병에 걸릴 확률이 높다는 얘기를 치과의사들로부터 종종 듣곤 한다”며 “다만 수십년에 걸친 과정이므로 충치균이 심장병의 원인이라고 단정짓기는 어렵다”고 말한다. 정말 충치균이 심혈관계 질환에 ... ...
사면초가에 몰려 신곡 중단한 벅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방송국에서는 저작권자 또는 저작인접권자에게 허락을 받지 않고 일단 음악을 튼 다음
나중
에 정산한다. 벅스는 스트리밍 서비스가 방송과 유사하다는 입장이다. 텔레비전 수신기가 변형된 형태의 서비스라고 보는 것이다. 실제로 디지털 방송의 경우에도 음반을 디지털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 ...
중학생 30개팀 토론축제 한마당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반론팀은 발표팀이 까다로워할 문제를 선택하는데, 충분히 소화하지 못한 문제라면
나중
토론 때 곤경에 처할 수도 있다. 문제가 확정되면 발표팀은 준비해온 자료로 발표한다.반론팀은 발표를 들은 후 반론을 제기할 기회를 갖는다. 문제 해결 방법에서 어디가 잘못됐고 미흡했다는 식이다. 이후 ... ...
이전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