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기
기구
장치
도구
기관
엔진
용구
d라이브러리
"
기계
"(으)로 총 4,196건 검색되었습니다.
[Career] 암 검사체계 바꿀 다중 모달 융합내시경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정확도를 80% 이상으로 끌어 올리는 것이 목표”라며 “각각의 기술을 최적화해한
기계
안에 담을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관건”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2018년까지 기초기술을 개발해 특허를 출원하고 대장암과 위암에 걸린 동물모델부터 실험할 계획이다. 문 교수는 “연구 성과가 모이면 ... ...
Part 1. 문명이 낳고 과학이 키우다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연구하면서 제빵개량제 같은 특별한 재료나, 반죽을 최적의 상태에서 발효시키는
기계
가 탄생하게 됐다. 아주 기나긴 시간 동안 역사적인 경험과, 제빵사 개개인의 노하우로 만들어져 왔던 빵이 과학의 도움으로 더욱 더 맛있게 재탄생한 셈이다.한국의 빵은 광복 이후 탄생그렇다면 오랫동안 ... ...
Part 3. 사이버그야, 모여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6호
꼬물꼬물 움직이는 애벌레 로봇애벌레는 보통 몸을 ‘Ω’ 모양으로 크게 웅크렸다가 ‘一’자로 쭉 피며 앞으로 나아가요. 그런데 사실 애벌레마다 특징이 있답니다.애벌레의 움직임이 바닥의 마찰력과 연관이 있을 거라고 생각한 일본 도쿄대학교 타쿠야 우메다치 박사팀은 애벌레 로봇을 직접 ... ...
Part 2. 바닷물 어떻게 마실 수 있는 물로 만들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6호
바닷물을 그냥 마시면 안 되는 이유!바닷물을 그냥 마시면 안 되는 이유는 바로 ‘삼투현상’ 때문이에요. 바닷물에는 흔히 소금이라고 부르는 염화나트륨을 비롯해 여러 ‘염류’들이 포함돼 있어요. 이렇게 바닷물에 녹아 있는 염류들을 모두 합쳐 ‘염분’이라고 불러요. 전세계 바닷물의 평균 ... ...
[과학뉴스] 50만 개의 뉴런으로 직접 뇌를 그리다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가장 많이 받은 것 을 우승작으로 선정하고 있다.던 작가는 “우주에서 가장 신기한
기계
가 우리 몸안에 있다는 걸 각인시키고 싶었다”고 수상 소감을 전했다 ... ...
[인터뷰] 매스잼 원해요! 퍼즐 수집가 강금만
수학동아
l
2017년 05호
뒤 평범한 회사원으로 지내다가 얼마 전부터 작은 출판사를 운영하고 있어요. 십여 년 전
기계
식 퍼즐(도구를 이용하는 퍼즐)의 매력에 빠져 하나둘 모은 게 3000점이나 되네요.Q 퍼즐박물관을 방불케 하네요. 퍼즐에 빠진 계기가 있나요?2002년 싱가포르로 출장을 갔어요. 하루는 재래시장에 들러 ... ...
[과학뉴스] 신발끈을 푸는 보이지 않는 손의 비밀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UC버클리대
기계
공학과 올리버 오레일리 교수팀이 신발끈이 스스로 풀리는 구체적인 과정을 밝히고 그 결과를 ‘영국왕립학회보A’ 4월 11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우선 신발끈을 묶고 트래드밀 위에서 뛰는 모습을 초당 900장을 찍는 고속카메라로 촬영한 뒤 느리게 재생하면서 분석했다. 그 결과, ... ...
[Culture] 각자의 시간 속에서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타버렸대.”“저런. 하지만 세상엔 다른 랜슬롯 허드슨도 많으니까. 그 중 몇 명은
기계
관리를 꼼꼼하게 하겠지.”자동차가 천천히 움직이기 시작했다. 차가 대로로 접어들자 유리는 운전을 자동조종으로 돌리고 운전대에서 손을 땠다. 차의 조명이 서서히 밝아졌고 차창은 어두운 거울처럼 두 ... ...
[Future] 시금치로 심장을 만든다고?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때문에 면역거부반응이 현격히 줄어들 것”이라고 밝혔다. 심진형 한국산업기술대
기계
공학과 교수도 “면역거부반응은 주로 동물 내의 단백질이 일으키는데, 식물의 세포외기질을 이루는 셀룰로오스 등은 전부 당류”라며 “아마 면역거부반응이 없을 것”이라고 말 했다. 연구팀은 계속해서 ... ...
[Career] ‘나쁜 드론’ 잡는 원스톱 제어시스템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인공지능이 관건멀리서 날고 있는 새를 비행체로 착각하면 어떻게 될까. 문 센터장은 “
기계
와 새의 비행은 분명 차이가 있는데 현재로서는 이를 구분하는 게 가장 어렵다”며 “딥러닝 인공지능 기술이 해결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수많은 종류의 새가 나는 패턴을 모두 입력하기는 어렵다. ... ...
이전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