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과
교과목
강좌
교과안
과정
길
경로
d라이브러리
"
과목
"(으)로 총 1,052건 검색되었습니다.
커트라인, 작년보다 높아질듯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적성을 가진 우수학생을 선발하기 위해 수학
과목
가중치를 부여, 수학Ⅰ과 수학Ⅱ 두
과목
취득 점수의 10%를 가산해주기로 했다. 모집학과는 변동이 없으나 졸업정원제가 폐지됨에 따라 입학정원이 각과별로 1명씩 줄어 수학과 물리학과 화학과가 각 20명, 금속·재료 기계 산업 전기·전자 전자계산 ... ...
1988학년도 신입생 입학전형과 신설학과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145.7점(30%) 총점 485.7점이다. 실업 및 제2외국어 선택은 별도로 지정하지 않고 학력고사
과목
별 가중치도 적용하지 않는다. 또한 면접고사는 합격, 불합격의 참고 자료로만 활용한다고 한다. 신설학과는 자연대학의 미생물학과(40명) 의예과(30명·후기), 조형대학의 시각디자인학과(40명)생활미술학과( ... ...
창원기능대학 산업현장의 고급 기능인력을 길러낸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맡아 해낼 자질과 기능을 갖춘 인력을 양성하는 곳이다. 그래서 학과수업이나 전공
과목
실습이나 모두 생산현장에 있을때와 같이 해나가는 것이다. 학생들도 '대학의 정규과정을 거쳐 전공분야의 연구성과를 쌓은 박사는 학원이나 연구소를 맡고 국가기술 자격법에 의한 기술사는 개발부서의 ... ...
적성과 진로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않은 사람이 이공계에 진학해도 좋은가? 답 어떤
과목
보다도 수학이 이공계 학문의 기본
과목
임에는 틀림없다. 그러나 수학점수가 나쁘다고 해서 적성이 이공계와 맞지 않는다고 속단하기는 어렵다. 이 말은 수학을 잘한다고 해서 이공계 적성이라고 단정할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다. 주의해야 할 ... ...
포항공과대학 단숨에 명문으로 떠오르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적성이 안맞아 전산학과쪽의 공부를 하고 싶다면 수학과에서는 최소한의 기본
과목
만 이수하고, 전산학을 복수전공 또는 부전공으로 이수케 해 취업할 경우나 대학원진학시 인정해주도록 한다는 것이다. 완벽한 기숙사 시설 다음으로 학생들의 일상생활을 알아보자. 전원 기숙사생활을 하고 있는 ... ...
공부 잘하고 사무능률 올리려면 집중력을 높이자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과목
을 먼저 손대보는 것이다. 흥미가 있으면 점점 집중해 갈 수 있으므로 잘못하는
과목
에 그 집중력을 기울여 차츰 파고 들 수 있게 된다.집중력의 지속 테크닉심리학자 '옵생키나'가 이름붙인 '중단행동재행경향'(中断行動再行傾向)이란 것이 있다. 한가지 공부나 작업을 그것이 끝나기 직전에 ... ...
공과대로 발전해온 신흥세력 아주대학교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전통적 유대관계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영어와 함께 프랑스어가 필수
과목
으로 교수되고 있기 때문에 아주대출신이면 누구나 어느 정도는 프랑스어를 할줄 안다는 것. 프랑스어에 대한 지식은 산업현장에서 유용하게 쓰일 때가 적지 않다고 한다. 이공대 인문이 6대4 비율아주대학교는 ... ...
컴퓨터교육 89년부터 교과과정에 컴퓨터 문맹 벗어날 수 있을 것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있다고 한다. 컴퓨터는 선생님이 아니다89년부터 초중고에 이론적으로 나마 컴퓨터
과목
내지 단원이 설치돼 컴퓨터 문맹탈피교육이 실시된다는 것은 매우 큰 의미를 갖는다. 수요창출로 인해 정보산업발전의 초석이 될 것이며, 앞으로 자라는 세대는 겁없이 컴퓨터를 다를줄 아는 유능한 인재일 수 ... ...
박봉렬/물리학 물리학은 모든 문학의 기초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않았다. 그래서 그런지 역학 시험문제는 3시간에 3문제 정도를 내주었는데 정말로 그
과목
에 힘을 쏟아 공부하지 않으면 합격하기 어려웠다.2학년에 들어오면 이론과 실험으로 나뉘어지는데 나는 이론 물리학 쪽을 택하기로 했다. 그 후 유가와 교수를 만나 인사겸 장래의 계획에 대하여 상담하였다. ... ...
현대문명의 사생아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K의 범행은 몇달이 지나도록 아무도 눈치채질 못했다. 그것은 이자가 대차대조표
과목
이 아니 손익항목이었기 때문, 다시말해 이자는 때로 이익을 볼수도 있되 때론 손해를 보는 경우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K가 강쪽같이 빼돌린 30여만원씩의 돈은 사실 그렇게 대수로운 것이 아니었던 것이다. 결국 ... ...
이전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