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링
반지
바퀴
링크
연결
루프
유대
d라이브러리
"
고리
"(으)로 총 1,237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마추어천문 단계별 입문법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움직임을 볼 수 있다. 목성의 대적반을 보려면 상당히 큰 망원경이 필요하다. 토성은
고리
와 줄무늬를 볼 수 있다. 토성은 태양계의 행성 중 가장 많은 위성을 가지고 있지만 초보자용 망원경으로 볼 수 있는 위성은 목성에 비해 적다. 화성은 크기가 작기 때문에 지구의 극지방에 해당하는 하얀 색의 ... ...
아름답게 빛나는 행성상성운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먼지구름을 통과하면서 새나오는 것이라고 추측된다. 빔이 두 줄기로 갈라진 것은
고리
안쪽에 있는 작은 먼지덩어리 때문일 것으로 보인다. 관측자들은 빔이 먼지구름 안쪽 벽을 깍아내서 구멍을 만들었을 것이라는 시나리오를 작성했다. 또 제트가 주변 물질에 반사돼 빛을 낼지 모른다는 ... ...
3. 일반상대성 이론의 예언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하나의 천체를
고리
모양으로 변환시킨다. 이를 '아인슈타인의
고리
' 라고 한다. 이
고리
가 불완전해 닫히지 않은 것을 '아크' 라고 한다. 천문학자들은 남반구 하늘에서 볼 수 있는 대마젤란은하에서 해 질량의 약 4배, 약 10배 정도의 블랙홀을 각각 가진 것으로 추정되는 X선원인 LMC X-1과 LMC X-3를 ... ...
철학종교-죽음은 소멸이 아니라 소생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삼라만상을 전체적인 하나의 생명현상으로 본다. 즉 모든 사물이 전체 생명현상의 연결
고리
들이다. 따라서 사람은 물론 다른 동물이나 심지어는 산이나 냇물 내지 이름 없는 풀이나 돌맹이까지라도 해쳐서는 안된다. 그래서 죽은 사체라고 해도본인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아무렇게나 취급할 수는 ... ...
허블통신 크리스마스 특선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에서 밝게 빛나는 현상이다.토성의 경우 자기장이 자전축과 일치하기 때문에 오로라의 '
고리
'는 양극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룬다. 남극 오로라가 어둡고 북극 쪽이 밝은 것은 촬영 때 토성 북극이 지구 쪽으로 약간 기울어져 있었기 때문.허블우주망원경의 관측 결과는 20세기 말부터 토성을 ... ...
위궤양치료제 타가메트와 잔탁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클리테로는 프라이스에게 히스타민의 이미다졸
고리
대신 아미노알킬기로 치환된 푸란
고리
를 가진 화합물을 합성하도록 지시했다. 그 결과 실마리를 찾아냈고 구조변형을 계속한 결과 라니티딘을 발견했다. 라니티딘은 시메티딘이 발매된 1976년에 특허출원됐다.글락소의 신약 임상시험은 ... ...
6 MSN 출현, 전세계 PC통신업계 긴장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기능을 기반으로 하여 앞으로 다가올 정보화사회의 거두로 성장하는 중요한 '연결
고리
'로 상정하고 있다. 지난해부터 '마블'이라는 코드명으로 추진해 온 이 글로벌 PC통신 및 네트워크서비스를 인터넷에 비길만한 규모로 키워 전세계의 컴퓨터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통일하자는 것이다.MSN은 모든 ... ...
1 존재는 밝혀졌지만 형태는 불확실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각각 밖으로 원천(源泉)이 있고 안으로 연결되는 바가 있으니 안팎이 서로 관통해 마치
고리
처럼 끝이 없다. 사람의 경락 또한 그러하다"고 했다. 피부 아래에 존재하면서 지하수맥 역할을 하는 경락과, 외부로 드러나 연결돼 원천으로서 기능을 갖는 경혈의 개념을 위치학적으로 설명하고 있다.또한 ... ...
태초 우주 비밀 밝힐 원시헬륨 발견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태초의 비밀이 벗겨지고 있다. 그동안 이론이로만 존재했던 대폭발이론이 초기 헬륨 발견으로 그 수수께끼가 풀릴 전망이다.은하들 사이의 공간은 천문학 ... 밖에서 헬륨 기체를 찾아낸 일은 대폭발이론을 입증하기 위해 마땅히 꿰어야 할 하나의 빈
고리
를 발견해낸 업적으로 평가된다 ... ...
2. 화석의 '잃어버린
고리
'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95년 10호
중간형에 해당하는 화석이 엄청나게 많이 발굴됐어야 한다.파충류와 조류의 연결
고리
로 알려진 시조새는 깃털이 있는 것으로 보아 완전한 조류다. 시조새 시대보다 오래된 지층에서 시조새보다 더 현생종에 가까운 특징을 갖는 원시새 화석이 보고되기도 했다. 원숭이와 인류의 중간 단계로 ... ...
이전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