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간격"(으)로 총 1,451건 검색되었습니다.
- 파라볼라 안테나과학동아 l2000년 04호
- 간격으로 하중을 주면, 포물선 모양으로 바뀐다. 현수교의 경우에도 주케이블에 일정한 간격으로 로프를 설치한 상태에서 하중을 주고 있으므로, 주케이블은 포물선인 셈이다. 그렇다면 현수교는 ‘포물교’라고 불러야 정확하지 않을까.빛을 모으는 거울2차함수 그래프라고 알려져 있는 포물선은 ... ...
- 프톨레마이오스와 주전원 이론과학동아 l2000년 04호
- 1백78일 정도이지만, 춘분점에서 추분점까지는 1백86일 정도가 걸린다. 둘 사이의 시간 간격이 다른 것은 왜 일까? 그리고 태양보다 더 복잡해 보이는 달의 운동은 왜 생기는 것일까? 어떤 때는 천천히 가다가 빨리 가기도 하고, 방향을 바꿔 거꾸로 움직이기도 하고, 마치 춤추듯이 움직이는 행성들의 ... ...
- 아픔 줄이고 아기 낳는 법과학동아 l2000년 02호
- 시작되면 처음에는 약 10분 간격으로 진통이 오다가 점점 진통의 간격이 줄어들어 약 1분 간격으로 단축된다. 그리고 진통의 활성기, 즉 아이가 막 나오려는 때가 임박하면 30-90초간 자궁수축이 지속된다. 이때는 그야말로 자궁이 쥐어짜는 듯한 엄청난 압력이 생긴다. 이때 산모는 자궁자체가 ... ...
- 1만원권 지폐에 새겨진 자동 물시계 자격루과학동아 l2000년 02호
- 오래도록 사용해온 시계가 물시계다. 수도꼭지에서 방울방울 떨어지는 물을 보면 그 간격이 매우 일정하다. 늘 일정한 압력으로 물을 흘려보낸다면 물의 양은 흐른 시간에 비례하게 될 것이다. 하루종일 24L의 물이 떨어진다면 12시간 동안은 12L, 6시간에는 6L, 1시간에는 1L가 모일 것이다. 그러므로 ... ...
- 동물들의 기발한 속임수과학동아 l2000년 01호
- 따라서는 침입자가 불과 2-3m 이내까지 접근하는 것도 허용하지만, 붙잡히지 않을 정도로 간격을 두고 잽싸게 달아난다. 둥지나 새끼로부터 상당히 멀리 떨어진 지점까지 침입자를 유인해낼 때까지 ‘상처입은 척하는’ 행동을 반복한다. 그러다 충분히 유인했다고 판단되면 잽싸게 날아올라 자신의 ... ...
- 만약 전자 질량이 양성자와 비슷해진다면과학동아 l2000년 01호
- 구름같이 퍼져서 돌고 있다. 원자의 세계로 들어가서 금관을 본다면 금 원자들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규칙적으로 배열돼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그 사이를 전자들이 자유롭게 흘러 다니면서 열이나 전류를 전달하는 것도 볼 수 있을 것이다. 마치 한강대교의 교각(금 이온)들이 규칙적으로 ... ...
- 다섯행성을 어떻게 찾았을까과학동아 l2000년 01호
- 알아낼 수 있다. 해가 뜨는 시간에 나무 그림자를 쉽게 볼 수 있는 곳을 정한다. 며칠을 간격으로 해가 뜰 때의 나무 그림자 방향을 기록해 보면 그 위치가 조금씩 변하는 것을 살펴볼 수 있다. 일년 동안 지켜보면 하지나 동지를 전후로 그림자가 이동하는 방향이 반대로 바뀌는 것도 알 수 있는데 ... ...
- 솥 모양 해시계 앙부일구과학동아 l2000년 01호
- 지나는 자오선을 본초자오선으로 하는 세계 표준시를 쓰고 있다. 경도 15도에 한시간 간격으로 세계 각국이 자신의 경도에 해당하는 표준시를 쓴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동경 135도선에 표준시를 맞추므로 서울 지역을 지나는 동경 127도선 보다 약 30분 정도 빠른 시간을 쓰게 된다. 그래서 ... ...
- 오리온과 함께하는 겨울의 대육각형과학동아 l1999년 12호
- 삼(參)으로 불러 왔다. 오리온의 허리부분에 삼태성으로 불리는 3개의 2등성이 같은 간격으로 비스듬히 놓여있다. 삼태성의 오른쪽 델타(δ)별은 천구의 적도가 지나기 때문에 세 별이 뜨는 위치가 정동, 지는 위치는 정서가 된다. 또 삼태성을 그대로 오른쪽 위로 연장하면 황소자리 알데바란과 ... ...
- 움직이는 지구 변하는 우주과학동아 l1999년 12호
- 번의 관측을 비교하는 방법을 고안해 냈다. 지구는 태양 둘레를 공전하고 있으므로 반년 간격으로 두 번 관측을 함녀 태양을 사이에 둔 지구 공전궤도의 두 지점에서 별을 관측하는 것이 된다. 두 지점의 거리가 커지면 같은 거리의 별이라도 시차가 그만큼 커지며 따라서 관측이 쉬워지게 된다. ... ...
이전98991001011021031041051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