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른편
우측
바른쪽
바른편
오른편짝
우방
우편
d라이브러리
"
오른쪽
"(으)로 총 1,428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상현실 스튜디오에서 유럽 여행 만끽한다
과학동아
l
200203
인식하고 그 좌표 값에 해당하는 정보를 가상미술관 데이터베이스에 요구한다. 사용자가
오른쪽
벽면 옆 (x, y, z)의 위치를 쳐다보면 밀레의 작품 중 A 부분이 부각돼 보일 것이다. 추적 장치가 탐지하는 사용자 위치 정보가 많을수록, 그리고 이에 대한 오차가 적을수록 영상 발생 장치에선 사용자의 ... ...
사람의 혀를 대신할 전자혀
과학동아
l
200202
좌표 위에 점으로 표시된다.예를 들어 단맛은 그래프에서 위의 왼쪽, 신맛은 위의
오른쪽
등에 나타난다. 증류수와 석수의 경우 실제 사람이 맛을 보면 매우 미세한 차이를 갖지만, 전자혀의 그래프에서는 멀리 떨어져 둘 사이를 명확히 구분할 수 있는 것이다.한편 최근 국내의 한 벤처기업에서도 ... ...
스마트카드 한 장이면 어디서나 만사형통
과학동아
l
200202
있는 편이다. 건무는 왼쪽 안주머니에서 수첩을 꺼내 자신의 학생증을 쳐다봤다. 학생증
오른쪽
에는 사진이 붙어있고, 아래에는 ‘김건무’라고 쓰여 있다. 왼쪽에는 금색으로 반짝이는 IC칩이 붙어있다. 오늘 아침에 받은 상품권은 이 카드로 만들어진 학생증 속에 들어 있다.건무는 조금 전에 이 ... ...
스노보드에 숨겨진 물리학
과학동아
l
200201
대충 이해한 과동이는 보드를 가지고 눈밭으로 갔다. 스노보드는 스키와 달리 왼쪽 또는
오른쪽
으로 몸을 돌린 다음 타기 때문에 스노보드에 부츠를 고정시키기 전에 자신이 왼발잡이인지 오른발잡이인지 알아야 한다. 뒤에서 갑자기 밀었을 때 나가는 발 또는 공을 찰 때 디딤발이 되는 발이 ... ...
암호학 카드하나로 통하는 디지털 보안첨병
과학동아
l
200201
작업표시줄의
오른쪽
을 보면 열쇠고리 같은 아이콘이 생긴다.이 아이콘에서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인증서 관리자를 선택하면 인증서관리프로그램이 뜬다.한 예로 K은행의 인증서를 보자. 여기에는 서명 알고리듬에‘md5WithRSAEncryption’이란 문구가, 메시지 암호 ... ...
새해 더 밝아진 목성 즐기는 법
과학동아
l
200201
볼 수 있는 때는 대적반의 경도가 지구에서 볼 때 목성 중앙부근에 오는 시기다.우선
오른쪽
(표)를 이용해 원하는 시각에 지구에서 봤을 때 목성 중앙부분이 해당하는 경도를 구한다.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목성 중앙경도 = 기준 중앙경도 + (원하는 시각-기준시각)×(360.0/595.67)여기서 원하는 시각과 ... ...
3 득점의 꽃 프리킥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201
보여줬다. 카를로스 역시 고종수처럼 왼발 프리킥을 했지만 바깥쪽으로 차 진행방향의
오른쪽
으로 휘어 들어갔다는 점이 다를 뿐이었다.과연 그들이 만들어낸 매직 프리킥의 비밀은 무엇일까. 이를 과학으로 풀어본다.직선경로에 비해 4m나 꺾여우선 카를로스나 고종수가 찬 공에는 회전이 ... ...
겨울을 녹이는 따뜻한 차 이야기
과학동아
l
200112
녹차는 삼국시대부터 국내에 전래돼 1천년 이상 우리 민족과 함께 했다. 석굴암 본존불
오른쪽
벽면에 있는 문수보살의 손에는 찻잔이 들려있다. 이는 차가 생활의 일부분이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이처럼 차가 가장 먼저 전래된 나라 중의 하나인 우리나라는 오늘날 다른 나라에 비해 적은 양을 ... ...
겨울밤 화려하게 뿌려진 보석 잔치
과학동아
l
200112
것을 보고는 저 세상으로 갈 때 건너는 강을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 오리온자리 리겔의
오른쪽
아래 람다(λ)별에서 시작한 강물은 땅 아래로 사라져 남반구의 하늘로 이어지므로 우리나라에서는 전체를 볼 수 없다. 에리다누스자리는 하늘의 남극 부근에 자리잡은 알파(α)별 아케르나르에서 끝난다. ... ...
착한 머슴이 된 별 토사공
과학동아
l
200111
아래로 늘이다가 만나는 제일 빛나는 별 하나가 바로 나요. 그리고 그 덩치 큰 머슴은
오른쪽
두 별을 잇는 선을 늘여서 남쪽으로 가다보면 보이는 아주 덩치 큰 별이오.”덩치 큰 머슴별이 바로 동양에서는 ‘하늘나라 북쪽 변방 마을에 있는 군사용 성문’이라는 뜻인 북락사문이라 부르는 별이다. ... ...
이전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