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용
응용
적용
활용
용도
소비
개발
d라이브러리
"
이용
"(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안데스인의 피는 태평양인보다 붉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고산지대 현장에 직접 가지 않고도 산소가 부족한 환경을 체험할 수 있는 첨단장비를
이용
해 훈련하는 선수들이 점차 늘고 있다. 스포츠는 과학이라는 말이 실감난다.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산인 백두산 정상의 산소 농도는 16.4% 정도다. 산소통을 메고 움직여야 할 정도로 낮은 농도는 아니기 ... ...
폐암 감지하는 전자코 개발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이를 측정하기 위해 연구팀은 전자코의 센서로 금속 포르피린이 코팅된 수정을
이용
했다. 금속 포르리핀은 날숨에 포함된 다양한 기체분자와 결합할 수 있는 물질이다.수정은 질량에 따라 고유진동 주파수가 달라진다. 수정에 코팅된 금속 포르피린에 기체분자가 결합하면, 미세하지만 전체 질량이 ... ...
러시아 우주비행선은 국제우주정거장의 생명줄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추적 방식 도플러 레이더를
이용
하는 항공기의 항법 지상의 항행(航行) 원조시설을
이용
하지 않고 항행할 수 있는 자립항법(自立航法) 시스템의 하나이며 장거리의 해상비행에 알맞다파원(波源)과 관측자 중 한쪽 또는 양쪽 모두가 운동하고 있을 때 관측자에게 관측되는 파원의 진동수가 변하는 ... ...
3 배출된 이산화탄소 격리수용 시킨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한강 표면의 얼음에, 액체 이산화탄소는 얼음 표면 밑의 물에 해당된다. 이런 현상을
이용
함으로써 엄청난 양의 이산화탄소를 해저 골짜기에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천연가스 뽑는데도 유리해또하나의 가능한 방법은 깊은 바다의 밑바닥에 존재하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층에 이산화탄소를 ... ...
보석 일상생활에서 첨단기기까지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성질을
이용
한 것이다. 예를 들어 멜라닌색소 파괴에 가장 효과적인 루비 6백94nm 파장을
이용
하면 피부의 다른 부위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고 선택적으로 점 같은 부위에만 높은 에너지를 가해 이 부분을 태워낼 수 있다.레이저는 의학용 외에도 파장과 출력에 따라 반도체 소자 위에 숫자나 ... ...
과학과 인문학 사이 다리 놓은 과학기술학자 송상용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받아 환경운동을 벌이고 있다. 환경운동에는 2가지 극단적인 입장이 있다. 과학기술을
이용
해 환경을 개선하자는 것과 과학기술을 완전히 거부하고 원시로 돌아가자는 극단적인 심층생태주의가 그것이다.송 교수는 심층생태주의까지는 아니지만 과학기술의 근본적인 방향 전환이 필요하다고 보는 ... ...
친구따라 행동하는 성냥개비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물을 빨아올리는 것이다.뚝딱 실험2 맥박 재는 성냥개비■ 왜 그럴까?!지레의 원리를
이용
하면 작은 진동이 크게 보인다. 압정을 꽂은 성냥개비를 지레라고 생각해보자. 압정을 꽂은 쪽은 무겁고 이동 거리가 작은 반면, 머리 부분은 이동 거리가 커진다. 따라서 성냥의 끝부분에서는 맥박의 작은 ... ...
줄기세포로 난자 만드는데 성공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들고 있다. 그런데 인간을 복제하는데 사용되는 체세포복제기술은 체세포와 난자를
이용
해 수정란을 만든다. 하지만 이번 기술은 자연적인 임신과 마찬가지로 정자와 난자를 만나게 해 수정란을 만들 수 있다. 인간복제가 불임의 마지막 대안이라는 주장이 설득력을 잃는 셈이다.그러나 줄기세포를 ... ...
태양에너지 무선전송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과학기술이 앞으로 얼마나 발전하느냐가 실용화의 관건인 셈이다.무선전력전송 기술을
이용
한 우주태양광발전의 또다른 난관은 환경 유해성이다. 우주태양광발전소로부터 지상에 무선으로 보내오는 전자파가 일반인에 노출될 경우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벌써부터 ... ...
2 말하고 생각하는 능력이 다른 이유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크다. 또한 1980년대부터는 분자생물학 기술이 발달하면서 DNA의 구조나 염기서열 정보를
이용
한 유전체연구가 진행됐다. 이들 대부분은 침팬지나 인간의 유전체 내에 광범위하게 분포돼 있는 다양한 종류의 반복서열이나 유전체에 삽입된 흔적이 있는 레트로바이러스의 구조적 차이와 분포를 ... ...
이전
1018
1019
1020
1021
1022
1023
1024
1025
10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