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d라이브러리
"
결과
"(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침에 기분좋게 깨워주는 친구 닥터라이트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일종인 지연성 수면 위상증후군을 가지고 있는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2주간 실험한
결과
, 아침에 잠에서 깰 때의 졸린 정도와 낮에 생활을 하면서 느끼는 피로가 감소된 사실을 확인했다.기적의 학습법을 개발한 일본의 공부 고수, 요시다 다카요시 박사는 공부를 잘 하는 비법으로 빛을 이용해 ... ...
'플라스틱 철' 개발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군장을 짊어진 군인과 무거운 철 보형물을 달고 있는 환자에게 희소식이 될 만한 연구
결과
가 발표됐다. 미국 미시건대 화학공학과 니콜라스 코토브 교수팀은 진흙과 고분자 물질을 이용해 철만큼 단단하면서도 무게는 더 가벼운 플라스틱을 만들었다고 ‘사이언스’ 10월 5일자에 발표했다.진흙은 ... ...
철새의 눈은 자기장을 본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단백질이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다. 연구팀이 망막에 신경 추적물질을 넣고 조사한
결과
시각 정보를 처리하는 것으로 알려진 시상 부위에 추적물질이 전달됐다. 그리고 뇌의 ‘클러스터 N’이라는 부위로 정보가 이동했다. 클러스터 N은 철새가 방향을 인식할 때 활성화되는 부위다.무리슨 교수는 ... ...
3. 줄기세포로 사람 살리는 맞춤형 쥐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귀중한 생명을 잃은 사건이 있었다. 그런데 2002년 허셉틴을 유전자 적중 쥐에 실험한
결과
심장병을 일으키는 부작용이 발견됐다. 유전자 적중 쥐를 조금만 더 일찍 만들어 해당 약을 실험했다면 인명 피해가 없었을 지도 모른다. 과학자들이 유전자 적중 쥐에 관심을 기울이는 이유다. 01 특정 ... ...
종이컵이 남긴 탄소발자국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한개를 생산해서 사용하고 소각할 때까지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양을 계산했다. 그
결과
무게 5g짜리 종이컵 1개는 이산화탄소 약 11g을 배출했다. 종이컵 1개는 자기 몸무게의 2배에 이르는 탄소발자국을 남기는 셈이다. 자세한 계산 과정은 동아사이언스 홈페이지(dongaScience.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1. ... ...
한국인의 돌연사를 막아라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통로가 좁아지는 셈이다.미국 심장협회는 2000년부터 미국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측정
결과
를 근거로 심근경색이나 뇌졸중 같은 심뇌혈관 질환을 예방하는 조기진단지표를 만들었다. 조기진단지표는 건강해 보이는 사람이 발병할 확률이 몇%인지 예측하는 참조표준이다. 예를 들어 내중막 두께가 ... ...
수학으로'돈의 흐름' 쫓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설계하고 가치를 평가하며 돈의 흐름을 쫓습니다. 대상을 관찰해 수학적 모형을 만들고
결과
를 예측한다는 점에서 둘은 크게 다르지 않지요.”한국채권평가의 한국채권공학연구소에서 다양한 금융파생상품의 가치평가 모형을 개발하는 임명임씨는 금융공학을 이렇게 설명했다. 2005년까지만 해도 ... ...
춤추는 분자의 동영상 찍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읽다 흥미가 솟아났고, 한창 열기가 뜨겁던 단백질 연구에 이를 활용하면 새로운
결과
를 얻을 수 있을 거란 자신감이 생겼다. 지금은 그 얇은 귀 덕분에 다양한 분야를 넘나들며 창의력을 발휘하는 르네상스적 연구를 하고 있다. 그는 연구자가 갖춰야 할 기본덕목으로 주저없이 ‘열린 태도’를 ... ...
슈퍼태풍 한국에도 올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슈퍼 태풍이 될 수 있다고 말해요.부경대 오재호 교수팀이 영국 기상청에 의뢰해 분석한
결과
2030년에는 한반도에 슈퍼 태풍이 올 수도 있대요. 그러나 일부에서는 슈퍼태풍이 몇 년 안에 온다는 주장은 근거가 없으며 오히려 사회에 불안감을 일으킬 수 있다고 반박하고 있어요 ... ...
햇볕 쬐면 하루가 길어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1호
12명의 사람들에게 햇볕을 쬐게 했어요. 한낮에 45분 동안 햇볕을 받게 했죠. 그
결과
사람들의 신체리듬이 평균 24.2시간에서 25시간으로 늘어났어요. 한 시간 더 책을 읽거나 파티에서 놀 수 있다는 뜻이죠. 비행시차나 야근 등으로 힘들어 하는 사람들에게도 이 연구가 도움이 될 거예요 ... ...
이전
1018
1019
1020
1021
1022
1023
1024
1025
10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