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DNA"(으)로 총 2,122건 검색되었습니다.
- 중증 코로나19환자에게 나타나는 사이토카인 폭풍 원인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20.07.13
- 양을 측정하는 새로운 기술이다. 전사체는 세포가 단백질을 만들 때는 유전물질(DNA)에서 필요한 부분만 복사해 만든 일종의 ‘사본’ RNA의 모음이다. 전사체를 분석하면 그 세포가 어떤 단백질을 활발히 만드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연구 결과 코로나19 중증 및 경증 환자의 면역세포(단핵구)에서 ... ...
- [프리미엄 리포트]바이러스는 생물일까, 무생물일까 과학동아 l2020.07.11
- 온천, 남아프리카의 생물반응기, 바다, 호수 등 40가지 이상의 환경에서 얻은 대규모 DNA 데이터베이스에서 351개의 바이러스 염기서열을 발견했다. 염기서열 분석 결과 놀라웠던 점은, 일부 바이러스들이 리보솜과 관련된 유전자를 갖고 있다는 것이었다. 리보솜은 생물이 RNA를 활용해 단백질을 ... ...
- [프리미엄 리포트] 백신 개발의 뒷이야기과학동아 l2020.07.11
- 생백신&사백신_인플루엔자 백신 Influenza vaccine 단백질 백신_B형 간염 백신 Hepatitis B vaccine DNA&RNA 백신_코로나19 백신 Covid-19-vaccine 만능 인플루엔자 백신 Universal flu vaccine 속도 높이는 코로나19 ... ...
- 염기교정 유전자가위 효율 예측할 인공지능 기술 개발연합뉴스 l2020.07.09
- 구아닌(G)으로 혹은 시토신(C)을 티민(T)으로 염기 한 개만 변형시킬 수 있는 기술이다. DNA 두 가닥 모두를 자르는 크리스퍼 가위와 달리, 특정 단일 염기만 교체할 수 있어 유용하다. 하지만 교정 범위 내 같은 종류의 표적 염기가 여럿 존재할 경우 원치 않는 염기가 편집될 수 있다. 염기교정 ... ...
- 이정호 교수, 뉴욕과학아카데미 과학혁신가상 수상동아사이언스 l2020.07.09
- 아드리안 크라이너 미국 콜드스프링하버연구소 교수가 수상했다. 크라이너 교수는 DNA의 유전정보가 단백질로 변환되는 과정 중 하나를 밝힌 연구성과를 인정받았다. 시상식은 오는 10월 ‘과학혁신가상 시상식 및 심포지엄’에서 비대면으로 진행된다. ... ...
- "줄기세포가 분화해 무엇이 될지, 사실상 RNA가 결정한다"연합뉴스 l2020.07.08
- 나왔다. 룽 연구원은 "공항 관제사가 항공기 착륙을 통제하듯이 RNA는 단백질 복합체를 DNA의 정확한 위치로 유도해 유전자를 침묵하게 하는 것 같다"라고 설명했다. 비밀의 문은 유전자 편집으로 배양한 줄기세포 실험에서 열렸다. 연구팀은 크리스퍼(CRISPR) 편집 기술로 심장근육 세포가 되게 ... ...
- 자외선 노출이 부른 트럭 운전기사의 '두 얼굴'연합뉴스 l2020.07.08
- 물론 피부 탄력섬유의 파괴를 초래했다는 것이다. 또한 자외선A는 자외선B(UV-B)와 달리 DNA 돌연변이와 직접적인 독성으로 피부암 발생을 유도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경고했다. 의료진은 이 환자에게 자외선 차단제 및 국소 레티노이드(비타민 A 유도체) 사용과 함께 피부암에 대한 주기적인 ... ...
- 임상3상 돌입한 코로나19 백신후보 최소 2개… 中기업 약진동아사이언스 l2020.07.07
- 전체의 36%를 차지했다(위 그래프). 전달체 방식 38종으로 26%, RNA 방식이 20종으로 13%, DNA 방식이 14종으로 9%를 차지했다. 비활성 및 약독화 바이러스는 12종으로 나타났다. 바이러스유사입자(VLP)는 11종이며 그 외에 방식이 파악되지 않는 백신 후보물질이 1종으로 조사됐다. ... ...
- '빛으로 켜고 배아교정 영향도 찾았다' 진화하는 유전자가위동아사이언스 l2020.07.06
- “기존 유전자 교정 기술로는 몇 시간 걸렸지만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수초만에 목표한 DNA를 정확하게 잘라낸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또 인간 세포에서 흔히 발견되는 복제된 유전자 염기 두 개 중 하나만을 정교하게 잘라내는 데도 성공했다. 연구진은 “비정상적인 유전자 복제로 발병하는 ... ...
- "중증 코로나19 관련 추정 유전자, 네안데르탈인에게 받았을 가능성 있다"동아사이언스 l2020.07.05
- 않았다. 바이오아카이브 논문 초안 캡쳐 페보 단장은 처음으로 고인류의 화석에서 고DNA 파편을 분리해 해독, 분석하는 고게놈학을 개척한 학자다. 2010년 처음으로 네안데르탈인 고게놈 초안을 해독해 발표했으며 이 과정에서 약 6만 년 전 유라시아 대륙에서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 사이에 혼혈이 ... ...
이전979899100101102103104105 다음